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진주-김천, 혁신도시 갈등 끝냈다…국토안전관리원 교육센터 이전 상생안 합의 2021-04-29 17:45:30
국토안전관리원 건축물관리지원 센터 기능을 확대해 건축물 점검 교육과정을 신설·운영한다. 건축물 점검교육은 지난해 건축물관리법 제정에 따라 신설된 교육으로, 지난해 남부권 교육인원이 3000명에 달했다. 건설인의 신규 수요와 3년마다 발생하는 보수교육 등을 감안할 때 연간 4000명 이상의 교육 수요가 발생할...
"이 대책 나오면 다주택자 '패닉'…집값 무조건 잡힌다" [집코노미TV] 2021-04-27 07:30:03
못 지었어요. 그래서 이제 건축물 공급이 없었죠. 그럼 수요는 그대로인데 공급이 딸리니까 당연히 가격이 올라가겠죠? 그런데 가격 안 올라갔습니다. 그 이유는, 에이 철근파동? 철근 자재가 부족한 건 조만간 해결 될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가격이 안 올라가는 거예요. 자, 아파트 없어? 없을 것 같은데? 더 이상 지을...
경기도 특사경, 화재 위험 고체연료 '허가수량 19배 초과 대형공사장 30곳 형사입건' 2021-03-18 14:55:48
건축물 공사장은 최소 허가수량(1000ℓ)의 3.5배를 초과하는 열풍기용 등유 3,540ℓ를 불법으로 저장?사용하다 적발됐다. 도 특사경은 형사입건된 업체 관계자 모두를 검찰에 송치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간이 소화장치를 차단하거나, 임시 소방시설 없이 용접을 실시해 화재 위험을 키운 공사현장 2곳도 관할 소방서에...
경기도, 오는 15일부터 의정부시 등 '산지 무단훼손 행위' 수사 착수 2021-03-10 15:06:03
창고 등을 설치한 766필지(97만5357㎡)다. 건축물 설치를 통해 훼손이 의심되는 곳을 집중 수사한다. 주요 수사 내용은 ▲허가를 받지 않거나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토지를 사용하는 ‘불법 산지전용’ 행위 ▲허가 없이 컨테이너, 모형물, 축사, 연못 조성 등 ‘불법 시설물 설치’ ▲무허가 나무 벌채 행위 등이다. 도는...
수소 승용차 안전교육은 폐지…복층형 수소충전소 설치 가능 2021-02-25 11:00:08
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 공포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앞으로 일반 수소승용차 운전자는 안전교육을 받지 않아도 된다. 제한된 입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복층형 수소충전소 건설도 가능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공포, 시행한다고 25일...
경기도내 지난해 화재건수 5.3% 감소, 반면 법률위반 단속건수를 '13.4% 증가' 2021-01-19 11:09:35
위반이 105건(27.6%)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폐기물관리법 위반 97건(25.5%), 건축법령 위반 96건(25.3%), 소방관계법령 위반 58건(15.3%), 산림보호법 위반 20건(5.3%) 등의 순으로 적발됐다. 산업안전보건법의 경우 용접 부주의가, 폐기물관리법은 쓰레기소각, 건축법령은 무허가 건축물, 소방관계법령은 소방시설...
경기도 건의,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 2020-12-22 13:20:13
건축물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 따라 공유재산관리계획의 수립?변경에 대한 사항을 지방의회에서 의결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때문에 행정절차 이행에도 상당기간이 소요됐다. 도는 이에 따라 지방위원회의 심의와 공유재산 취득에 관한 절차를 간소화하는 제도개선 사항을 정부에 건의하고,...
소규모 공사장도 사고 위험 있으면 안전관리계획 세워야 착공 2020-12-09 11:00:05
세워야 한다. 대상 공사는 건축물이 2층 이상 10층 미만이면서 연면적 1천㎡ 이상인 공동주택·근린생활시설·공장과 연면적 5천㎡ 이상인 창고다. 시공자는 발주청이나 인허가 기관으로부터 계획을 승인받은 이후에 착공해야 한다. 사고예방 효과를 높이도록 안전관리계획의 세부 규정도 개선됐다. 현장을 수시로 출입하는...
국토부, 소규모 건설현장 안전 규정 강화 2020-12-09 11:00:00
주요 대상으로는 건축물이 2층 이상 10층 미만이면서 총면적 1천㎡ 이상인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공장, 총면적 5천㎡ 이상인 창고다. 시공자는 발주청이나 인허가기관으로부터 계획을 승인받은 이후에 착공해야 한다. 또 시공자의 업무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사고예방 효과는 달성할 수 있도록 안전시설물 설치계획 등...
잇따른 건축물 화재로 초비상... 건축자재부터 점검필요 2020-12-09 10:38:52
건축물은 층수와 상관없이 가연성 외장재 사용을 전면제한하고 준불연 이상의 외부마감재를 사용하게끔 되어있다. 또한 정부에서 화재안전성능보강을 의무화하는 ‘건축물관리법’을 개정하여 건축물의 유지관리가 체계적으로 개선되었으며, 노후된 건축물의 화재안전성 확보에 힘쓰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