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달러-원, 달러 초강세에 1,470원 턱밑 마감 2025-01-03 02:29:50
멕시코와 중국, 캐나다 등 주요 무역 교역국에 대규모 관세를 예고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대규모 관세 부과에 따라 미국 물가가 재차 고개를 들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더불어 트럼프 행정부에서 세금 인하와 규제 완화로 주요 기업의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반영됐다. 이에 한발 앞서 연준이...
트럼프 복귀 앞 역대 최대 대미흑자…무역수지 관리 필요성 커져(종합) 2025-01-01 17:48:36
2024년 557억달러로 매년 불어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10대 교역국·지역 가운데 가장 큰 흑자를 안긴 곳은 미국이었다. 이어 아세안(352억달러), 베트남(299억달러), 인도(123억달러), 유럽연합(EU·33억달러), 독립국가연합(CIS·28억달러), 중남미(13억달러) 등 순으로 흑자 규모가 컸다. 반면, 에너지 수입이 많았던...
코트라 "한·필리핀 FTA로 자동차·식품 수출 유망상품 떠올라" 2024-12-30 06:00:02
보유한 필리핀은 지난해 기준 한국의 15위 교역국이다. 올해 5.8%, 내년 6.1%의 견조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표적인 수출 유망 시장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발효 즉시 관세가 철폐되는 내연기관차, 화물차를 비롯해 5년 안에 관세가 철폐되는 전기차, 자동차부품을 수출 유망 품목으로 제시했다. 한류...
WTO 출범 30년…'美우선주의' 트럼프 귀환에 자유무역 체제 중대도전 2024-12-29 07:01:01
정부 관계자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 특성상 핵심 교역국인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과 연관된 통상 이슈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자적 접근뿐 아니라 WTO를 통한 다자적 접근 등 모든 방법과 가능성을 열어놓고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prayerahn@yna.co.kr dkkim@yna.co.kr (끝)...
관세청, 베트남과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상호인정 약정 2024-12-26 09:45:03
약정이다. 베트남은 우리나라의 3대 수출교역국이다. 이번 약정으로 10대 수출교역국과 AEO MRA 체결을 완료했다고 관세청은 설명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이번 약정 체결이 우리 기업의 수출 확대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필리핀 수출 車관세 즉시 철폐"…31일 한·필 FTA 발효 2024-12-26 06:00:04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세계무역기구(WTO) 다자통상 체제가 약화하는 시기에 FTA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며 "이런 의미에서 우리의 주요 교역국인 필리핀과의 FTA 발효는 우리의 무역망을 확충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cha@yna.co.kr (끝)...
멕시코 '中겨냥' 수입의류 관세…美 트럼프에 '같은 편' 부각 2024-12-23 03:24:00
상당) 어치를 수입해 미국의 최대 교역국에 자리했다. 마약 펜타닐과 이민자 유입 차단 미비를 문제 삼는 트럼프 관세 위협에 대해 멕시코는 양국 간 무역 규모를 부각하며 재고를 촉구하는 상황이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전날 북부 치와와주(州)에서 열린 공공병원 개원식에서 "우리 동포가 미국에서...
'엔데믹' 작년 北경제 4년만에 플러스 성장…중국 교역 급증 2024-12-20 12:00:00
수입품목은 '광물성연료, 광물유'로 18.4%를 차지했다. 최대 교역국은 중국으로 비중이 98.3%였다. 전년(96.7%)보다 의존도가 더 높아진 것이다. 지난해 북한 인구는 2천578만명으로 1년 전보다 9만명 늘었다. 남한 인구(5천171만명)의 절반 수준이다. 기대수명은 남자가 72.1세, 여자가 78.6세로 남한에 비해 남자...
환율 급등에 외환유입 규제 완화…은행 외화 유동성 확보 지원 2024-12-20 11:00:00
주요 아세안 교역국과 LCT 추가 체결도 검토할 계획이다. 위기 상황을 가정해 금융기관의 외화자금 부족액을 평가하고 이를 통과하지 못하면 유동성 확충계획 등을 제출하도록 하는 규제도 내년 6월까지 유예된다. 외환당국 간 국민연금 외환스와프 한도를 기존 500억 달러에서 650억 달러로 확대하고 만기를 2025년 말까지...
글로벌 각국 "트럼프 관세폭탄 대비하자"…ECB 기준금리 낮추고 中, 돈 더 푼다 2024-12-12 17:43:29
정부가 교역국들을 상대로 환율 조작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관세 폭탄’ 정책을 펴면 중국 등 국가가 자국 통화 약세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11일(현지시간)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