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미국은 소설 '뿌리'나 먼저 읽어야"…'인신매매국' 지정된 北의 반발 2022-01-09 14:12:42
1976년 출판된 뿌리는 아프리카에서 노예상인에게 붙잡혀 미국으로 팔려 간 흑인 쿤타 킨테와 후손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이다. 전미 도서상과 퓰리처상 특별상을 받았으며 TV 드라마로 제작돼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북한 외무성은 “인신매매를 논하기에 앞서 터무니없이 남을 헐뜯기 좋아하는 미국의 정치인...
[CEO의 서재] 감염병 관리 능력이 국가의 미래 좌우한다 2021-11-17 17:34:58
제국은 몰락하기 시작했다. 18세기 노예무역선을 통해 아프리카로부터 유입된 황열병은 영국과 미국 동부 지역을 강타했고, 스페인은 남미에 천연두를 전파시켜 아스테카 문명을 몰락시켰다. 19세기에 이르러 서구 도시의 하수 처리 시스템이 개선되고, 20세기에 식량 대량생산과 항생제 개발이 이뤄지면서 인류는 이런...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상업에 무관심한 군사집단이 장기간 중동지역 지배…교역 주도권이 유럽에 넘어가며 '대항해 시대' 불러 2021-11-01 09:00:24
동방무역의 주요 관문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인도양 방면 무역과 달리 지중해를 통한 해상교역의 과실은 이슬람권이 아니라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이 챙겼다. 동로마제국과 특수 관계를 맺은 베네치아는 레반트 지역 교역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노예 교역과 해적질, 성유물 약탈 등은 수익이 많이 남는 사업이었고...
더는 英여왕 모시지 않는다…바베이도스, 55년만에 공화국으로(종합) 2021-10-24 19:08:00
28만 명가량의 섬나라 바베이도스는 과거 대서양 노예무역을 통해 형성된 국가로 17세기 영국에 점령됐다. 식민지 시절 영국 농장주와 흑인 노예들이 섬으로 이주했고, 지금도 인구의 90%가 아프리카계다. 1966년 영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했으나 계속 입헌군주국으로 남아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을 군주이자 국가 원수...
노벨 문학상에 난민 출신 탄자니아 소설가 구르나(종합2보) 2021-10-07 22:23:05
대한 향수를 피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인도양에 있는 다양한 섬과 노예 무역의 역사, 포르투갈, 인도, 아랍, 독일, 영국 등 식민지 강대국의 다양한 형태의 억압 등을 작품 배경으로 삼았다. 구르나는 1987년 아프리카의 재능 있는 젊은 주인공의 삶을 주제로 데뷔작인 '떠남의 기억'(Memory of Departure)을...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군사력 바탕으로 한·중·일 항로 독점한 장보고…범신라인 네트워크로 무역의 시대를 이끌었다 2021-09-13 17:34:53
많은 신라인들이 해적들에게 붙잡혀 당나라에 노예로 팔렸고, 이 사안이 사회문제로 대두됐다. 당나라는 823년 정월에 노비를 신라로 송환하라는 명을 내리고,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828년에는 10월에 ‘신라노비 매매금지령’까지 발령했다. 한편 일본 해안에는 신라 해적들이 자주 출몰하면서 국가 공물선까지 약탈했...
HMM 임단협 77일만에 극적 타결…물류대란 막았다(종합2보) 2021-09-02 15:01:59
노예와 같은 삶을 사는 선원들의 노동환경을 국민들이 조명해줬으면 한다"면서 "회사가 돈을 많이 버니까 돌려달라는 의미가 아니라 우리들의 삶에 관심을 가져달라는 의미에서 대승적으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한편 HMM 임단협 타결로 수출입기업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지난달...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당나라에 자리잡은 신라인과 고구려·백제 유민들…뛰어난 항해술로 운하경제와 해양무역서 맹활약 2021-08-30 09:00:01
승려, 유학생, 심지어는 노예로 팔려온 신라인들은 함께 신라촌을 이루고 살았다. 일종의 ‘신라타운’인 셈이다. 그리고 점차 ‘재당신라인(在唐新羅人)’이라는 존재로 탈바꿈한다. 운하경제와 해양무역에 참여한 재당신라인재당신라인들은 적국이던 낯선 외국에서 어떻게 생존을 유지하고 성공했을까. 이 시대에...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이슬람에 밀려 동방과 교역이 끊긴 유럽…모든 것 부족한 '시장 없는 경제'로 추락 2021-08-23 09:01:06
노예무역 정도만 명맥을 유지했을 뿐이다. 상업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지만 이전과는 다른 소규모의 국지 상업으로 위축됐고, 상인도 비정규적인 존재로 전락했다. 상품과 사치품은 상업을 통해서가 아니라 전쟁이나 약탈에 의해 유통되거나 선물 형태로 교환됐다. 촌락 중심의 폐쇄적 소비경제중세시대가 본격적으로...
[이희수의 21세기 아라비안나이트] 미국의 이슬람, 콜럼버스와 함께 시작됐다 2021-06-27 17:01:39
공급되면서 상당수 아프리카 무슬림이 미국에 터를 잡게 됐다. 노예무역이 성행하던 1619~1853년 약 250년 동안 1000만 명 이상의 아프리카인이 유럽과 남북미 대륙에 유입됐다. 이들 중 아프리카 무슬림을 20~25% 정도로 추산한다. 알렉스 헤일리의 논픽션 소설 《뿌리》의 주인공인 무슬림 쿤타 킨테가 1767년 메릴랜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