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최강럭비' PD "연예인들한테 럭비 시키면 오히려 쉬웠을 텐데" [인터뷰+] 2024-12-19 14:37:15
자신감을 내비쳤다. 장시원 PD는 19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 한 카페에서 진행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최강럭비:죽거나 승리하거나'(이하 '최강럭비') 인터뷰에서 "저는 제가 궁금한 것을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거 같다"며 "'최강럭비'도 상금도 없는 경기인데, 왜 이렇게 피 흘리고 다치면서...
'조명가게' 김설현 "김희원 감독 '촌스럽게 생겼다' 말한 후…" [인터뷰+] 2024-12-19 12:06:35
존경의 마음을 드러냈다. 김설현이 19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진행된 디즈니플러스 오리지널 시리즈 '조명가게' 인터뷰에서 "정말 많이 배웠고, 성장한 시간이었다"며 "많이 긴장하고 촬영장에 갔는데, 김희원 감독님은 함께 연기하고 고민해주시는 연출자였다"고 말했다. '조명가게'는 어두운 골목 끝...
계엄·탄핵에…네카오 '뜻밖의 특수' 누렸다 2024-12-17 16:23:34
달 같은 기간보다 줄었다. 다음은 3.28%에서 2.90%로, 마이크로소프트(MS) 빙은 3.21%에서 2.81%로 점유율이 소폭 하락했다. 업계에서는 네이버 점유율이 높아진 이유를 긴박한 국내 정세 때문으로 보고 있다. 국내 이슈나 상황을 빠르게 검색하고 파악하기 위해 토종 플랫폼을 찾은 이용자가 급증했다는 설명이다. 네이버...
'플랫폼 장벽' 허무는 네이버, 숏폼 키운다 2024-12-16 16:09:20
숏폼 영상을 노출해 얻은 광고 수익을 다음달부터 영상 제작자와 분배할 예정이다. 개인 방송 스트리머뿐 아니라 시청자가 만든 영상도 수익 공유 대상이다. 이번 업데이트로 네이버는 이 회사의 핵심 앱이자 포털 서비스인 네이버로 치지직 콘텐츠를 대거 유통할 수 있게 됐다. 네이버는 지난해 12월 치지직을 선보인 뒤...
[단독] 강호동도 손 털었다…가로수길 빌딩 166억에 매각 2024-12-16 10:52:47
있다. 유명 브랜드 상점들이 밀집해 있고, 다음 골목에 애플스토어가 있다. 강호동의 빌딩에도 유명 브랜드들이 꾸준히 입점해 왔다. 현재도 유명 패션 브랜드가 영업 중이다. 조남인 빌딩온 이사는 "매입 당시 은행에서 70억원을 대출받았고, 이후 6년간 보유했지만, 양도세 납부 등을 하고 나면 큰 차익은 보지 못한 걸로...
"돈 보고 결혼했네"...재벌 딸과 결혼한 男에 쏟아진 비난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2024-12-14 11:45:48
1905년 오스트리아의 수도 비엔나(빈). 카페에서 신문을 보던 사람들은 저마다 혀를 차며 이런 말을 주고받았습니다. 신문에 이런 제목의 기사가 실려 있었거든요. “비천한 출신의 예술가, 백만장자의 사위가 되다!” 기사의 내용은 이랬습니다. ‘한 유명 미술대학 교수가 결혼했다. 그런데 상대는 자신이 가르치던 열...
[에세이] '알바생' 황지원 씨의 하루 2024-12-13 17:37:35
한 무리의 물소 떼 같은 손님들을 보내고 나면 다음 식이 끝나는 3시30분까지 한숨 돌릴 수 있다. 구석에 앉아 친구들이 보낸 카톡을 보려는 순간 ‘쿠팡이츠 주문, 쿠팡이츠 주문’이 들려온다. 이상하다. 이 시간에는 배달 주문이 잘 없는데…. 밀려드는 주문에 결국 한 번도 못 앉았다. ‘사장님 대박 터지셨어요. 저는...
화면에 동그라미 그리면 AI가 대답…갤럭시 북5 프로 출격 2024-12-12 17:32:19
북5 프로 14인치형, 16인치형 두 모델을 선보였다. 다음달 2일 국내에 출시된다. 이민철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 갤럭시 에코 비즈 팀장(상무)은 “갤럭시 북 5프로는 AI 기술을 활용해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신제품의 차별점은 자체 갤럭시 AI와 마이크로소프트의 AI를 동시...
"하반기 모바일앱 사용자 1위 유튜브…생성형 AI 사용자 급증" 2024-12-12 11:34:26
분야별로는 인터넷·브라우저 부문에서는 네이버, 크롬, 구글, 삼성인터넷, 다음(760만명) 순으로 MAU가 많았다. AI 분야에선 챗GPT(258만명), SK텔레콤[017670]의 에이닷(239만명)이 200만명을 넘어섰고 뤼튼(77만명), 제타(58만명), 퍼플렉시티(29만명) 순이었다. 메신저·전화 부문에선 카카오톡(4천539만명)이 독보적...
"SNS로 계엄령 선포 처음 알았다"…카톡 감시 당할라 '공포' [유지희의 ITMI] 2024-12-08 10:21:38
"다음 카페 게시물을 보고 알았다", "카카오톡 단톡방에 관련 소식이 올라오지 않았으면 뒤늦게 알았을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들은 빠른 시간 내 계엄령이 철회된 배경에는 SNS 역할이 컸다고 평가했다. '빠른 계엄 해제에 SNS 등의 일조했냐'는 물음에 '그렇다'는 응답이 96%(681명)로 압도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