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DVANCED TECH KOREA 2015 열린다.. 차세대 Display Forum 2015 동시개최 2015-08-03 10:43:06
및 소재가공, 계측테스트/수리/디바이스, 부품소재/진공코팅 등을 볼 수 있으며, 고기능성 전자재료 산업전에서는 액정소재/솔더페이스트/투명전극소재 등의 소재/재료, 원료/첨가제, 장비/장치, 가공 및 성형장비, 검사/측정 분석기술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전시회를 주관하는 디지털기술 관계자는 “본 전시회는 총 6개...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미래소재연구단, 두 물질 만나는 경계면 연구…1만번 충전 '슈퍼전지' 개발 2015-07-20 21:28:53
소재를 촉매로 써서 햇빛으로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소전극도 개발했다. 수소는 수증기 이외에는 어떤 물질도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연료다. 수소전극을 이용하면 공해 없이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김 교수는 “이 연구로 개발한 신소재는 배터리 반도체 의료기기 등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박병종...
[글로벌 재테크 알아야 번다] 후강퉁, 기업 `방대탄소` 2015-07-20 17:23:39
번다 후강퉁, 기업 `방대탄소`[출연] 장엘리 앵커 김석환 유안타증권 Global Biz팀 연구원 방대탄소(600516) 1. 아시아 최대의 탄소제품 생산업체(아시아 1위, 세계 3위) 2. 흑연전극, 용광료용 탄소벽돌, 탄소 신소재 등 3. 국책연구기관과 공동프로젝트 진행 4. 첨단소재수요 증가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자세한...
얼음으로 '전기통하는 플라스틱' 만든다…그래핀 대체 2015-07-07 14:36:15
신소재’ 그래핀의 2배 이상 많은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어 화제가 됐다.플라스틱이지만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고분자는 차세대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합성과 공정이 복잡해 아직 상용화되지 못했으나 폴리아닐린은 간단한 공정으로 합성 가능해 초소형 전자기기나 전지 전극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다만...
에너지기술硏, 신구조 촉매로 연료전지 내구성 개선 2015-06-29 14:48:34
전극 제조 공정 필요 없이 코어 셸 구조체의 합성과 이들이 고르게 분산된 연료전지용 전극을 동시에 제조할 수있다. 김 박사는 "이 연구 결과로 촉매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제조 공정이 단일화돼 연료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기술을 연료전지 촉매뿐만 아니라이차전지 전극소재와 화학반응용...
손목에 감는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시대 앞당긴다 2015-06-16 21:29:36
전극을 포함한 신소재로 만든다. 유기반도체는 휘거나 늘어나지 않는 딱딱한 기존 실리콘 재질의 무기반도체와 달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노영용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세계 최고 수준의 유기반도체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그동안 유기반도체의 단점으로 꼽힌 낮은 전하 이동성을...
[상장예정기업]'디스플레이 장비社' 에스엔텍 "25%가 中 매출…5년내 글로벌 기업 도약" 2015-06-15 14:21:23
있는 투명전극용 인듐주석산화물(ito) 증착용 플라즈마 장치와 장비 시스템을 개발해 국내외 디스플레이 패널 고객사에 판매하고 있다.이 시스 邦?현재 터치스크린 센서와 lcd(액정표시장치) 모듈 간 접합하는 공정에 사용돼 스마트폰과 중형 태블릿pc 제품의 디스플레이 모듈 생산에 적용되고 있다.주요 고객사로는 lg전자...
포스코, 불용성 티타늄 전극재 개발 성공 2015-06-11 15:48:34
밝혔다.불용성 티타늄 전극재는 정수기 등 가정용품, 발전소, 폐수 처리 시설, 제철소 도금 설비 등 산업재에 두루 사용되는 소재다. 전기분해 시 발생하는 산소나 염소에도 녹지 않는 내식성과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다. 불용성 티타늄 전극재는 그 동안 국산화가 안돼 일본이나 중국에서 전량 수입해서 써야 했다.포스코는...
그래핀필름 대면적 고속 전사기술 개발…상용화 앞당겨 2015-06-04 11:30:05
전극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그래핀 필름을 대면적 고속으로 전사해 생산할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임용택)은 4일 나노역학연구실 김재현 박사팀이 그래핀을폭 0.5m의 대면적 롤(roll) 전사 방식으로 분당 2m 속도로 전사, 유연한 투명 전도체 필름을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리튬전지 흑연전극 대체할 고용량 게르마늄 소재 개발 2015-05-28 12:01:05
"게르마늄산화물-탄소복합체 전극 최고 용량 구현"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폰 등 휴대용 기기 전원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소재인 흑연 전극을 대체할 고용량·고효율의 게르마늄계 전극소재를 개발했다. 포항공대 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팀은 28일 게르마늄 산화물(GeO₂) 및 금속(Ge), 탄소 복합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