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지난해 산업생산 전년비 1.1% 증가…역대 최저 2015-01-30 08:43:17
산업용기계 등에서 늘어 전년보다 4.6% 증가했습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의복 등 준내구재는 감소했지만 승용차 등 내구재,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늘어 전년보다 1.6% 상승했습니다. 한편 지난해 마지막 달인 12월 산업생산은 9월 이후 석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10월 0.4% 늘어난 데 ...
지난해 전체 산업생산 1.1%↑…2000년 이래 최저 2015-01-30 08:42:52
도소매 등에서 감소했으나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부동산·임대 등에서 늘어 전년보다 2.2% 증가했다.소매판매액지수는 의복 등 준내구재는 감소했다. 다만 승용차 등 내구재,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늘어 전년보다 1.6% 상승했다.설비투자는 전기기기 및 장치 등에서 줄었지만 자동차, 특수...
[특징주]백화점주, '52주 신저가'…소비 부진 여파 지속 2015-01-06 09:25:30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0% 증가하는데 그쳤다. 10월 0.2% 역신장한 것에 비해 개선됐으나 여전히 부진한 수준이다. 업태별로는 백화점이 마이너스 11.1%로 가장 부진했다.김기영 sk증권 연구원은 이에 대해 "전반적인 소비 모멘텀이 약해 객단가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채널간 경쟁강도가...
KDI "경제 성장세 둔화…내수 부진에 수출 감소" 2014-12-04 12:00:40
있다면서 현재의 경기 상태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기준치(100)까지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서비스업생산은 도소매업 등 민간소비 관련 업종이 다소 부진했지만 부동산·임대업, 금융·보험업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KDI는 평가했다. 민간소비는 소매판매액지수가 감소세로...
KDI "주요 경기 지표 부진…성장세 둔화" 2014-12-04 12:00:00
지수 순환변동치가 하락하는 등 경기가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주요 내수지표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도 감소로 전환되는 등 우리 경제의 총수요가 둔화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소매판매액지수가 감소로 전환되고 소비자심리가 약화되는 등 민간소비 부진이 지속되고 있고 설비투자지수도...
전미소매협회 "美 쇼핑시즌 매출 전년비 4.6% 증가 전망" 2014-11-28 11:30:21
가처분 소득 증가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7년래 최고 -경기회복 기대감···블랙프라이데이 전망 밝아 블랙 프라이데이 전망 전미소매협회 2014 쇼핑시즌 소매판매액, 6,199억 달러 예상 ->전년比 4.6% 증가 전망 국제쇼핑센터협회(ICSC) ->전년比 4% 증가 전망···최근 3년래 가장 큰 성장 국내증시...
10월 산업생산 전월보다 0.3%↑ … 회복세 미약 2014-11-28 08:42:25
감소했다. 10월 소매판매액지수는 한달 전보다 0.4% 줄어 9월(-3.2%)의 감소세를 이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4.2%)는 증가했으나 통신기기 등 내구재(-6.2%), 오락·취미·경기용품 등 준내구재(-2.8%) 판매가 줄어든 영향이다. 단통법 시행으로 소비자들의 신규 휴대전화 수요가 위축된게 소비에 악영향을...
돈 풀고 기준금리 두 차례 낮췄지만…소비심리 '꽁꽁'…세월호 직후보다 더 급랭 2014-11-26 21:38:24
막지는 못했다.ccsi를 구성하는 현재경기판단 소비자심리지수는 74로 10월보다 5포인트 떨어졌다. 6개월 후의 경기전망인 향후경기전망 소비자심리지수도 4포인트 하락한 87로 23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부동산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 역시 한풀 꺾였다. 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등 정부의...
KDI "경제, 미약한 회복세→전반적으로 부진" 2014-11-06 12:00:56
0.9% 감소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건설기성액, 소매판매액 등이 줄어들면서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해 전반적인 경기 회복이 정체되고 있음을 시사했다고 KDI는 밝혔다. 9월 중 소매판매액지수는 기저효과에도 1.6%의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도소매(0.3%), 숙박·음식(1.4%), 교육서비스(1.3%)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