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中 주요도시 82개 중 절반 가라앉는 중…2억7천만명에 영향" 2024-04-19 10:52:39
토목공학자인 로버트 니콜스는 "지반침하 문제는 매우 큰 문제로 국가적인 차원을 넘어 국제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며 대책 마련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구진들은 지반침하는 완전히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하는 열쇠는 지하수 추출을 제한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js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AI·바이오 플라스틱·식품 활용'…신진 생물공학자 성과 뽐내 2024-04-18 19:09:16
공학자 성과 뽐내 생물공학회 신진 연구자 포럼…데이터 증가로 대세는 'AI' 학교서 생명공학 '적극 홍보'…데이터 접근 개선 의견도 (창원=연합뉴스) 김현수 기자 = 18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한국생물공학회 춘계 학술 발표대회'에서 신진 연구자들이 인공지능(AI) 기반 단백질 구조...
[책마을] 초대형 건축물을 짓는 공학기술들 2024-04-12 18:10:39
저자 그레이디 힐하우스는 토목공학자이자 과학 커뮤니케이터다. 구독자 369만 명에 달하는 유튜브 채널 ‘프랙티컬 엔지니어링’을 운영하며 대중을 상대로 공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 영상을 제작해 왔다. 현대인의 평범한 일상은 밝은 빛을 선사하는 전력망,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상수도, 휴대폰을 연결하는 통신망 등이...
[위클리 스마트] AI가 넓힌 디자인 지평…이젠 인문 교양이 뜬다 2024-04-06 10:00:03
AI디자인학과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기존의 공학자나 디자이너가 이루지 못한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융합적 인재 육성이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 모든 분야의 실무에 능한 인재를 키워낼 수 있는 중심에는 급속도로 발전하는 AI 기술이 자리하고 있다. 정 총장은 "시나리오 작성부터, 사진·영상 생성, 편집까지...
2.6㎞ 볼티모어 다리, 선박 충돌에 순식간에 주저앉은 이유는(종합) 2024-03-27 21:09:05
준수했다"고 말했다. 버지니아공대의 구조 공학자인 로베르토 레온은 교량의 설계와 건설 과정에서 공학자들이 선박 충돌 등과 같은 '극단적인 사건'을 감안하지만, 볼티모어 교량이 건설될 당시에는 이번 사고를 일으킨 컨테이너선과 같은 크기의 선박들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형태의 선박은...
2.6㎞ 볼티모어 다리, 선박 충돌에 순식간에 주저앉은 이유는 2024-03-27 16:37:38
보이긴 했다"고 덧붙였다. 버지니아공대의 구조 공학자인 로베르토 레온은 교량의 설계와 건설 과정에서 공학자들이 선박 충돌 등과 같은 '극단적인 사건'을 감안하긴 하지만, 볼티모어 교량이 건설될 당시에는 이번 사고를 일으킨 컨테이너선과 같은 크기의 선박들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형...
러 로사톰 "우즈베크 원전 건설에 한국·프랑스 참여할 것" 2024-03-27 02:31:04
프로젝트가 아닐 것"이라며 "프랑스, 한국 등 전 세계 공학자, 회사들과 함께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2017년 러시아는 우즈베키스탄과 총 설치용량 2천400메가와트(MW) VVER-1200 원전 2기를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중앙아시아 유일의 가동 원전이 될 이 시설은 우즈베키스탄 투즈콘 호수 인근 자자흐 지역에 건설될...
與 비례 1번 최보윤…韓 비대위 2명 당선권 포함 2024-03-18 18:57:39
인권위원, 2번으로는 탈북자 출신 공학자 박충권 현대제철 책임연구원이 올랐다고 발표했다. 올림픽 사격 금메달리스트인 진종오 선수는 4번을 받았다. 3번은 최수진 한국공학대 특임교수에게 배정됐고, 여성 최초로 ‘투스타’ 장군을 지낸 강선영 전 육군항공작전사령관은 5번을 받았다.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에서...
한국 기술에 세계가 놀랐다…"YOU WIN" 엄지척, MIT도 감탄 [강경주의 IT카페] 2024-03-18 09:36:30
60점으로 2위에 그친 MIT 팀을 비롯해 이탈리아와 홍콩에서 온 로봇 공학자들은 믿기지 않는다는 표정을 지었다. MIT 팀은 KAIST 로봇을 향해 "YOU WIN"이라며 엄지를 치켜세웠다. 최근 '올해의 KAIST인 상'을 수상한 명현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얘기다.자율 보행 기술의 핵심 '드림워크'명...
데니스 홍 교수 "기업의 혁신적인 도전 없으면 로봇 기술도 퇴보" 2024-03-14 18:43:55
자동차를 개발한 로봇 공학자로 유명하다. 바디프랜드는 지난 1월 그를 글로벌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홍 교수가 생각하는 로봇의 존재 이유는 간결 명확하다.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고, 사회를 이롭게 하는 것. 그는 최근 인력난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이 로봇을 적극 도입하는 상황을 언급하며 “서빙 로봇, 청소 로봇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