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최고의 동체 착륙…참사 원인은 둔덕" 파일럿 출신 유튜버 주장 2025-01-03 09:49:27
않은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사고기가 반대편 활주로 끝이 아닌 중간에 내렸다는 지적에 대해 이 유튜버는 "가장 가까운 활주로로 돌아서 착륙을 시도한 것이고, 두 엔진이 나가면 무조건 활주로 상공에만 내리면 미끄러지면서 산다. 최대한 많은 인원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또 "엔진 2개가 나갔는데 이...
무안 사고기 기장 '2000쪽 매뉴얼' 손으로 뜯은 흔적 발견 2025-01-03 09:09:11
지난달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보잉737 기종 운영 매뉴얼 일부가 발견됐다. 손으로 뜯어낸 듯 구겨진 채 발견돼 급박했던 사고 당시 상황을 짐작하게 했다. 2일 MBN 보도에 따르면 사고가 난 여객기 파편 주변에서 해당 기체에서 수치가 빼곡하게 기록된 보잉737 운영 매뉴얼 서너...
둔덕에 왜 콘크리트 상판이…국토부·공항공사·설계업체 책임은 2025-01-02 21:50:46
국토교통부와 엔지니어링 업계에 따르면 사고기가 부딪친 약 2m 높이의 둔덕은 착륙 시 활주로 진입을 돕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을 고정하는 10여개의 콘크리트 기둥으로 이뤄졌다. 이런 콘크리트 둔덕은 2007년 무안공항 개항 당시 처음 설치됐다가, 2023년 9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개량 공사가 진행되며 두께 30㎝의...
제주항공 "이르면 내주 국내선부터 운항 감축" 2025-01-02 15:49:41
못 미치는 기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사고기 기장이 무안공항의 콘크리트 둔덕 시설에 대해 알았는지에 대해선 "기본적으로 공항시설에 변동이 있으면 고지가 되는데, 그런 것들에 대해 제대로 고지되고 설명됐는지는 확인해보겠다"고 답했다. bing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제주항공 참사' 비행기록장치 美 이송…전국 공항 특별점검 2025-01-02 14:37:43
사고기와 동일기종(B737-800)을 운영중인 6개 사 항공기 운영체계에 대한 항공사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엔진·랜딩기어 등 주요 계통 정비 이력과 운항·정비기록 실태 등을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점검 중인 항공사는 △제주항공(39대) △진에어(19대) △티웨이(27대) △이스타(10대) △대한항공(2대)...
사고기 블랙박스 음성파일 전환 오늘 완료…녹취록 등 작성 2025-01-02 11:20:12
사고기 블랙박스 음성파일 전환 오늘 완료…녹취록 등 작성 (세종=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 사고 원인을 조사하는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이날 중 블랙박스 음성을 파일로 전환하는 작업을 마무리한다. 2일 국토부 등에 따르면 사고조사위는 이날 중 조종실...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첫 발인…유족 인도 시신 중 9명 2025-01-02 07:29:45
9시 3분께 랜딩기어(비행기 바퀴)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안공항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하다가 공항 시설물과 충돌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했다. 공항 활주로 사고 현장에서는 사고기 기체 잔해를 중심으로 희생자의 신체 일부와 유류품을 수습하는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최후의 순간까지…" 기장의 마지막 모습 포착 '먹먹' 2025-01-01 22:10:12
"사고기 기장님의 마지막. 그 최후의 순간까지 콕핏 패널에 손이"라며 "당신은 최선을 다하셨으리라 믿는다"고 적었다. A씨의 글은 많은 누리꾼의 공감을 샀다. 누리꾼들은 "아무것도 모르는 제가 봐도 동체착륙은 너무 안정적으로 보였다", "본인의 모든 경험을 쏟아내 최선을 다하셨을 것", "기체를 멈추기 위해 끝까지...
비행기록장치, 美서 복원키로…음성기록은 이르면 3일 추출 2025-01-01 20:15:32
미국으로 출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블랙박스 장치인 음성기록장치(CVR)는 이르면 3일 음성 파일이 복원될 전망이다. 사고 당시 교신 상황과 관련해선 추가 정황도 드러났다. 사고기가 1차 착륙의 반대 방향인 ‘19번 활주로 방향’으로 선회하는 과정에서 관제사가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안내했고, 조종사가...
반대쪽으로 착륙했다면…무안공항 활주로 두 곳, 환경 달랐다 2025-01-01 18:19:59
그대로 남아있었다. 이에 해당 사고기가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둔덕과 충돌하면서 피해가 커졌다는 추정이 제기됐다. 당시 사고기는 01 활주로로 착륙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기장은 '메이데이'를 선언하고 1차 착륙을 포기하고 복행(고어라운드) 후 2차 동체 착륙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01 활주로를 이용하지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