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I 확산에…'광주 우치동물원 열대조류관 폐쇄 2017-06-08 09:49:49
폐쇄 물새장·맹금류사 접근 제한선 설치…다른 동물 관람은 지장 없어 (광주=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광주 우치공원사무소는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국적으로 확산함에 따라 8일부터 동물원 내 열대조류관 폐쇄 등 방역조치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우치동물원은 지난해 12월 20일, AI확산으로 100일간 전면 폐쇄한 뒤...
하늘 날다 건물에 '쾅'…도심 서식 천연기념물들 '수난' 2017-05-29 08:00:01
맹금류가 늘면서 건물이나 인공시설물에 부딪혀 목숨을 잃거나 부상하는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먹이나 번식활동이 활발해지는 이맘때면 야생동물 응급실이라 불리는 야생동물치료기관에는 각종 충돌 사고로 구조돼 치료받는 황조롱이나 올빼미, 수리부엉이 같은 천연기념물들이 넘쳐난다. 지난 28일 오후 청주시 오창읍에...
곤충부터 새까지 먹는 '때까치' 남산공원에 터 잡았다 2017-05-08 06:00:07
소형 맹금류다. 곤충이나 개구리·도마뱀 등 양서파충류, 소형 조류를 잡아다가 나뭇가지나 철조망에 꽂아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 이 때문에 생태학자들은 때까치를 살피면 주변 생태계 전반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 때까치 산란번식은 남산공원이 서울 녹지축 중심으로 다양한 생물종이 안정적인 생태계를 이루고 있음을...
야생으로 바뀌는 맨해튼?…빌딩숲 누비는 매, 눈에 띄게 증가 2017-04-04 00:49:15
의미한다"고 전했다. 맨해튼에서 맹금류인 매가 증가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쥐나 다람쥐, 비둘기 등 먹이가 늘어난 것이 하나의 이유로 거론된다. 또 뉴욕시가 쥐약 사용을 줄인 데 따라 쥐약을 먹은 쥐를 매가 먹는 경우가 줄었을 것이라는 설명도 가능하다. 이유가 뭐든 매가 늘어난 것은 맨해튼이 더 야생(?)으로...
[ 사진 송고 LIST ] 2017-02-27 17:00:01
덩칫값 못하는 흰꼬리수리 02/27 15:45 서울 한상균 봄일까? 02/27 15:45 서울 유형재 맹금류 흰꼬리수리의 '굴욕' 02/27 15:45 서울 박지호 제주지검, 형사3부 신설 02/27 15:45 서울 강민지 햇살 받기 좋은 날 02/27 15:48 서울 한상균 졸업비상 02/27 15:48 서울 이희열 박 대통령 탄핵 반대...
'오늘은 잉어요리' 서산 천수만서 삵 먹이활동 포착 2017-01-19 06:00:01
먹이가 줄면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고 김 원장은 밝혔다. 김 원장은 "천수만 일대에 서식하는 삵은 낮에도 먹이활동을 하러 모습을 자주 드러낸다"며 "사진 속에서 삵이 먹고 있는 잉어는 얕은 물가로 나온 것을 포획했거나 수리 등 맹금류가 잡은 것을 가로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min365@yna.co.kr (끝)...
'39종 374마리 희귀조류' 대전오월드 버드랜드 30일 개장 2016-09-27 11:58:18
플라잉존에서는 맹금류의 생태를 가까이서 지켜볼 수 있다. 버드 익사이팅존에서는 일본 조선대학교에서 기증한 희귀조류들을 만날 수 있다. 희귀조류를 비롯한 각종 동물에게 먹이 주기, 사진찍기 등 흥미로운 체험활동과사진으로만 볼 수 있던 각종 맹금류와 앵무새의 군무, 비행모습도 직접 관찰할 수있다....
서울 남산공원, 천연기념물 솔부엉이 발견 2016-08-10 07:00:16
쉬고, 어두워지면 활동하는 야행성 맹금류다. 주로 곤충이나 작은 새를 먹고, 나무구멍을 둥지로 삼아 3∼4개의 알을 낳는다.솔부엉이는 시민모니터링단이 설치한 인공새집 50여개 가운데 지름 구멍 9㎝의 대형인공새집에서 발견됐다. 인공새집에서는 솔부엉이 외에 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등 4종의 야생종류가...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천연기념물 수리부엉이 등 야생동물 725마리 '구조' 2016-07-11 12:17:44
멸종위기 2종인 하늘다람쥐는 물론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맹금류(수리부엉이, 황조롱이, 소쩍새, 솔부엉이 등) 등 멸종위기종 53마리, 천연기념물 247마리가 포함돼 있다. 야생동물구조센터는 이들 구조된 동물을 대상으로 치료와 재활 과정을 실시해 완치된 132마리를 자연으로 방생했다. 333마리는 치료·재활이 무...
[여행의 향기] 생생한 자연 속살을 만난다…태고의 신비 품은 원시밀림 2016-05-01 16:12:43
하다. 현재 300여종의 새가 살고 있으며 맹금류인 블랙 이글과 검은뿔작은매를 비롯해 희귀 조류인 코뿔새, 물총새 등을 볼 수 있다. 100만마리의 박쥐가 사는 박쥐동굴도 색다른 볼거리다. 카오야이의 북문(北門)에서 6㎞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박쥐동굴에 가면 한번에 100마리 이상 모여 날아가는 박쥐떼를 직접 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