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매우 강한 태풍 마이삭, 제주 접근…지자체 비상근무 돌입 2020-09-01 13:36:55
시설, 침수 우려 도로 등 재해우려지역에 대한 예찰을 강화한다. 침수피해를 막기 위해 배수펌프장 59곳과 빗물 저류시설, 침수피해가 잦은 하수관로 기능을 살펴보고 물난리가 되풀이되는 저지대 주민 안전대책도 재확인할 예정이다. 경남도 역시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이번 태풍은 매우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고...
도로·하천 관리부실 입증하면…폭우 피해도 국가 손해배상 가능 2020-08-16 16:55:30
변호사는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배수시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거나 빗물펌프장 수문을 제때 닫지 못하는 등 관리 소홀 문제가 있었다면 국가 배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거센 빗줄기에 도로의 아스팔트 곳곳이 패어 자동차가 손상되는 경우도 지자체의 평소 도로 관리 정도에 따라 배상을 요구할 수 있다. 즉 같은...
'물폭탄'에 전국 곳곳 인명, 재산 피해…국가 배상 가능할까 2020-08-16 12:38:59
변호사는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배수시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거나 빗물펌프장 수문을 적시에 닫지 못하는 등 관리 소홀 문제가 있었다면 국가배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거센 빗줄기에 도로의 아스팔트 곳곳이 패여 자동차가 손상되는 경우도 지자체의 평소 도로관리 정도에 따라 국가에 배상을 요구할 수 있다. 즉...
이러니 속수무책…담당자도 모르는 재난대응 매뉴얼 2020-08-06 10:16:28
재수립해야 한다"면서 "도심엔 빗물 저류지를 만들어 빗물을 분산 배수하고, 물난리가 반복되는 농촌에는 위험 시설 점검을 강화하고 재난 대응 매뉴얼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규 동아대 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는 "지자체들이 작성한 재난·재해 관련 매뉴얼은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해 작성된 것이 아닌 점도...
3명 사망한 부산 침수 사고, 6년 전과 판박이…대책 무용지물 2020-07-24 10:02:10
금정산에서 한꺼번에 쏟아져 내려온 빗물로 인해 순식간에 물에 잠겼다. 배수펌프가 있었지만, 배전반이 물에 잠겨 작동조차 하지 않았다. 부산시는 이후 `제2의 우장춘로 지하차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부산 전역 35개 지하차도 대부분의 전기시설을 지상으로 옮기고 배수펌프 용량을 증설해왔다. 하지만 사고가 발생한...
"부산 시장도 공석인데 물폭탄…" 하태경 "즉각 특별재난지역 선포해야" 2020-07-24 09:29:02
해변 도로는 바닷물과 불어난 빗물이 뒤섞여 침수되면서 해수욕장 모래사장이 사라졌다. 오거돈 부산시장이 성추문으로 사퇴한 이후 공석인 상태에서 이같은 재해가 발생하자 부산 주민들은 발빠르게 SNS를 통해 #부산폭우 등의 태그로 피해상황을 공유하고 안전을 당부했다. 네티즌들은 "컨트롤타워 부산시장 오거돈은 이...
현대·대우건설,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주안’ 분양 예정 2019-11-20 11:14:07
실내체육관 등 입주민의 건강을 고려한 운동시설도 있다. 단지 내에는 현대건설의 IoT(사물인터넷) 서비스인 하이오티(Hi-oT) 기술이 적용된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조명, 가스, 난방, 환기 등의 빌트인기기와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폰 키 시스템으로 별도의 조작 없이 공동현관 자동문 무선인증 출입이...
경찰, '목동 빗물저류시설 참사' 관계자 8명 기소 의견 송치…"위험 충분히 예견됐다" 2019-11-07 14:50:52
송치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직원 1명과 양천구청 직원 1명, 시공사인 현대건설과 감리단·하청업체 관계자 각각 2명씩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중 서울시 공무원 등 4명에 대해 지난달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피해자와 합의한 점 등을 고려해 검찰이 불청구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31일...
8월 한 달 서희·현대 등 9개 건설사 11명 사망사고 2019-10-03 11:00:01
빗물저류 배수시설' 공사현장 사망사고(3명)에 이어 두 달 연속 인명 사고다. 이 밖에 계룡건설산업, 한라, 중흥건설, 진흥기업, 고려개발, 극동건설, 파인건설 현장에서도 1명씩 사망 사고가 신고됐다. 국토부는 이달 현대·서희건설 등 7∼8월 사망사고가 발생한 12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특별 안전점검을 진행할...
서희건설, 건설현장 `사고사망자 최다` 불명예 2019-10-03 11:00:00
7월 발생한 `양천구 목동 빗물저류 배수시설` 공사현장 사망사고(3명 사망)에 이어 두 달 연속 사고사망자가 발생했다. 이 밖에 계룡건설산업, 한라, 중흥건설, 진흥기업, 고려개발, 극동건설, 파인건설 현장에서도 1명의 사고사망자가 발생했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위 중 9개 회사에서 11명의 사고사망자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