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덴마크 총리, 기업 CEO들 '긴급 소집'…美관세 엄포 대책논의 2025-01-16 23:44:14
미국이 우려하는 북극 안보 강화에 더 많은 책임을 질 의향이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또 덴마크 기업의 미국 경제 기여를 부각하며 양측간 통상 확대에 '공통의 이익'이 있다고 강조했다. 총리실은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은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프레데릭센 총리는 이날 의회 외교정책위원회 회의가 끝난 뒤...
[가자 휴전] "지옥될것" 트럼프 경고에 포성 멈춰…우크라전에 영향주나 2025-01-16 11:40:15
상황에서 장기전에 돌입한 까닭에 경제성장률이 급락하고 재정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등 이스라엘 경제에 심각한 부담이 걸린 데다, 당분간은 이스라엘의 안보를 위협할 만한 주변세력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어서다. 하마스는 물론 하마스의 편을 들어 이스라엘 북부를 공격한 레바논 친이란 무장정파 헤즈볼라는 이번...
트럼프 안보라인, 北비핵화 대신 위기관리 강조…대북접근 격변? 2025-01-16 09:41:40
미국 조야에서 중국의 군사·경제적 성장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초당적 공감대가 존재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러나 현 조 바이든 행정부만해도 미중관계의 경쟁과 협력 양 측면을 동시에 강조하는 쪽이었다. '디리스킹'(de-risking·위험제거·핵심 기술 공급망에서의 중국 배제를 의미)을 표방하며 중국 견제에...
덴마크 총리, '그린란드 눈독' 트럼프에 "북극 안보 기여할 것" 2025-01-16 04:39:35
양측은 앞으로도 대화를 지속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날 통화는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덴마크령 그린란드 편입을 위해 사실상 무력 수단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은 이후 이뤄진 첫 직접 소통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당시 그린란드와 파나마운하 통제권 확보를 경제·군사적 강압 수단을 쓰지...
"여야 협심 안하면 역사의 죄인될 것"…한덕수, 내란 국조특위서 작심비판 2025-01-15 17:49:49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에서 계엄 예비비 등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가 있었다는 민병덕 민주당 의원 질의에 “그런 사실이 없다. 관련 쪽지는 들어본 적도 없다”고 답했다. ‘김태효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1차장이 계엄을 염두에 두고 북파공작원부대(HID)를 미리 방문했다’는 야권 주장에 대해서는 인성환...
덴마크, 트럼프와 물밑대화…"그린란드 안 팔고 협력 강화" 2025-01-15 16:04:48
덴마크, 트럼프와 물밑대화…"그린란드 안 팔고 협력 강화" (서울=연합뉴스) 김계환 기자 = 덴마크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에 그린란드 매각 의사는 없으나 관련된 군사와 경제 문제에 대한 비공개 협상에는 기꺼이 응하겠다는 뜻을 비공식적으로 전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현지시간)...
트럼프 2기에도 '中압박' 쿼드 안보체제 강화 전망 2025-01-13 13:42:32
존 하워드 호주 총리가 회동했다. 4개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경제와 군사적인 연대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정기적인 회담을 갖기로 했다. 4개국은 2007년 처음으로 '4자 안보대화(quadrilateral security dialogue)'를 개최했다.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 미국의 딕 체니 부통령, 오스트레일리아의 존 하워드...
[트럼프2기 출범] 주한미군·무역·북핵 외교에 변화의 바람 부나 2025-01-12 07:11:07
우려가 나온다. 문제는 경제와 안보 등 상이한 의제를 엮어 압박 강도를 높인 뒤 원하는 바를 얻는 트럼프 당선인의 협상 스타일에 비춰 방위비 분담금 인상, 주한미군 철수·감축 압박, 북미 직접 대화, 관세 무기화 등이 별개로 움직이지 않고 '패키지'로 한국에 다가올 수 있다는 점이다. 비상계엄과 이어진...
[트럼프2기 출범] 우크라·중동 '2개의 전쟁', 외교안보 첫 시험대 2025-01-12 07:11:04
대통령과의 대화 의지를 거듭 밝히는 한편, 9일에는 회담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 모두 대화 의지를 보이며 화답했지만 종전 협상을 둘러싼 세부 조건에서 입장차가 여전해 결실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토 가입을 조건으로 러시아에 빼앗긴 영토를 포기하고 러시아와...
[트럼프2기 출범] 美우선주의·관세폭탄 예고에 국제질서 대격변 조짐 2025-01-12 07:11:01
조 바이든 행정부가 주도해온 세계 안보·경제 질서를 대대적으로 바꾸려는 경향을 보여서다.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하면 우선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4년간 일궈온 미국의 '동맹 중시' 대외정책을 뒤흔들어 큰 틀에서 자신의 집권 1기 때의 정책 기조로 되돌려놓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집권 1기 때보다 더욱 강경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