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문학과 경제의 만남] <113> 디자이너의 아버지는 경제다 2013-06-21 15:28:47
창출한다고 믿어왔다. 이는 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의 논거로써, 이들이 수요보다 공급을 중시한 이유는 물건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이에 참여한 경제 주체들은 소득을 얻게 될 것이고, 이러한 소득에 기반하여 수요가 창출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어떤 물건을 만들어 공급하는 과정에서 노동력을 제공한...
[OX? 경제상식 퀴즈] 6월 24일자 2013-06-21 13:59:24
7. 미국 경제학자 케인스가 처음 주장한 것으로, 개인의 저축을 늘린 것이 국가적 저축 증가로 연결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소비를 줄이는 게 개인에겐 미덕일 수 있지만 기업의 생산 활동을 위축시켜 결국 국민소득이 줄어든다는 이것은? ①죄수의 딜레마 ②공유지의 비극 ③이스털린의 역설 ④절약의 역설 8....
전설적 게임회사 '밸브' 속살을 훔쳐보다 2013-06-17 09:01:32
미국인들. 후려치는 가격을 위해 이전 유명 심리학자와 경제학자를 고용하기도 한다는 소문이 있다. 에릭은 ''하프라이프' 때부터 2~3명의 학자심리학자나 경제학자를 고용했다'라고 말했다. 역시나, 핼로윈이나 크리스마스에 미처 생각하지 못하는 대작의 '폭탄세일'에는 이런 뒷배경이 있었다. 밸브의...
[Cover Story] 세계경제 '쥐락펴락'…Fed 출범 100년 2013-06-14 15:34:59
중앙은행이 기업인과 경제학자 등의 의견과 지역경제를 조사·분석한 내용을 묶어 책자로 발간한다. 표지 색깔이 베이지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fomc의 발언내용과 베이지북의 경기 진단은 금리는 물론 세계 경제를 전망하는 바로미터다. fed를 보는 시선이 곱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일부에선 금융시장 교란의 중심엔 fed가...
[Cover Story] 글로벌 금융시장 울리고 웃긴 Fed…위기땐 '구원투수' 2013-06-14 15:25:35
경제학자들은 뉴욕증시 폭락 여파가 크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는 그린스펀의 현명한 대처 덕이라고 평가한다. 통화·금리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것 또한 fed의 중요 역할이다. 통화·금리 정책은 달러를 독점적으로 발행할 권한이 있는 fed가 다양한 정책수단을 활용해 통화량·금리가 적정한 수준에 머물도록 하는...
[인문학과 경제의 만남] <112> 파레토 법칙과 롱테일 법칙 2013-06-14 15:20:44
있는 것이다. 파레토법칙은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어떤 결과의 80%가 20%의 원인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혹자들은 이 비율에 빗대어 파레토법칙을 ‘8 대 2 법칙’으로 부르기도 한다. 저명한 후생경제학자인 파레토는 생전에 자원 배분에 대해 깊이 연구했는데, 영국의...
[경제사상사 여행] "富 축적은 신의 축복"…자본주의 발전 원천 종교서 찾아 2013-06-14 15:18:29
겸 경제학자 베블렌과의 세기적인 논쟁에서도 드러난다. 저 멀리 아메리카 대륙의 중심부에서 베블렌이 자본주의를 야만적 진화와 착취의 대표적 사례라고 목소리를 높일 때 유럽 대륙의 한복판에서 베버는 자본주의 정신이야말로 인간의 약탈적 행동을 중단시킨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논리를 폈다. 베블렌이 자본가를...
[책마을] 케인스는 틀렸다…우린 여전히 배고프기 때문에 2013-06-13 17:19:36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사회가 될 것이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1930년 ‘우리 후손을 위한 경제적 가능성’이란 에세이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자본주의가 펼칠 바람직한 미래상을 보여 주기 위해 쓴 이 글에서 케인스는 자본 축적과 기술 진보를 통해 100년 뒤의 풍요로운 세상을 예견했다. 케인스가 말한...
조조에 쫓기면서도 백성 버리지 않은 유비는 '리더십의 교과서' 2013-06-13 15:30:11
의사 결정을 방해한다’는 내용의 논문으로 경제학자가 아님에도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습니다.” 카네만 교수는 “인지적 오류는 주로 경험에서 비롯된다. 현재 맞닥뜨린 문제를 과거 잘됐던 경험에 맞춰 해결하려다가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인지적 오류는 너무 교묘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오류를 저지르는 과정에서 ...
"동시만기 변동성· 금리 변수 체크해야" 2013-06-13 10:11:03
인터뷰 식으로 보자. 먼저 BNP파리바 수석 경제학자는 지금 연준 양적완화 축소를 예상하는 것 자체가 너무 시기상조라며 최근 미국 경제지표가 혼조세다, 즉 확실한 경기확장국면을 이야기하기에는 정황상 부족하다고 이야기했다. 따라서 다음 주 FOMC 이후 버냉키 연준의장의 기자회견 내용을 잘 봐야 하는데 이 자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