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손가락에서 혈압 재는 '1석5조' 활력징후 측정 장치 개발 2022-01-05 15:34:37
이 대학 기계·항공 공학 부교수 린지안이 이끄는 연구팀은 손가락 끝의 혈관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광센서를 이용해 5초 이내에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학술지 'IEEE 센서 저널'(Sensors Journal)에 발표했다. 스마트워치에서 빛을 이용해 혈류를 측정,...
에이서, 170Hz 고주사율 27인치 게이밍 모니터 국내 출시 2021-12-24 18:06:26
95%의 폭넓은 색 영역 지원을 제공한다. 178도 광시야각으로 상화좌우 어떤 각도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경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신제품은 오버클럭이 가능한 최대 170Hz 주사율과 0.5ms 빠른 응답속도를 통해 부드러운 화면 전개가 가능하다. 블루라이트 쉴드, 플리커리스, 로우 디밍, 컴피뷰 등 에이서만의 시력보호...
서귀포 치유의 숲·오징어 게임 '관광의 별' 됐다 2021-12-21 15:00:01
관광 약자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카누의 한쪽 면도 개방형으로 만들어 휠체어나 유모차가 부담 없이 진입할 수 있게 했다. ‘신규 관광지 중 독특한 매력으로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관광지’ 분야에서는 ‘9.81파크’가 선정됐다. ‘9.81파크’는 자동차 공학,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스포츠와 게임을...
[인하대 2021 초기창업패키지] 반도체 기술의 하나인 광 다이오드 칩 개발하는 ‘포토니솔’ 2021-12-20 20:09:01
기자] 포토니솔은 반도체 기술의 하나인 광 다이오드 칩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인하대 물리학과 교수인 김경헌 대표가 2020년 7월에 설립했다. 김 대표는 “전자 기반의 전자공학(electronics) 기술처럼 광자(photon)를 기반으로 한 광자공학(photonics) 분야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이라고 말했다. 김...
美, 중국 기관·기업 무더기 제재…中 "결연 반대"(종합3보) 2021-12-17 16:53:18
생명공학을 비롯한 첨단 기술을 발전시키려는 중국의 위협에 조치를 취한다"며 중국을 포함해 말레이시아와 터키 등 모두 37개 기관 및 기업에 대한 수출 제재 방침을 밝혔다.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생명공학과 의학은 생명을 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지만, 중국은 이를 종교·인종적 소수자들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데...
'올림픽 외교 보이콧' 美, 中에 무더기 제재…신장제품 수입금지(종합2보) 2021-12-17 04:48:49
생명공학을 비롯한 첨단 기술을 발전시키려는 중국의 위협에 조치를 취한다"며 중국을 포함해 말레이시아와 터키 등 모두 37개 기관 및 기업에 대한 수출 제재 방침을 밝혔다.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생명공학과 의학은 생명을 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지만, 중국은 이를 종교·인종적 소수자들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데...
"미, 中기업 또 무더기 제재…세계최대 드론업체 DJI 포함"(종합2보) 2021-12-15 17:03:20
16일 생명공학 관련 기업 등 24개 이상의 중국 기업을 제재대상에 올릴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미 정부는 또 중국 최대 반도체 회사인 SMIC(中芯國際)에 기술을 판매하는 미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 통신은 "기술 패권에서부터 인권에 이르기까지 모든 문제에서 맞붙고 있는 미중 간...
"미, 中기업 또 무더기 제재…세계최대 드론업체 DJI 포함"(종합) 2021-12-15 15:41:15
16일 생명공학 관련 기업 등 24개 이상의 중국 기업을 제재대상에 올릴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미 정부는 또 중국 최대 반도체 회사인 SMIC(中芯國際)에 기술을 판매하는 미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 통신은 "기술 패권에서부터 인권에 이르기까지 모든 문제에서 맞붙고 있는 미중 간...
정전기가 만든 '천연 끈끈이'…1억 배 빠른 '빛 반도체' 될까 2021-12-10 17:47:40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이른바 광전자공학(옵토일렉트로닉스)이다. 30여 년 전 처음 등장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분야다. 다만 아직 갈 길은 멀다. 빛은 직진성이 강해 전자보다 컨트롤이 훨씬 힘들다. 회로를 복잡하게 만들어도 전자는 길을 잘 찾아가지만, 빛은 그렇지 않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1940년대 등장한...
'양자물질 성질 조절' 차세대 광소자기술 세계 최초 구현 2021-12-09 01:00:00
있는 차세대 광소자 기술인 양자 플로켓 공학(Floquet engineering) 기술을 구현한 것으로, 재료과학 또는 광학 분야에서 향후 높은 활용도가 기대된다. 특히 기존 실리콘 기반의 반도체 칩을 빛을 이용한 광전자소자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열 손실을 크게 줄이는 등 에너지 소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