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UNIST 권순용 김성엽 교수팀, '그래핀 결함 '구리(CU) 녹자국으로 규명' 2017-11-30 00:35:49
전달하며, 유연한 성질이 있어 투명전극?에너지용 전극?차세대 반도체 등에 쓰일 ‘꿈의 신소재’로도 불린다. 그러나 대면적 그래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결함 때문에 상용화가 어려웠다. 공동 제1저자인 조용수 unist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대면적 그래핀은 대부분 구리 위에 그래핀을...
UNIST 교수팀, 신소재 그래핀 결함 찾는 기술 개발 2017-11-29 09:00:25
전달한다. 유연한 성질이 있어 투명전극, 에너지용 전극, 차세대 반도체 등에 쓰일 꿈의 신소재로도 불린다. 그러나 큰 면적의 그래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결함 때문에 상용화가 어려웠다. 기존에도 그래핀 결함을 찾아내는 기술은 있었다. 그래핀 위에 액정(LCD)을 코팅하거나, 자외선(UV)을 쪼여 달라진 부분을...
전통한지로 종이배터리 개발…웨어러블 기기에 적용 2017-09-21 12:00:04
말한다. 이 같은 방식으로 금속 종이전극과 이를 집전체로 하는 종이 슈퍼커패시터 소자를 개발했다. 종이의 유연한 기계적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나노 크기의 금속 입자가 고르게 흡착돼 높은 전기 전도도를 나타냈다. 또 다공성 구조로 인해 높은 축전용량과 출력 값을 보였다. 플렉시블·웨어러블 전기·전자...
차세대 태양전지에 금 대신 알루미늄 전극 사용기술 개발 2017-09-19 09:39:02
물질이 분해되는 현상을 막았다. 또 전극으로 금 대신 알루미늄을 써도 안정성이 떨어지지 않았다.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쉬운 알루미늄 성질을 불소 그래핀이 보완해준 덕분이다. 김 교수는 "금 대신 알루미늄을 사용해 전극을 만들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안정성을 극대화해 차세대...
[BIZ 이슈진단] "한국, 복합소재전시회 계기로 차세대 소재강국 도약할 것" 2017-07-27 17:46:23
및 유연전극 소재, 전자파를 조절할 수 있는 흡차폐 가변형 소재, 3d 프린팅용 기능성 복합재료, 고전도성 그래핀 나노 복합재료에 이르기까지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들과 대학 연구소 등이 뭉쳐서 미래에 대처해 나가야 합니다.정리=김낙훈 중소기업전문 기자 nhk@hankyung.com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DGIST 연구팀 제브라피시 뇌파 다채널로 측정 성공 2017-06-12 10:39:24
아가미 호흡을 지속시키는 기술을 고안해 유연한 회로기판으로 만든 전극으로 한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다채널 뇌파 측정을 했다. 단일 채널로 뇌파를 측정하면 어느 부위에서 뇌파가 발생해 어느 방향으로 전파하는지 관찰할 수 없다. 다채널 뇌파 측정 기술은 그런 관찰과 연구가 가능해 뇌전증 같은 뇌 신경계 질환 치...
지문 감지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기발광보드 개발 2017-05-03 12:00:01
3일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OLEB는 전극 2개, 빛을 내는 발광층, 발광성능을 높이는 기능층, 전류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층을 차곡차곡 쌓은 것이다. 전극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절연체층에 연필심 등 전도성 물체나 손가락을 대면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발광층에서 빛이 난다. 연구진이 실제 OLEB를 제작한...
당뇨병·녹내장 진단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 센서 개발 2017-04-27 18:00:00
스마트 콘택트렌즈에 삽입해 사용한 전극은 불투명해 눈에 끼워도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박장웅 교수팀은 투명하고 유연한 재료로 센서를 만들어 문제점을 극복했다. 투명도가 높고 신축성이 좋은 그래핀과 금속 나노와이어로 전극을 만든 것이다. 이 센서를 이용하면 눈물 속 혈당을 감지하고 이 정보를 무선...
압력강도까지 감지하는 '3D 터치스크린' 기술 개발 2017-04-18 10:44:15
면적의 투명전극과 이를 이용해 압력 강도까지 감지하는 3D 터치스크린 기술을 개발했다. 투명하고 유연한 전극 소재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를 규칙적으로 정렬시켜 개발한 큰 면적(대면적·20×20㎝ 이상)의 투명전극이 그 기반이 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고현협 교수팀은...
신소재 '그래핀'으로 OLED 디스플레이 투명전극 개발 2017-04-11 11:38:44
전극, 유기물층, 알루미늄층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 가운데 전극으로 쓰이는 ITO 소재는 유리 성질로 쉽게 깨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 층으로 된 그래핀은 유연하고 휘어지는 성질이 있어 차세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극 소재로 주목받고 있지만, 대면적에서의 품질 균일도가 낮고 OLED에 화소를 만드는 패터닝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