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뉴스의 맥] 글로벌 표심, 경제성과보다 미래 비전을 택했다 2017-10-24 18:12:34
바비스는 기업인으로 성공했다. 하지만 바비스는 주류 정치인을 제치고 신생정당 아노당의 승리를 이끌었다. 바비스만이 아니다. 올해 선거에서 승리한 지도자 가운데 비정치인들이 눈에 띈다. 지난 3월 네덜란드 총선에서 승리한 마르크 뤼터 총리도 유니레버 인사담당 직원과 임원을 지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또한...
[다산 칼럼] '유화정책' 실패의 역사에서 배워야 2017-09-26 18:35:39
대등한 상황에서 대화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비스마르크는 “우자(愚者)는 경험에서 배우지만, 현자(賢者)는 역사에서 배운다”고 했다. 문재인 정부는 대화와 유화정책으로는 독재자 히틀러나 다름없는 김정은의 핵 폭주를 막고 전쟁을 예방할 수 없음을 체임벌린의 외교로부터 깨달아야 한다. 많은 국민은...
독일 작센 선제후는 300년전 어떤 예술품을 수집했을까 2017-09-16 11:05:00
기자 = 독일은 '철혈 재상' 비스마르크가 통일하기 전까지 바이에른, 하노버 등 크고 작은 왕국과 제후국으로 분할돼 있었다. 독일 동부 드레스덴을 중심으로 하는 작센도 독일의 고만고만한 제후국 중 하나였다. 17세기 들어 작센에는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1670∼1733)라는 강력한 제후가 등장했다. 그는...
[주목! 이 책] 낙엽이 지기 전에 2017-07-20 20:32:29
세계대전이 어떻게 발발했는지 살펴보는 책이다. 비스마르크 독일 총리 퇴임부터 사라예보 총격사건 등을 시간순으로 재구성했다. 저자는 1차 세계대전을 두고 “침략자 없는 비극” “일어날 이유가 없던 비극”이라고 묘사한다. 빠르게 수도를 점령해 강화 조약을 맺겠다는 선제공격의 유혹 때문에...
"민족주의와 자본주의 심화가 제1차 세계대전 낳았다" 2017-07-11 13:23:23
설정한다. 그러고는 조직을 대표하는 인물과 국가로 비스마르크의 독일을 꼽는다. 또 미국 자본주의의 발전에도 조직이 기여했다고 분석한다. 저자는 자유와 조직이 극한까지 치달은 결과, 제1차 세계대전 직전에 '국가 간 관계에서의 무제한적 자유'와 '국가 내 고도의 조직화'가 지배적 신조가 됐다고...
[숨은 역사 2cm] 손기정 81년 전 서울역 기차로 베를린 올림픽에 출전했다 2017-06-29 11:00:04
막바지 난코스인 비스마르크 언덕에서 모험을 감행해 기적을 일구게 된다. 당시 마라톤에서 마의 벽이라 여겨진 2시간 30분대 기록을 깨고서 금메달을 따낸 것이다. 선두 그룹에서 페이스메이커 역할을 하며 손기정을 도왔던 남승룡은 3위를 차지한다. 비록 일장기를 달고 뛰었지만, 조선인으로서 국제대회에서 거둔 최고...
[정치In]이혜훈 바른정당 대표 "양극화 해소 노력하는 진짜 보수 되겠다" 2017-06-27 19:59:24
‘왕보수’로 알려진 철혈 재상 비스마르크가 사회보험 제도의 골격을 만들었다. 그런 보수가 진정한 보수인데 이상하게 한국에서 보수는 도덕적 책무를 도외시하고 탐욕스러운 사람들로 규정돼 있다. 기득권층의 특권, 반칙, 횡포를 비호하고 그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보수에겐 미래가 없다.”▶같은 경제...
웹툰작가 탬씨 "어려운 경제, 만화로 쉽게 배우세요" 2017-04-21 11:12:58
<호모에코노미쿠스>외에도 추후에는 비스마르크 같은 근대 유명인물의 일대기나 고대부터 근현대까지의 무기를 소개하는 등 디테일한 묘사가 필요한 만화에도 도전할 계획이다. 탬 작가는 "한국경제TV 독자들이 <호모에코노미쿠스>를 통해 경제지식을 재미있게 쌓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탬 작가의 웹툰은...
[사설] 100년 넘은 '65세=노인' 기준 재논의할 때 됐다 2017-04-06 17:27:11
유엔이 정한 국제기준이다. 하지만 그 유래가 1889년 독일 비스마르크 시절이다. 당시 독일인 평균수명은 고작 49세였다. 평균수명이 80세를 웃도는 지금은 맞지 않는 옷이다. 요즘 실버세대는 등산로를 가득 메울 만큼 건강하다. 《백년을 살아보니》의 저자 김형석 교수는 “인생 전성기가 65~75세”라고 강조...
獨 빌트 '백화점서 빵 고르는 메르켈' 찰칵 2017-04-03 17:51:47
백화점이다. 1871년 비스마르크의 독일 통일 이후 성립한 이른바 제2 제국 시기에 확장된 신(新)서부지역에 연계되어 '서쪽(또는 서쪽 사람들, 서부나 서양의 뜻도 포함)의 백화점'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빌트는 이날 메르켈 총리의 사진 제목을 '카데베에서의 카데부(KaDeBu)'라고 달았다. 여기서 Bu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