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식약처 "희귀질환 치료제 2종, 신속심사 지원 대상 선정" 2023-02-07 16:05:00
A(항체의 한 종류)로 인해 신장에 있는 사구체에 염증이 생기는 희귀 자가면역질환인 '원발성 IgA 신병증' 치료에 쓰인다. 현재 이 질병에 대해 승인된 치료제는 없다. 식약처는 이 약의 성분인 부데소니드 자체는 이미 시판돼 사용 중이지만, IgA 신병증에 사용되도록 개발되는 건 처음이라 GIFT 대상이 됐다고...
2억명 당뇨 환자 희소식…먹는 인슐린 나오나 2023-01-17 17:36:47
제제를 개발했다. 동물실험에서 인슐린이 주사제처럼 빠르게 흡수돼 간까지 전달되는 것을 확인했다. 로봇 캡슐 연구도 활발하다. 매사추세츠공대(MIT)는 로봇 캡슐이 동물의 소장 벽을 통과해 약물을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이런 기술은 먹는 항체 치료제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다. 바늘이 든 캡슐을 삼키면 위나 소장에...
셀트리온, 미국 바이오텍 라니 테라퓨틱스와 경구형 항체치료제 개발 착수 2023-01-09 09:48:43
및 피하 주사제형의 단백질 및 항체의약품을 경구형으로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라니필 기술로 만들어진 경구용 캡슐은 소장(小腸)에서 캡슐이 분해되고 캡슐 내에 있던 용해 가능한 마이크로 니들을 통해 약물이 소장으로 전달돼 혈관으로 이동하게 된다. 경구제이지만 캡슐 내 탑재한 마이크로 니들을...
셀트리온, 美 라니테라퓨틱스와 먹는 항체치료제 개발 2023-01-09 09:23:05
피하 주사제형의 단백질 및 항체의약품을 경구형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라니필 기술로 만들어진 경구용 캡슐은 소장에서 분해되도록 설계됐다. 이후 캡슐 안에 있던 용해성 미세침(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약물이 소장을 거쳐 혈관으로 이동한다. 경구제지만 캡슐 내 탑재한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주사제와 유사하게 약물을...
아리바이오, 먹는 치매약 美 3상 첫 환자 투여 2023-01-04 10:13:34
한 기존 치료제와는 다르다고 했다. 항체를 활용한 다른 치료제가 대부분 주사제인 데 비해 하루 한번 복용하는 알약 제제다. 아리바이오 미국지사의 최고의학책임자(CMO)인 데이빗 그릴리 워싱턴의대 신경과 교수는 "AR1001과 같은 다중기전 약물의 개발은 25년 간 치매 환자를 진료해 온 신경과 의사로서 기대가 큰...
美백세스·GC녹십자, 패치형 독감 백신 1상 중간결과 발표 2022-12-15 09:44:43
전통 주사제 백신에 비해 양호하게 나타났다고 했다. 백신 접종 후 57일차 결과에 따르면, 15μg(마이크로그램) 및 7.5μg 두 가지 용량의 항체양전율(전체 환자 중 항체가 생성된 환자의 비율)은 각각 85%와 77%였다.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보호율은 모두 92%로 나타났다. 2007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제정한 인플루엔자...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발표 주목…삼바·에이비엘 수혜 기대” 2022-11-22 08:24:37
인지능력과 기초기능 지표가 개선됐고 주사제가 아닌 경구제며, 알츠하이머 경증~중등증 환자 대상이라는 점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며 “임상 디자인의 문제로 위약군과 비교를 못한다는 점은 아쉽지만, 처음으로 타우 표적 치료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애매한 3상 결과에도 아두헬...
"항체치료제 안 먹혀"…오미크론 BQ, 美 우세종 된다 2022-11-12 16:15:52
못해 예방용 항체주사제 이부실드와 같은 일명 `항체 칵테일`을 6개월마다 두 차례씩 주사해야 한다. 그러나 BQ.1과 BQ.1.1 변이는 이부실드에 대해 저항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미 국립보건원(NIH)은 밝혔다. 이부실드뿐 아니라 면역저하자들에게 예방용으로 투여하는 단일클론항체인 벱텔로비맙 역시 BQ.1과 BQ.1.1이...
미국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항체치료제 효과 없어" 2022-11-12 16:08:22
코로나19 백신으로 충분한 면역 반응을 만들지 못해 예방용 항체주사제 이부실드와 같은 일명 '항체 칵테일'을 주사하는데, BQ.1과 BQ.1.1 변이는 이부실드에 저항력을 가졌다는 게 미 국립보건원(NIH)의 설명이다. 따라서 새 하위 변이가 우세종이 될 경우 면역저하자들이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고 보건 전문가들...
항체치료제 안먹히는 오미크론 BQ, 미국서 곧 우세종 된다 2022-11-12 07:29:16
못해 예방용 항체주사제 이부실드와 같은 일명 '항체 칵테일'을 6개월마다 두 차례씩 주사해야 한다. 그러나 BQ.1과 BQ.1.1 변이는 이부실드에 대해 저항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미 국립보건원(NIH)은 밝혔다. 이부실드뿐 아니라 면역저하자들에게 예방용으로 투여하는 단일클론항체인 벱텔로비맙 역시 BQ.1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