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년간 150번 무단결근했는데…"부당해고" 판정에 '발칵' [곽용희의 인사노무노트] 2024-08-25 13:05:11
초 노동개혁의 일환으로 내세운 '근로시간 면제제도(타임오프제) 조사'로 인해 실체가 드러났다는 평가다. 고용부는 지난해 1월 10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장 중 노조가 있는 510여곳을 대상으로 타임오프제 근로감독에 나서면서 압박에 나섰고 이를 기점으로 공사도 조사 대상이 됐다. 공사는 적발된 전체 사업장...
포괄임금제 단속? "근로시간 개념부터 알려주세요" 2024-08-20 15:45:40
대법원은 근로시간이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을 받으면서 근로계약에 따른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이라고 하면서, 근로자가 작업시간 도중에 실제로 작업에 종사하지 않은 휴식시간이나 대기시간이라 하더라도 근로자에게 자유로운 이용이 보장된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지휘·감독을 받고 있는 시간이라면...
헷갈리는 도급? 파견?…계약서만 봐도 '답' 나옵니다 2024-08-19 16:14:36
소속 근로자에 대한 지휘, 감독적 사실관계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도급관계는 그 계약에서부터 아날로그적인 접근을 해야 적법한 도급관리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기세환 태광노무법인 대표 공인노무사 이 글은 한국경제신문 좋은일터연구소가 발행하는 ‘한경 CHO Insight’ 뉴스레터에 실린 기고입니다. ‘한경 CHO...
[칼럼] 강행규정인 근로기준법에 맞춰 노무관리하는 법 2024-08-19 15:08:32
최저임금, 통상임금, 근로조건 개선, 근로감독 강화 등의 노무 이슈로 인해 기업과 직원 간의 노무 분쟁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은 내부적으로 팀을 꾸려 자체 인사 및 노무관리를 하거나 전문 노무사를 통해 관리하고 있지만, 규모가 작은 기업은 노무관리에 소홀한 탓에 근로자와 사업주 간의 크고 작은...
"저출생 정책, 효과 따질 것…인구구조 변화 대응할 국가전략 준비" 2024-08-18 18:07:21
근로감독 면제와 대출 금리 우대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구부가 신설되면 이런 정책을 통합하고 기준도 통일할 것입니다. 추가 인센티브도 제공하겠습니다. 다른 부처와 협의해 세제 지원 등도 검토하겠습니다.” ▷수도권 과밀 등 구조적 문제 해결도 필요해 보입니다. “좋은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려 있으니...
용접·도장·관리소장까지…한국인 떠난 거제·창원, 외국인이 메운다 2024-08-18 17:58:29
곳곳에선 외국인 근로자들이 눈에 띄었다. 이 회사 근로자 500명 가운데 외국인은 8% 수준인 32명이지만 용접과 도장 등 배를 만드는 핵심 업무를 대부분 맡고 있다. 전체를 감독하는 관리소장은 한국인이지만 용접과 도장 공정 파트장의 99%와 파트장을 관할하는 관리소장은 모두 외국인 근로자였다. 외국인 없이는 배를...
"회사 문닫고 기사 생존권 박탈"…모두가 반대하는 '택시 월급제' 2024-08-14 17:56:21
지역이었기 때문”이라며 “법안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위반 업체 고발은 물론 위법과 편법으로 법을 회피하는 행태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택시발전법엔 위반 시 처벌 조항이 없지만 고용노동부에서 최저임금법,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다. 고용부 관계자는 “근로감독 청원이나 고소·고발이...
"일본 '긱 노동자'에도 최저임금·유급휴가 인정 방침" 2024-08-14 11:45:18
지시도 기업에 의한 노동자 지휘 감독 행위로 간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일본 공익재단법인 NIRA종합연구개발기구와 오쿠보 도시히로 게이오대 교수가 공동 조사한 결과로는 부업으로 긱 노동 경험이 있는 일본 인구가 약 27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앞서 유럽연합(EU)은 지난 3월 차량호출앱·배달앱...
법원이 "배달 라이더≠근로기준법상 근로자" 판단한 이유 2024-08-13 17:07:40
판결이다. 대법원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을 판단할 때 ◇업무수행 내용과 방법(업무수행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지, 사용자에 의해 근무시간과 장소가 지정되고 구속받는지, 취업규칙 또는 복무규정 등의 적용을 받는지, 업무수행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상당한 지휘·감독을 받는지), ◇독자적인 사업자성(근로제공...
"근로자였다. 퇴직금 달라"…재테크 수단이 된 근로기준법 2024-08-13 17:07:32
점을 이유로 하였다. 반면 제2심은 근로자성을 인정하였는데, 드라이버에게 근무수락 여부, 근무시간 등에 관하여 자유로운 선택권이 없었고, 업무 관련 사항 대부분에 관하여 구체적인 지휘·감독을 받았으며, 앱에서 정해진 틀을 벗어나 자신의 업무 내용을 스스로 정할 수 없다는 점이 주된 이유였다. 비록 대법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