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갈색 지방의 열 발생 시스템, 비만 치료 열쇠 될까 2022-07-11 18:27:43
이 운반체는 세포막에 존재하면서 이노신을 세포 내로 옮기는 단백질이다. 이 운반체가 활성화해 세포 밖의 이노신 농도가 낮아지면 갈색 지방세포의 지방 연소를 촉진하는 효과도 사라졌다. 다행히 바로 쓸 만한 약이 이미 나와 있다. 원래 혈액 응고 이상을 치료하는 용도로 개발된 이 약은 이노신 운반체를 억제하기도...
셀리버리 “올해 코로나19·아토피 2상 진입 기대…무증 적절” 2022-07-11 16:12:14
보유하고 있다. TSDT 플랫폼은 소수성 세포막 투과성 펩타이드(aMTD)를 이용한다. aMTD 특유의 휘어진 구조와 소수성을 띄는 성질을 이용해, 세포의 이중 지질막 구조를 통과하게 하는 기술이다. 조 대표는 “TSDT는 단백질 항체 펩타이드 핵산 저분자화합물 등 다양한 약리물질을 aMTD에 연결해 세포막을 직접 투과하고,...
쎌트로이, 조직특이적 약물전달시스템 관련 3종 특허 출원 2022-07-07 10:59:13
'염증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작동하는 융합단백질'은 국내 특허를 출원했다. 쎌트로이는 CPP를 활용해 특정 조직이나 세포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조직특이적 약물전달시스템(TS-DDS)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TS-DDS는 세포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특정 세포의 내부로 핵산이나 단백질, 항체 등을 전달시킬 수...
코로나 걸리면 지방으로 에너지 잘 못 만든다 2022-07-04 18:25:18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예컨대 세포막을 온전히 유지하거나 에너지를 저장하는 데 꼭 필요하다. 하지만 트라이글리세라이드는 콜레스테롤과 함께 동맥경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그래서 대부분의 환자는 가능한 한 수치를 낮추려고 한다. 에너지가 필요할 때 세포는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분해해 유용한 '연료', 즉...
'원하는 세포에 딱' 약물전달 기술에 힘쓰는 제약업체 2022-06-26 06:00:00
내에 존재하는 나노입자 크기의 물질로, 단백질·지방 등 물질을 세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업계 관계자는 "엑소좀은 생체 친화적이라 비교적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치료 물질을 안전하게 감싸는 캡시드 기술도 약물 전달 과정에서 중요하다. 캡시드는 유전체를 감싸는 단백질 외각 입자를 말한다. 캡...
인간 속눈썹 크기 박테리아 발견…"에베레스트 키 인간 만난 격" 2022-06-24 11:29:54
얻었다. 연구팀은 T. 마그니피카가 세포막에 다양한 구획을 갖고있으며 이런 구획들이 덩치를 키우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일부 구획은 질산염 등에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하는 연료공장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으며, 인간 세포의 핵처럼 보이는 구획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구획들이 키위같은 과일의...
모기 탈피 막아 성체로 못 자라게 하는 새 퇴치법 개발 2022-06-16 16:06:27
호르몬인 '엑디손'(ecdysone)을 세포로 운반하는 단백질 중 가장 중요한 한 종이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엑디손은 곤충이 허물을 벗고 성충이 되려면 없어서는 안 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세포로 전달되지 않으면 성체가 되지 못하고 번식도 할 수 없게 ...
남극 생물 '추위 저항 단백질'로…노화방지 화장품 만든다 2022-06-15 10:20:29
단백질과 남극 해빙박테리아 유래 결빙방지 단백질 2건의 대량 생산 기술이다. 휴젝스는 이를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극지연구소 관계자는 "화장품에 포함된 수분은 겨울철 영하 온도에서 얼음 결정으로 바뀌면서 화장품 효능을 떨어뜨리는데, 결빙방지 단백질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포항, 노후 산단에 '첨단 옷' 입힌다 2022-06-13 17:50:44
포스텍 컨소시엄은 포항융합산업지구 세포막단백질연구소에 기업 전용 극저온전자현미경과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을 갖춘 구조 기반 백신 기술 상용화 시스템 개발에 본격 나선다. 포항시는 차세대 로봇산업 분야에서는 EV 배터리팩 해체 자동화 기술개발사업(61억원)을 유치해 로봇을 활용한 폐배터리 재활용시장 선점에...
유한양행, mRNA 신약 플랫폼 기술 개발 추진 2022-06-07 09:17:58
이화여대 이혁진 교수 연구팀과 체내 안정성과 타깃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mRNA 원천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mRNA는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는 등 안정성이 떨어지는 게 한계로 지적돼왔는데, 이를 극복하는 한편 단백질 발현량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mRNA 구조체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또 유한양행은 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