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전기, 패키지기판 호황으로 호실적 전망…목표가 '유지'-키움證 2021-11-22 08:53:31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 업황 둔화에도 불구하고 시장 예상치인 3854억원을 충족시키겠단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패키지기판의 장기 호황 기대감이 부각되고 있다"며 "이는 패키지기판의 기술적 최상단에 위치한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FC-BGA)의 공급 부족에서 비롯했단 점에서 FC-BGA의 선두권 업체인 회사의 수혜가...
'부품 병목현상' 완화…반·디·차 반등 시동 2021-10-28 17:30:56
언택트 수요 감소가 겹칠 것이라는 우려로 주가는 정체돼 왔다. 이런 우려 때문에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반도체 기판 부문의 성장세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업황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다”며 “패키지 기판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MLCC·기판 쌍끌이…삼성전기 3분기 영업이익 4578억원 2021-10-27 15:16:58
35% 늘었다. MLCC(적층세라믹커패시터)와 기판 사업이 실적을 이끌었다. 삼성전기는 모바일용 소형·고용량 MLCC(적층세라믹커패시터)와 산업·전장용 MLCC, 고사양 반도체 패키지 기판 등 고부가 제품의 판매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MLCC 사업을 담당하는 컴포넌트 부문은 3분기 1조3209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사업부 중...
'아이폰13' 공개하며 삼성 깔아뭉갠 애플…"성능 떨어져" 2021-09-15 05:04:32
나온다. 5.4인치(대각선 길이)와 6.1인치 디스플레이엔 세라믹실드 소재가 적용됐다. "어떤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보다 견고하다"는 게 애플의 설명이다. 수퍼 레티나 XDR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는 명암비가 높고 진정한 검은색을 표현한다. 28% 증가한 800니트(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의 실외 최대 밝기도 특징으로 꼽힌다....
"반도체 기판 사려 웃돈 주고 애걸…글로벌 빅3 삼성전기 관심 가져야" 2021-09-08 18:00:59
우려 때문이다. 시장에서 삼성전기를 ‘적층세라믹캐퍼시터(MLCC) 관련주’로만 인식한다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글로벌 1위 MLCC 업체인 일본 무라타 주가만을 정직하게 따라가고 있는 셈이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삼성전기의 사업 구조를 봤을 때 일본 무라타와 일본 이비덴 밸류에이션을 7 대 3 정도로...
[마켓인사이트]삼성전기, 와이파이모듈 사업부 매각 재추진 2021-08-23 14:07:35
삼성전자가 내년부터 와이파이 모듈 대신 기판에 칩을 곧바로 넣는 칩온보드(COB) 기술을 쓸 가능성이 거론된 영향이 컸다. 삼성전기는 와이파이 모듈 사업부를 매각해 비주력 사업을 정리하고 전자기기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와 반도체 패키지기판 등에 집중할 방침이다. 마켓인사이트 뉴스룸 insight@hankyung.com
'알짜'라던 애플 공급사 명단 보니…국내업체 13개 2021-06-03 10:42:27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등을 공급한다. LG그룹에선 LG화학,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3개사가 명단에 포함됐다. LG화학은 배터리, LG디스플레이는 OLED 패널, LG이노텍은 카메라 모듈을 애플에 납품한다. 삼성과 LG를 제외하곤 SK하이닉스, 포스코, 서울반도체, 영풍그룹, 덕우전자, 범천정밀 등이 포함됐다. 생산시설이...
삼성 'D램 성능 극대화' 전력관리반도체 내놨다 2021-05-18 17:33:55
했다. 또 기존에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던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개수를 줄여 D램 모듈 설계의 편의성을 높였다. D램은 스마트폰엔 1개만 들어가지만 서버에 쓰일 땐 32개까지 사용하기 때문에 ‘모듈’이라는 표현을 쓴다. 3종의 전력관리반도체 중 S2FPD01과 S2FPD02는 전력효율을 업계 표준보다 1%포인...
삼성전자, D램 모듈용 전력관리반도체 3종 공개 2021-05-18 14:15:51
유지하기 위해 탑재하던 적층세라믹콘덴서(MLCC)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성전자는 엔터프라이즈용 전력관리반도체(S2FPD01, S2FPD02)에 출력 전압을 효율적으로 조정하는 자체 설계 방식인 하이브리드 게이트 드라이버를 적용해 전력효율을 업계 표준보다 1% 포인트 높은 91%까지 향상시켰다. 데스크탑, 랩탑 등...
삼성전자 차세대 메모리 성능 높인다…전력관리반도체 최초 공개 2021-05-18 11:00:01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탑재하던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사용량을 줄여 D램 모듈 설계의 편의성을 높였다. 엔터프라이즈용 2종(S2FPD01, S2FPD02)의 경우 자체 설계 방식인 하이브리드 게이트 드라이버(Hybrid Gate Driver)를 적용해 전력효율을 업계 표준보다 1% 포인트 높은 91%까지 향상했다. 데스크탑, 랩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