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풍어요" 강원 동해안 겨울철 별미 '양미리' 어획 급증 2018-11-01 06:32:01
큰가시고기목의 양미리과에 속하고 까나리는 농어목의 까나릿과에 속한다. 개체 수에서도 연안에서 많이 잡히는 까나리에 비해 양미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적다. 하지만 동해안에서는 오래전부터 까나리가 어민들과 지역민 사이에서 양미리로 불리고 있다. 까나리는 서해와 남해안에서, 양미리는 동해안에서...
[ 사진 송고 LIST ] 2018-10-25 15:00:01
윤소하 10/25 11:39 서울 사진부 고기 손질법 설명하는 정성구 셰프 10/25 11:40 서울 사진부 '미국산 육류 멘토링 쿠킹클래스' 10/25 11:40 서울 김도훈 질의하는 이춘석 의원 10/25 11:40 서울 진성철 '버스 하차 후 무단횡단, 위험 위험 위험' 10/25 11:40 서울 김승두 '카드수수료...
성남 탄천서 멸종위기 물장군·금개구리 발견 2018-10-25 10:27:03
때, 금개구리는 지난 9월 습지 관리작업 때 연못가 가시연(멸종위기 식물) 위에 앉은 채로 각각 관찰됐다. 2009년 탄천 일대에 2만4천㎡ 규모로 조성된 탄천 습지생태원에는 116종의 육상 곤충, 64종의 수서생물, 10종의 민물고기가 서식하고 있다. 금개구리는 한국의 고유종으로 연두색 몸체에 등에는 두 줄의 금색 선이...
이집트, 歷史의 '보물창고' 2018-10-21 15:52:06
기온 14~24도로 무더위가 가시는 11월부터 여행 성수기가 시작된다. 햇빛도 성난 기운을 감춰 한국의 봄·가을과 비슷한 날씨다.이집트는 그리스, 이슬람 등 각 문명의 문화가 섞여 있는 만큼 음식 종류도 여러 가지다.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에서는 지중해식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마늘과 양파를 곁들인 메뉴가 많아...
[직격 인터뷰] 이광기 "올해도 아이티 갑니다"…아들 잃은 슬픔, 나눔으로 2018-10-19 15:46:19
등의 작품에서 노련한 연기로 사랑받았다. 또 연극 '가시고기', '민들레 바람되어' 등의 작품에 출연하고, 앨범 '웃자웃자', '맹꽁이 아빠' 등을 발표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을 해왔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양양지역 하천 수중생태계 양호…꺽지·버들치 청정 어류 서식 2018-10-15 13:54:12
없이 꾹저구와 미꾸라지, 가시고기, 붕어 등이 발견됐다.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의 경우 남대천 0.4ppm, 후천과 물치천이 0.8ppm으로 나타나 수질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ppm 이하면 하천의 수질을 1급수로 평가한다. 박경열 환경관리과장은 "지역의 젖줄인 남대천의 경우 생태하천 육성을 위해 250억원이...
통상전쟁 밀리는 中 '인플레 위험'까지… 시진핑 2기, 갈수록 암울 2018-09-11 17:43:26
고기·채소 값 뜀박질상하이증시 이틀째 추락 당국 '블랙스완' 방어 비상 [ 강동균 기자 ] 중국에서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중 통상전쟁 격화와 부채 위기, 금융시장 불안에다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한꺼번에 겹치면서 지난 3월 출범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2기에 먹구름이...
[눈길 끄는 연구] 전원없이 쉽게 구부러지는 컬러 냉각소재 개발 등 2018-09-07 18:57:46
점도 한계로 지목됐다. 이번에 개발한 소재는 가시광선을 증폭해 색채를 표현하는 부분과 냉각을 위해 장적외선 복사열을 뿜어내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절연체인 이산화규소층의 두께를 조절하면 선택적으로 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대장균 발효시켜 고기맛 내는 핵심요소 '헴' 생산kaist는 이상엽 특훈...
[한반도 이상징후] ③ "그물에 백상아리가…" 뜨거워지는 바다 2018-08-19 11:10:01
주변 바다에 사는 물고기를 조사해보니 자산어보에 기록되지 않은 26종이나 됐다. 이 가운데 당멸치, 일지말락쏠치, 샛돔, 독가시치, 바리밴댕이, 열동가리돔, 노랑촉수, 꼬치고기, 별넙치, 투라치, 동강연치 등 16종은 열대나 아열대에 서식하는 물고기였다. 수온 상승으로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인 명태는 한반도 해역에서...
뜨거워지는 바다…아열대 어종 밥상에 올릴 준비해야 2018-08-13 15:39:03
아열대성 어류는 청줄돔, 가시복, 거북복, 호박돔, 아홉동가리, 쥐돔, 철갑둥어 등으로 필리핀, 대만 연안에서 주로 서식한다. 부산과 경남 등 남해 연안은 물론 동해의 독도 주변 바다에서도 아열대에 사는 산호초와 물고기들이 자리를 잡은 것으로 확인됐다. 수산과학원이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전의 '자산어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