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식품첨가물, 천연·합성 대신 감미·발색 등 용도별 분류 2018-01-03 09:33:03
보존, 산화방지 등의 기술적 효과를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다. 새 고시에 따르면 제조방법을 기준으로 합성이나 천연으로 구분되어 있던 식품첨가물은 감미료, 산화방지제, 고결방지제, 발색제, 산도조절제, 응고제, 습윤제 등 31개 용도로 새로 분류된다. 또 국내에서 지정된 613개 품목에 대해서는 주용도가...
`MSG 표기`, 화학적합성품에서 향미증진제로 바뀐다 2018-01-01 17:16:05
명시된다. 식품첨가물을 감미료, 발색제, 산화방지제, 향미증진제 등 31개 용도로 분류하고 품목별로 주 용도를 명시한다. MSG의 주성분인 `L-글루탐산나트륨`은 그 용도인 `향미증진제`로 분류된다. 향미증진제란 식품의 맛 또는 향미를 증진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식약처는 2016년 4월 이와 같은 개정고시안을 행정...
MSG 표기 '향미증진제'로 변경…식품업계 "인식 개선 기대" 2018-01-01 16:58:14
품목별 용도에 맞게 명시된다. 식품첨가물을 감미료, 발색제, 산화방지제, 향미증진제 등 31개 용도로 분류하고 품목별로 주 용도를 명시한다. MSG의 주성분인 'L-글루탐산나트륨'은 그 용도인 '향미증진제'로 분류된다. 향미증진제란 식품의 맛 또는 향미를 증진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식약처는 201...
MSG ‘화학’ 표현 못 쓴다…올해부터 `향미증진제`로 표기해야 2018-01-01 12:23:45
식품첨가물을 감미료, 발색제, 산화방지제, 향미증진제 등 31개 용도로 분류하고 품목별로 주 용도를 명시해 식품첨가물 사용 목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MSG의 주성분인 ‘L-글루탐산나트륨’은 그 용도인 ‘향미증진제’로 분류됩니다. 향미증진제란 식품의 맛 또는 향미를 증진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합니다....
[Hot Stock] 송원산업 2017-12-28 17:27:16
2만7000원에 마감했다. 주력 생산품인 폴리머 안정제(산화방지제)의 공급난으로 실적 개선 기대가 커진 게 호재였다. 한국투자증권은 내년 폴리머 안정제 판매가가 10% 오르면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205%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송원산업·애경유화·휴비스… 중소형 화학주 1년 최고가 '합창' 2017-12-06 17:37:09
산화방지제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송원산업은 세계 시장에서 독일 바스프에 이어 점유율 2위에 올라있다.산화방지제는 플라스틱을 생산할 때 들어가는 첨가제다. 이도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플라스틱 전체 원재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소재”라며 “바스프와 송원산업이...
[Cover Story - 한화케미칼] 고급 석유화학제품 수요 꾸준히 증가… 정제마진·원유가격도 ↑ 2017-11-02 16:55:05
재협상을 선언한 상태다. 태양광전지, 에폭시, 산화방지제, 폴리에스터(pet)필름, 타이어코드, 석유수지 등 미국 수출비중이 높은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또한 자국 화학업체 보호를 목적으로 통상압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스티렌모노머(sm), 폴리아세탈산...
[건강이 최고] 햄버거, 이참에 끊을까…전문가 8인의 '권고' 2017-07-08 08:00:02
등이 부족하다. 보존제, 산화방지제, 감미료,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섭취하는 것도 문제다. 물론 식용 가능한 것이지만, 아질산염처럼 논란이 되는 물질도 있다. 패스트푸드를 주식처럼 먹는다면 생각보다 많은 양을 지속해서 섭취할 수도 있다. ▲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 고기와 관련된...
먹는물 수질감시 항목에 화학물질 2종 추가 2017-06-12 12:00:14
등급)로 분류한 성분으로 고무, 염료, 휘발유 등의 첨가제와 산화방지제, 플라스틱 안정제 등에 사용된다. 수질감시기준은 미국 환경보호청(EPA) 기준을 참조해 NDMA는 0.07㎍/ℓ, NDEA는 0.02 ㎍/ℓ로 각각 설정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최근 4년간 전국 70개 정수장에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NDMA와 NDEA의 평균...
[울산의 강소기업] 덕산하이메탈·송원산업…독보적 기술력으로 해외시장 선점 2017-03-23 16:28:25
2위 폴리머(플라스틱 원재료) 첨가제 전문업체다.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등 다양한 형태의 플라스틱 첨가제와 안정제 300여개 품목을 생산해 38개 해외 영업망을 통해 세계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만 7000여억원에 이른다. 박 대표는 올해 12억명의 소비자가 있는 인도 시장과 중동 시장을 집중 공략하며 시장을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