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뉴욕유가] 러 원유 생산, 목표치 미달…WTI 1.9%↑ 2025-02-11 05:33:15
러 원유 생산, 목표치 미달…WTI 1.9%↑ (뉴욕=연합뉴스) 최진우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올해 1월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이 목표치를 밑돌면서 국제유가가 상승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71.00달러 대비 1.32달러(1.86%) 상승한 배럴당 72.32달러에 거래를...
미중 경쟁 속 AI 정상회의 개막…'AI 통제·개발' 모색(종합2보) 2025-02-11 03:33:53
행사의 취지지만 미·중의 AI 패권 대결이 격화하는 가운데 개최되는 터라 구체적이고 구속력 있는 합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주최하는 이번 회의에는 JD 밴스 미국 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올라프 숄츠 독일...
파리협정 '온실가스 감축목표 제출' 195개국 중 10곳…韓도 없어 2025-02-10 21:23:21
미·영·브라질 포함…중·인도·EU도 제출 안 해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에 서명한 195개 당사국 대부분이 10일(현지시간) 마감일까지 새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F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까지 NDC를 제출한 국가는 10개국에 불과했다....
AI정상회의 개막…미중 경쟁 속 'AI 통제·개발' 모색(종합) 2025-02-10 20:39:36
행사의 취지지만 미·중의 AI 패권 대결이 격화하는 가운데 개최되는 터라 구체적이고 구속력 있는 합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주최하는 이번 회의에는 JD 밴스 미국 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올라프 숄츠 독일...
'더 큰 게 온다'...오늘부터 관세 전초전 치르는 트럼프-시진핑 [데일리 아시아] 2025-02-10 18:07:15
미국 무역적자를 키웠기 때문인데요. 미국의 상호관세 방안에 유럽 정상들은 즉각 강력 대응 방침을 세웠고, 유럽에 거점을 둔 기업들은 관세를 피해 무역을 이어갈 대안 경로 모색에 나섰습니다. EU 다음은 인도와 베트남, 중국 등이 상호관세 대상국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무역기구 WTO에 따르면 미국의 평균...
트럼프 "철강 25% 관세"…韓 초비상 2025-02-10 17:54:51
25% 관세가 붙는다. 중국, 인도, 러시아 등 25% 관세를 내는 나라는 50%로 관세율이 오른다. 한국 철강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미국이 금액 기준(6조3087억원)으로 한국의 최대 철강 수출국이어서다. 미국은 한국보다 철강 제품 가격이 20%가량 높기 때문에 수익성 좋은 시장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25% 관세를 물면...
트럼프 폭주에 '우려하던 일 터졌다'…1위 한국, 심각한 상황 2025-02-10 17:53:36
가격은 미국 현지 생산 물량보다 높아진다. 예를 들어 현재 t당 82만원 안팎에 국내 유통되는 열연강판이 미국으로 넘어가면 운송비 및 기타 비용을 포함해 90만원이 넘는다. 여기에 25% 관세가 더해지면 112만5000원으로 뛴다. 현재 미국에서 유통되는 열연강판 가격이 t당 750달러(약 108만원)인 만큼 한국산이 4만원가량...
모디-트럼프 회담 앞둔 印, 美무기·가스 수입 확대 추진 2025-02-10 17:39:19
모디, 프랑스·미국 방문차 출국…"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 따뜻한 기억"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인도가 미국산 무기와 가스 등의 수입 확대를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는 미국과 장갑차, 전투기 엔진 구매·공동 생산을 위한...
오픈AI - MIT와 AI 동맹 맺은 SKT…AI 컴퍼니 변신 속도 2025-02-10 15:57:44
SK텔레콤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석학을 비롯해 오픈AI, 코카콜라 등 글로벌 기업과 손잡고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산업 혁신에 나선다. AI 사업을 강화하는 데 전사적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MIT가 이달 발족한 ‘MIT 생성형 AI 임팩트 컨소시엄’에 창립 멤버로 참여해 생성 AI 기술...
트럼프 관세, 미 증시에 단기적 호재? [레버리지셰어즈 인사이트] 2025-02-10 15:02:59
주로 인도가 BRICS 연합의 일원이라는 점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BRICS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처럼 군사 동맹도 아니며,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과 같은 경제 연합도 아니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러시아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크게 증가한 반면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감소했다. 반면, 인도는 자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