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쿠첸-한양대, 혼합잡곡밥 황금비율 찾는다 2022-06-09 09:24:54
유전체학 연구실은 쿠첸 '121 밥솥'을 활용해 쌀을 기반으로 서리태와 귀리 등 건강증진에 효능이 좋은 '잡곡 혼합 비율'을 찾고 '잡곡 효능' 입증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쿠첸 연구개발본부는 한양대학교의 황금비율 혼합잡곡 연구 결과를 토대로 뛰어난 밥맛과 건강 증진 효능을 갖춘 알고리즘...
베르티스, 다차원오믹스 분석 서비스 출시…영역 확장 2022-05-27 09:33:52
팬오믹스는 단백질체학 대사체학 유전체학 등에서 발생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다룬다. 유전자가 단백질이 되고, 체내에서 단백질이 여러 단계를 거쳐 변화하는, '실제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일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window)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패스는 질량분석과 알고리즘에 기반한 단백체...
주영석 지놈인사이트 대표, 인간유전체기구 우수상 수상…한국인 두 번째 2022-05-24 14:13:10
주영석 지놈인사이트 대표가 24일 인간유전체기구(HUGO) '첸 우수상(Chen Award of excellence)'을 수상했다. 한국인이 이 상을 받은 건 2017년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후 두 번째다. 비영리 국제기구 HUGO는 매년 경력 15년 이내의 젊은 과학자 두 명을 선정해 첸 우수상을 수여한다. 의생명과학...
"뭔가가 일어나고 있다"…`원숭이두창` 확산에 과학자들 우려 2022-05-21 14:03:18
극히 예외적이라고 말했다. 아프리카감염병유전체학최고기관의 크리스찬 하피 국장은 "우리는 유럽에서 일어나고 있는 거 같은 것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면서 "우리는 아프리카에서 원숭이두창의 감염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고 말할 만한 어떤 것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색다른 것이 유럽에서 벌어지고 있...
아프리카 과학자들, 원숭이두창 유럽·북미 확산에 '당황' 2022-05-21 03:36:10
극히 예외적이라고 말했다. 아프리카감염병유전체학최고기관의 크리스찬 하피 국장은 "우리는 유럽에서 일어나고 있는 거 같은 것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면서 "우리는 아프리카에서 원숭이두창의 감염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고 말할 만한 어떤 것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색다른 것이 유럽에서 벌어지고 있...
정부, 남극 내륙에 3대 연구거점 세운다 2022-04-26 16:30:01
생물의 유전적 특성은 바이오 신소재 개발과 유전체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미국, 중국 등 세계 각국은 남극 연구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 중이다. 그러면서 남극 환경보호와 공동연구 등을 위해서는 남극조약협의당사국회의 등을 통해 힘을 합치고 있다. 한국은 1988년 남극에 세종과학기지를 설립하고...
영국·대만·태국 발견…"혼합변이 XE, 전염력 더 높을수도" 2022-04-03 19:28:22
이날 태국 라맛티보디 병원 소속 의료·유전체학 센터는 페이스북에 태국 국적의 환자에게서 XE 감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고 현지 매체 방콕포스트가 보도했다. 이스라엘에서도 기존에 나온 확진자 2명이 XE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지난달 16일 이스라엘 보건부는 해외여행을 다녀온 2명이 유전자증폭(PCR)...
WHO "혼합변이 XE, 전염력 더 높을수도"…영·대만·태국 발견(종합2보) 2022-04-03 19:05:45
이날 태국 라맛티보디 병원 소속 의료·유전체학 센터는 페이스북에 태국 국적의 환자에게서 XE 감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고 현지 매체 방콕포스트가 보도했다. 이스라엘에서도 기존에 나온 확진자 2명이 XE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지난달 16일 이스라엘 보건부는 해외여행을 다녀온 2명이 유전자증폭(PCR)...
중국 연구진 "오미크론 변이, 쥐에서 기원 가능" 2022-02-04 10:51:43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앞서 중국과학원 연구진이 최근 '유전학 및 유전체학 저널'(Journal of Genetics and Genomics)에 게재한 논문의 내용도 이와 맥을 같이 한다. 중국과학원 연구진은 논문에서 오미크론 변이의 돌연변이가 인간 숙주보다는 쥐 숙주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크며, 그 돌연변이는 오미크론...
생리 현상의 기초 '단백질 결합' 어떻게 이뤄질까 2022-01-27 17:40:44
생물공학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두 편의 논문으로 작성돼 작년 12월 2일과 이달 25일(현지 시각) 저널 '이라이프(eLife)'에 실렸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키팅 교수는 "단백질이 결합 파트너를 선택할 때 어떤 방법을 쓰는지 알아냈다"라면서 "이를 단백질 디자인에 적용하면 연구나 치료 목적으로 단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