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대만총통 친미후보 당선에 韓 반도체 반사이익? 악영향? 2024-01-14 11:15:10
수 있다. 중국이 지난해 갈륨, 게르마늄, 흑연 등에 대한 수출 통제를 연달아 진행해온 것이 대표적이다. 배터리, 반도체 등에 쓰이는 핵심 광물을 틀어쥔 중국이 미중 갈등과 맞물려 한국에게도 수출 통제 등의 부정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해 10월 펴낸 '중국 흑연 수출 통제의 영향 및 대응...
'흑연 수출통제' 나선 중국, 한국 배터리업체들엔 수출 허가 2024-01-14 06:31:03
제조에 쓰이는 갈륨과 게르마늄의 수출 통제에 나섰다. 이를 놓고 국제사회에서는 '미국의 반도체 제재 등에 맞서 중국이 첨단산업 핵심 광물자원의 무기화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왔다. 특히 중국의 갈륨·게르마늄 수출 통제 직후 '심사 병목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핵심광물 확보 예산 6배 확대…산자부, 공급망 안정화 사업 본격화 2024-01-11 12:34:46
사업도 본격화한다. 지난해 게르마늄과 수산화리튬, 몰리브덴 등 4개 품목에 대한 대체 수입처 발굴 시범 사업에 이어 올해는 기업 수요를 반영해 10개 품목에 대한 대체 수입처 발굴에 나선다. 무역보험공사의 원자재 수입 보험 한도를 기존 5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확대했다. 핵심 광물 비축 예산도 작년 372억원에서...
공급망 안정에 '자립화·다변화·자원확보' 지원 강화 2024-01-11 06:00:01
발굴 전 주기를 지원한다. 지난해 게르마늄과 수산화리튬, 몰리브덴 등 4개 품목에 대한 대체 수입처 발굴 시범 사업에 이어 올해는 기업 수요를 반영해 10개 품목에 대한 대체 수입처 발굴에 나선다. 이를 위해 무역보험공사의 원자재 수입 보험 한도를 기존 5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확대했다. 핵심 광물 비축 예산은 작년...
시진핑의 '제조업 승부수'…전방위 무역 전쟁 위험 초래 양상 2024-01-08 11:24:17
대로 갈륨·게르마늄·희토류 등 첨단 반도체 제조 핵심 광물 수출을 통제하면서 대응 수위를 높일 심산인 듯하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저가 제조업을 유지하려 하면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신흥 개도국들 입지가 좁아져 분쟁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서방의 첨단 산업을 유치하려는 터키와 인도 등이 중국을 겨냥해...
中의 딜레마…美의 네덜란드 노광장비 '차단'에 대응할까 말까 2024-01-03 11:47:47
그동안 게르마늄·갈륨·흑연 등 첨단반도체 원료 수출 중단으로 맞서왔으나, 이번엔 마땅한 대응책이 없어 보인다. 무엇보다 올해부터 유럽연합(EU)이 미국의 디리스킹(위험 제거) 공세에 본격적으로 가세할 걸 우려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 새해 벽두 美 '일격'…中 "패권주의" 비난하지만 '뾰족한 수'...
미국 대활약에 기름·가스값 안정, 한숨 돌린 한국경제 [원자재 이슈탐구] 2024-01-01 17:49:46
금속의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했다. 갈륨과 게르마늄을 해외로 선적하기 시작하거나 계속하려면 중국 상무부에 허가를 신청해야 하며 해외 구매자와 신청에 대한 세부 정보를 보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럽연합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은 갈륨 공급의 94%, 게르마늄 공급의 83%를 차지하고 있다. 두 금속은 칩 제조, 통신 장비...
A to Z로 돌아본 2023년…생성 AI 상용화, 한일관계 복원, 이스라엘-하마스戰 2023-12-27 19:11:11
8월 갈륨·게르마늄 수출을, 10월 흑연 수출을 통제했다.V 거야 입법독주와 거부권의 충돌Veto - 윤석열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한 해 내내 주요 쟁점 법안을 두고 대립했다. 윤 대통령은 양곡관리법 개정안(4월) 거부권을 시작으로 간호법(5월), 노란봉투법·방송3법(12월)을 국회로 돌려보냈다.W '위고비'가 부른...
"핵심광물 중국 의존도 절대적…해외자원개발·수입다변화 시급" 2023-12-27 10:05:00
발표 갈륨·게르마늄 생산 중국 의존도 90%↑…희토류 가공 80%↑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한국은 광물자원의 자급률이 3% 수준에 불과해 핵심광물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해외자원 개발과 수입 다변화, 국제협력 강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진수 한양대 교수는 2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연합시론] '반도체 vs 희토류', 미중 공급망 갈등 2라운드 대비를 2023-12-24 14:04:53
들어간 갈륨과 게르마늄의 중국 의존도는 올해 상반기 87.6%였다. 공급망 다변화, 자립화, 해외자원 직접 개발, 핵심 광물 비축량 확대 노력은 속도를 높여야 한다. 미국이 중국산 저가 범용반도체 수입통제에 나선다면 중국산 반도체를 쓰는 한국 제품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으로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