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아미코젠 "로피바이오, 안질환 복제약 국내 3상 계획 승인" 2024-07-01 09:47:58
황반변성, 당뇨병성 황반부종 등 치료제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다. 로피바이오는 이번 임상 3상에서 신생혈관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RBS-001과 오리지널약의 유효성, 안전성, 내약성(환자가 부작용을 견뎌낼 수 있는 정도), 면역원성(면역을 성립시키는 성질)을 비교할 예정이다. 임상...
최악의 경우 절단까지…'이런 증상' 보이면 당장 병원 가야 [건강!톡] 2024-06-29 14:19:28
당뇨병 환자가 특히 주의해야 하는 '고온다습' 여름철이 돌아왔다. 최악의 경우 절단까지 해야 하는 당뇨발(당뇨병성 족부궤양)을 피하기 위해서는 발이 시리거나 화끈거리는 경우, 붉거나 검게 변하는 경우 주의해야 한다. 2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당뇨병 환자는 368만7000여 명으로,...
[사이테크+] "노화·스트레스로 인한 간 손상 회복 가능…생쥐실험 성공" 2024-06-28 09:25:34
페로톱시스를 촉진하는 유전적 특징들은 당뇨병 환자의 심장과 신장, 췌장에서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손상된 간이 다른 조직의 페로톱시스도 증폭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디엘 교수는 "이 결과는 노화가 철분을 매개로 한 스트레스를 유발해 비알코올성 간 질환을 악화시킨다는 사실과 함께 약물로 ...
코오롱생명과학 "통증 치료제, 美 임상 1·2a상서 안전성 확인" 2024-06-27 14:33:51
5년까지의 장기 안전성·내약성 데이터 확보를 위한 추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선진 코오롱생명과학 대표이사는 "임상 시험 결과를 토대로 후기 임상 권장 용량 선정, 대상포진 후 신경통,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통증 등 적응증(치료 범위) 확대를 위한 약물 유효성 평가 목적의 후속 임상, 라이선스 아웃(기술 수출)...
코오롱생명과학,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 KLS-2031 미국 1/2a상 CSR 수령 2024-06-27 11:31:50
내약성 데이터 확보를 위한 장기 추적 연구를 진행 중이다. 김선진 코오롱생명과학 대표는 “이번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후기임상 권장용량(RP2D) 선정,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DPN) 통증 등 적응증 확대를 위한 약물 유효성 평가 목적의 후속 임상 또는 라이선스 아웃 등 다양한 개발 계획을...
SM 떠난 이수만, 100억 베팅…이 회사도 '먹는 비만약' 개발한다 2024-06-26 13:56:09
대사성 내독소혈증과 만성 저등급 염증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했다. 실제 전임상 결과에서 PG-102를 투여하면 베타세포(인슐린을 만드는 세포)가 더 잘 보존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만성질환자들은 대부 베타세포 자체가 파괴돼 있는 경우가 많다. 프로젠은 임상 1a상을 통해 약물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증명한...
[게시판] 식약처,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권고사항 추가 공개 2024-06-20 09:20:28
성 시험 권고사항 추가 공개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항암제, 당뇨병 복합제 등 품목별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에 대한 권고사항 10건을 개정하고, 41건을 추가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식약처는 국내 제약사의 제네릭(복제약)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11년부터 지금까지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디자인, 시험 대상 등에 관한...
대웅제약 "당뇨병약 엔블로, 1형 당뇨 반려견에 효능 확인" 2024-06-07 09:41:24
간접 지표로 활용된다. 저혈당증과 당뇨병성 케톤산증 등 부작용도 나타나지 았았다고 대웅제약은 설명했다. 대웅제약은 이번 연구 결과가 인슐린 주사제 외에 먹는 방식의 동물용 당뇨 치료제가 없는 시장에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물용 당뇨병...
신장도 고치는 '만능' 비만약…2200명 박수 쏟아진 현장 뒷이야기 [남정민의 붐바이오] 2024-06-01 07:54:02
만성 신부전(신장 기능이상)이 악화될 위험을 24% 줄여줬습니다. 신부전 증상이 심해지면 투석 혹은 신장 이식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그럴 위험을 24% 줄여준 겁니다. 신장질환 뿐만이 아닙니다. 주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도 18% 줄여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뇨병성 신부전 환자는 비당뇨성 환자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
서울대병원 "뇌경색 환자, 사는 지역따라 병원 도착시간 달라" 2024-05-31 11:12:25
성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격차 해소를 위해 지역별 맞춤형 대책과 자원 배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병원 도착이 늦어진 이유로는 경미한 증상(1.55배), 기존 질환(1.44배), 당뇨병(1.38배), 65세 초과 고령(1.23배), 흡연(1.15배), 고혈압(1.12배), 여성(1.09배) 등이 꼽였다. 이런 요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