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I 지각생 韓, 반도체·로봇 '제조 SW 생태계' 공략해야 승산 2025-01-07 17:57:31
날로 커지고 있다. 반도체는 설계-디자인-제조-산화-포토(감광)-식각-증착-배선-EDS(검사)-패키징이라는 10단계 공정을 거친다. 메모리와 시스템 반도체가 연결되는 AI 시대엔 가장 앞단인 설계와 마지막 단계인 패키징 기술이 중요하다. 둘 다 SW가 중심이지만 한국은 이 분야 원천기술이 없다. 최근 국내 반도체 기업이...
반도체 공정 혁신하는 TSMC와 대만 업체들 2025-01-07 16:15:31
패키징 기술도 도입할 예정이다. 이번 공정 변화는 TSMC가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에 따라 대만 로컬 장비 회사들이 주목받고 있다. 주로 후공정 패키징 방식 변화 위주다 보니 후공정 전문 로컬 장비 회사들에 주문이 몰리고 있다. CMP 공정 장비에 들어가는 부품을 만드는 킨익, 어태칭 디스펜서를 만드는 올링, 습식...
TSMC 올해 1분기 매출 역대최대 예상…"작년 4분기 38조원 추산" 2025-01-07 15:57:36
다른 소식통은 TSMC의 3, 5나노 공정과 첨단 패키징 제품에 대한 강력한 수요로 인해 지난해 4분기 매출이 8천600억대만달러(약 38조1천억원) 이상으로 시장 예상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나노는 반도체 회로 선폭을 의미하는 단위로, 선폭이 좁을수록 소비전력이 줄고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앞선...
한국 반도체 수출지형도 대변화…중 의존 낮아지고 미·대만 비중 커져 2025-01-05 07:01:01
작년 1∼11월 한국의 대만 반도체 수출액은 185억3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9.2% 급증했다. 이는 SK하이닉스의 엔비디아향 HBM 판매액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영향이 컸다. 통계상 SK하이닉스의 HBM 공급은 미국 수출이 아닌 중간 제조 기지인 대만 수출로 잡힌다. 팹리스 업체인 엔비디아의 주문을 받은 TSMC는 대만...
TSMC 출신 린준청 삼성전자 부사장, 계약 만료로 퇴사 2025-01-01 20:13:29
일하던 린 부사장은 작년 12월 31일 자로 2년간의 계약 만료로 퇴사했다. 린 부사장은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경쟁사인 TSMC에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일한 반도체 패키징 분야 전문가로, 대만 반도체 장비 기업 스카이테크의 최고경영자(CEO)를 지냈다. 삼성전자는 2023년 초 패키징 관련 기술 및 제품 개발 등을...
삼성전자 영입 TSMC 출신 린준청 부사장, 계약 만료로 퇴사 2025-01-01 18:56:53
기자 = 삼성전자가 반도체 패키징 역량 강화를 위해 영입한 대만 TSMC 출신 베테랑 엔지니어 린준청 부사장이 회사를 떠났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CTO 반도체연구소 차세대연구실 담당 임원으로 일하던 린 부사장은 작년 12월 31일 자로 2년간의 계약 만료로 퇴사했다. 그는 삼성전자의...
가격·물량·기술 中에 완전히 밀려…韓 제조업 '美 호랑이굴'로 들어가라 2025-01-01 18:08:03
한국의 반도체와 전자, 자동차산업은 알타시아 공급망의 중심축으로 기능하면서 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은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분야에선 경제적 안보와 기술 경쟁력 유지 차원에서 한·미와 뜻을 함께하는 국가와의 ‘기술 동맹’이 필요하다”며 “칩4를 동맹국 간...
미국에 치이고 중국에 쫓기고...위기의 K-반도체 2024-12-31 05:30:00
점유율은 3% 포인트 줄었습니다. 대만 반도체 생태계의 또 다른 축으로 평가받는 ASE는 전세계 반도체 패키징 시장의 4분의 1을 차지(27.6%)하며 압도적 영향력을 자랑 중입니다. 미국의 관세압박과 중국의 추격, 대만의 기술력 사이에 낀 K-반도체의 앞날은 더욱 불투명해졌습니다. 한국경제TV 전효성입니다.
'1000명 외인부대' CXMT…美 마이크론 잡고 D램 톱3 노린다 2024-12-30 18:13:51
반도체 저장 공간인 셀을 수직으로 쌓아 올린 D램) 개발에도 활용된다. CXMT가 최첨단 패키징 전문가를 대거 영입한다는 건 고부가가치 첨단 D램인 HBM과 3D D램에도 도전장을 내밀겠다는 의미다. CXMT에 합류한 마이크론 출신 L씨, 대만의 대표 D램 기업 난야와 미국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 글로벌파운드리에서...
마이크론도 폭풍 영입…"인재이탈 막을 대책 시급" 2024-12-30 17:53:18
핵심 기술인 최첨단 패키징 인력이 첫손에 꼽힌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론은 연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원천징수 기준 10∼20% 임금 인상, 거주비 지원 등을 내걸었다. 상당수 한국 엔지니어는 미국 아이다호주 보이시에 있는 본사 근무나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의 연구개발(R&D) 법인에서 근무할 것을 염두에 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