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가기술표준원, 사우디 표준청과 기술규제 분야 협력 논의 2024-01-16 11:00:02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사우디는 지난해 교역액 기준 한국의 7위 교역국이다. 국표원은 이날 SASO 대표단과의 환담에 이어 사우디 수출을 모색하는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사우디의 제품안전 프로그램(SALEEM)과 품질마크(SQM), 인증 플랫폼(SABER) 등 기술규제에 대한 설명회를 열었다. 진종욱 국표원장은...
더 밀착하는 중·러, 지난해 교역액 300조원 돌파 2024-01-14 15:29:01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중국과 러시아 교역 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전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뒤 양국의 교역 의존도가 커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13일 중국 현지 매체 참고소식은 중국 관세청(해관총서) 발표를...
중·러, 작년 교역액 300조원 돌파 '역대 최대' 2024-01-13 17:41:29
22년 29.3%에 이어 3년 연속 20% 이상을 기록했다. 중·러 교역액은 2천21년 1천468억8천만 달러(약 193조원)에서 2022년 1천900억 달러(약 250조원)로 증가한 데 이어 작년에는 2천억 달러도 넘어섰다. 참고소식은 "양국의 공동 노력으로 중·러 교역액 2천억 달러 달성 목표가 예상보다 앞당겨져 실현됐다"고 전했다....
중·러 작년 교역 26% 늘어 역대 최대…교역액 300조원 첫 돌파 2024-01-13 15:43:29
역대 최대…교역액 300조원 첫 돌파 3년 연속 20% 이상 증가…러, 우크라 침공 후 대중국 의존도 심화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밀착한 중국과 러시아의 작년 교역이 전년보다 26% 증가하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중국 매체 참고소식이 13일 보도했다. 중국 해관총서(세관)...
조코위 인니 대통령, 베트남 두번째 국빈방문…교역 확대 논의 2024-01-12 11:25:54
논의한다. 앞서 그는 2018년 9월에도 국빈 자격으로 베트남을 방문했다. 양국은 1955년 수교했으며 2002년 포괄적 동반자, 2013년 전략적 동반자로 관계를 격상했다. 작년 11월까지 연 교역액은 126억달러에 달했다.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내에서 인도네시아는 베트남의 세 번째로 큰 교역 상대다. 베트남은 인도네시아의...
라오스 총리, 베트남 방문…마약 대응 등 협력 방안 논의 2024-01-07 12:50:53
태국에 이어 라오스에 3번째로 많은 투자를 단행한 국가다. 지금까지 241개 프로젝트에 투자했는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54억7천만달러(약 7조2천억원)에 달한다. 지난해의 경우 11월까지 양국 간 교역액은 15억달러(약 2조원)를 기록했다. 양국은 국경 지대에서 교역 인프라 확대를 추진중이다. bumsoo@yna.co.kr (끝)...
푸틴 '우크라 전쟁' 뒤엔 中 있었다…군수물자 수출 10배 급증 2024-01-03 15:01:00
대외적으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를 표명해왔지만,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에는 동참하지 않아 사실상 러시아를 지지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작년 10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양국의 연간 교역액이 2000억달러에 육박해 역사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강조한 바...
한국, 중일보다 먼저 '걸프 FTA' 뚫었다…에너지 안보 강화 기대(종합) 2023-12-28 21:57:20
6개국 전체의 국내총생산(GDP)은 세계 9위 규모다. 한-GCC 간 교역액은 1천26억달러로 중국, 아세안, 미국, EU에 이어 우리의 5번째 교역 대상이다. 중동 시장을 놓고 경합 관계에 있는 주요국보다 먼저 FTA 타결에 성공한 것도 우리 기업에 당분간 유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GCC FTA로 거대 G...
한국, 중일보다 먼저 '걸프 FTA' 뚫었다…에너지 안보 강화 기대 2023-12-28 09:30:02
6개국 전체의 국내총생산(GDP)은 세계 9위 규모다. 한-GCC 간 교역액은 1천26억달러로 중국, 아세안, 미국, EU에 이어 우리의 5번째 교역 대상이다. 중동 시장을 놓고 경합 관계에 있는 주요국보다 먼저 FTA 타결에 성공한 것도 우리 기업에 당분간 유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GCC FTA로 거대 G...
중국, 우크라전에 노났다…대러무역 급증 속 자동차 수출 불티 2023-12-22 11:20:11
서방에서 중국으로 바꿨다. 이에 따라 러시아와 중국의 교역액은 올해 1~11월 2천억달러(260조원)를 넘어섰다. 이같은 액수는 양국이 2024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던 교역규모다. 올해 들어 11개월간 중국의 대러시아 수출은 2021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69% 치솟았다. 가장 큰 수혜자는 중국 자동차제조업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