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전자 "반도체, 내년 상반기 턴어라운드 보일 것" 2020-10-29 13:41:25
1z(10나노 3세대) 제품에 EUV를 일부 적용해 주요 고객사를 대상으로 우선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시설투자 계획도 함께 밝혔다. 삼성전자는 올해 지난해보다 30.9% 늘어난 약 35조2000억원을 쏟을 계획이다. 이 가운데 반도체에만 28조9000억원 가량이 집행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메모리는 향후...
삼성전자, 분기 실적 '새 역사'…3분기 매출 67조 '역대 최대' [종합] 2020-10-29 09:36:29
모바일 수요에 적극 대응하면서 '1z 나노 D램' 전환을 확대하고 적기 판매를 통해 원가 경쟁력 강화를 지속할 방침이다. 낸드플래시는 모바일과 노트북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6세대 V낸드 전환 확대를 지속 추진해 기술 리더십과 원가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내년엔 모바일 수요 강세와 5G...
삼성전자 3세대 10나노급 D램 등 '2020 산업기술성과 16선' 선정 2020-10-28 09:39:07
= 한국공학한림원(회장 권오경)은 삼성전자[005930]의 '3세대 10나노급(1z) D램 기술'과 SK바이오팜[326030]의 '뇌전증 혁신신약 세노바메이트' 등을 올해 대한민국 산업을 이끈 '2020년도 산업기술 성과 16선'으로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공학한림원은 최신 기술과 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
삼성 "어려울 때일수록 과감하게"…코로나에도 '공격 투자' 2020-10-11 16:19:39
노광공정을 적용한 3세대 10나노급(1z) LPDDR5 모바일 D램을 생산 중이다. 10나노급은 반도체 미세회로의 선로폭이 10나노미터(㎚, 1㎚=10억분의 1m)대라는 뜻이다. 같은 10나노급이어도 10나노 후반은 1y, 중반은 1z로 부른다. 앞서 삼성전자가 생산한 2세대 10나노 D램은 1y 제품이었다. 평택 2공장의 한쪽은 여전히 공사...
"내년 D램 생산에 극자외선 공정 도입…낸드플래시 성능 향상" 2020-10-07 06:01:02
제조사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은 3세대 10나노급(1z), 4세대 10나노급(1a) 미세공정 기술뿐 아니라 2021년부터는 삼성을 필두로 EUV 시대에 공식 진입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EUV 노광 기술은 파장이 짧은 극자외선 광원으로 웨이퍼에 반도체 회로를 새기는 기술로, 기존 공정으로는 할 수 없는 초미세 회로 구...
30조 들인 평택 2공장 가동…이재용 '반도체 초격차' 속도낸다 2020-08-30 17:18:47
1y, 중반은 1z로 부른다. 앞서 삼성전자가 생산한 1·2세대 10나노 D램은 1y 제품이었다. 삼성전자가 EUV 공정을 적용해 선로폭을 더 줄였다는 의미다.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의 저전력 표준인 LPDDR5와 1z를 동시에 충족하면서 EUV 공정으로 D램을 제조할 수 있는 기업은 세계에서 삼성전자뿐이다. 업계 관계자는...
멈추지 않는 삼성의 '반도체 초격차'…세계최초 EUV D램 양산 2020-08-30 11:08:20
이곳에서 업계 최초로 극자외선(EUV) 공정을 적용한 3세대 10나노급(1z) LPDDR5 모바일 D램 생산을 시작했다. '세계 최대' 생산시설에서 '세계 최초' 제품을 내놓으면서 삼성이 반도체 초격차를 또다시 벌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 들어선 2공장은 연면적만 12만8900㎡(축구장 16개...
이재용의 `반도체 집념`…삼성, 세계 최대 평택 2라인 가동 2020-08-30 11:01:01
수 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에게 차세대 1z 16GB 모바일 D램을 업계 유일하게 제공함으로써 내년 출시되는 AI기능이 더욱 강화된 5G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RAM개발실 부사장은 "이번 1z나노 16Gb LPDDR5는 역대 최고 개발 난도를 극복하고 미세공정...
[속보] 삼성전자, 세계 최대 규모 평택 2공장 가동 2020-08-30 11:00:18
이곳에서 업계 최초로 극자외선(EUV) 공정을 적용한 3세대 10나노급(1z) LPDDR5 모바일 D램 생산을 시작했다. '세계 최대' 생산시설에서 '세계 최초' 제품을 내놓으면서 삼성이 반도체 초격차를 또다시 벌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 들어선 2공장은 연면적만 12만8900㎡(축구장 16개...
반도체 초격차 질주…삼성, 30조 투자 세계 최대규모 2라인 가동 2020-08-30 11:00:01
업계 최초의 3세대 10나노(1z) LPDDR5 제품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월 2세대 10나노급(1y) 공정으로 역대 최대 용량의 16GB(기가바이트) LPDDR5 D램을 양산한 지 6개월 만에 차세대 1z 공정까지 프리미엄 모바일 D램 라인업을 강화했다. 이번 제품은 기존 프리미엄급 스마트폰용 12Gb 모바일 D램(LPDDR5, 5500Mb/s)보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