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대한전선, 2027년까지 당진에 해저케이블 공장 신설 2024-11-18 16:48:36
특히 2공장은 기존 해저케이블 1공장보다 생산 품목과 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2공장에서는 장거리 송전이 가능한 초고압직류송전(HVDC) 해저케이블을 생산될 예정이다. 2공장 설립·가동에 따른 신규 고용 창출 인원은 약 500명으로 예상된다. 대한전선은 지역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가족친화적...
[커버스토리] '슈퍼 선거의 해'…고물가가 심판했다 2024-11-18 10:01:01
안보 우산’ 약화, 우리나라는 주한미군 전력 감소와 안보 위험을 걱정할 수밖에 없어요. 1930년대 데자뷰의 경고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는 미국 공화당 전통으로 회귀하는 겁니다. 그런데 그 전통이 얼마나 큰 역사적 고통을 불렀는지 알 필요가 있습니다. 대호황의 1920년대를 지나던 세계경제는 1929년 10월 갑작스러운...
'환율·美국채·광물'…트럼프 2기 무역전쟁 대응할 中카드는 2024-11-15 16:17:06
상승한다. 국채 금리가 올라가면 시중금리가 치솟아 미국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중국은 그동안 '탈달러'를 추진하며 꾸준히 미 국채 보유량을 줄였다. 현재 보유한 잔액은 2017년 대비 3분의 1 이상 줄어든 상태다. 블룸버그는 다각화와 달러화 자산 보유 위험성을 고려할 때 중국의 미 국채 매도세가 계...
기재부 "尹정부, 외환 구조개선·WGBI 편입 결정 성과"(종합) 2024-11-11 16:36:47
내놓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지난 6월 시행된 '경제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 후속조치로 경제안보품목 수급안정, 물류·사이버 안보 등 인프라 강화 등의 내용을 담아 '공급망 안정화 기본 계획'을 연내 발표할 방침이다. sj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트럼프 2기, 국가안보 이유로 車관세 올릴 가능성 대비해야" 2024-11-11 15:05:53
논의했다. 11일 한국경제인협회 초청으로 열린 좌담회에는 역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김종훈 전 국회의원(2007∼2011 통상본부장), 박태호 법무법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장(2011∼2013 통상본부장), 유명희 서울대 국제대학원 객원교수(2019∼2021 통상본부장) 등이 참석해 머리를 맞댔다.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트럼프 재집권] 글로벌 '관세 난타전' 비화 땐 韓수출 60조원 넘게 감소 관측도 2024-11-06 18:23:19
한국 경제에는 또 하나의 불안 요인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가드레일'을 통한 중국과의 '경쟁 관리·충돌 방지' 기조를 중시했다. 반도체, 이차전지 등 경제 안보에 직결되는 첨단 전략 산업에 초점을 맞춰 중국을 배제하되 일반 경제 부문에서는 상호 이익이 되는 중국과의 협력 틀을 유지하는 이른바...
[단독] 한국도 전략물자 독자 수출통제 길 열렸다 2024-11-05 16:37:55
등 국제수출통제 체제에서 합의된 품목에 대해서만 수출 통제가 가능했던 것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수출통제를 가능케 하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 개정안의 핵심 내용이다. 이번 개정에서 정부는 ‘국제수출통제체제에서 논의된 안건에 대해 다수의 회원국이 수출통제 조치를 취하거나 수출통제 조치를 지지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멍은 인도…"러, 서방제재 뚫고 엔비디아 AI칩까지 수입" 2024-10-28 17:35:15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를 통해 서방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러시아와도 전략적 파트너로 가까운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인도는 오랜 기간 러시아 군사 장비에 의존하고 있기도 하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래 서방은 러시아를 상대로 전면적인 제재에 나섰지만 인도는...
3분기 누적 석유제품 수출량 역대 최대…호주·일본서 확대 2024-10-24 11:00:01
351억5천만달러(약 48조원)를 기록, 국가 주요 수출 품목 중 반도체, 자동차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수출 품목별로 보면 경유(41.1%)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휘발유(22.6%), 항공유(18.3%), 나프타(8.4%) 순이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석유 수요 둔화 속에서도 수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은 호주, 일본 등...
"관세 가장 아름답다"는 트럼프…韓 대미흑자는 역대 최대 2024-10-20 07:01:00
무역 적자 해소를 대외 경제 정책의 핵심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대미(對美)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수출 호조에 힘입어 역대 최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만일 '트럼프 2기' 시대가 열린다면 한국이 주요 무역 압박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적극적 대미 소통이 중요해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