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박물관·미술관 주간' 13일 개막 2020-08-12 17:21:46
태어나고, 경복궁을 담은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를 배경으로 유물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모습을 통해 문화와 문명이 탄생하는 과정을 역동적으로 표현했다. 이번 행사 기간에는 전시 관람료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문화N티켓 홈페이지에서 예매·결제하면 박물관은 40%(최대 3000원), 미술관은 1000∼3000원 할인받을 수...
"인사동은 한류중심…'옛 도화서' 터에 문화복합건물" 2020-05-14 17:28:36
인왕제색도의 굴곡진 바위 모습을 본떠 아치형 조형물로 둘러쌌다. 설계는 한국의 자연을 설계에 활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장운규 국민대 교수(운생동 건축사무소)가 맡았다. 북한산 둘레길이나 인사동 쌈짓길처럼 램프를 돌듯 건물 내부를 돌아 올라가다 보면 6층의 탁 트인 공간에서 인왕산이 훤히 보이도록 설계됐다....
[책마을] 겸재 정선의 그림엔 '정치적 기상도'가 담겨 있었다 2020-04-30 17:49:21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와 함께 겸재 정선(1676~1759)의 3대 진경산수화로 꼽힌다. 비슷한 시대에 살았던 표암 강세황(1713~1791)도 ‘박연’이라는 그림을 남겼다. 같은 대상을 그렸지만 차이가 확연하다. 겸재의 박연폭 물줄기는 실제 폭포의 세 배쯤 과장해 그렸다. 폭포 주변 경관도 실경과는 매우 다르다. 반면...
[문화의 향기] 서울 속 시골살이 예찬 2019-07-04 17:13:29
아니다.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에 빠져 언젠가 서울살이를 하면 인왕산 부근에 자리잡아 인왕산을 그려보리라 욕심을 내던 중이었다. 처음 집을 보러 왔을 때 전망 엘리베이터에서 마주한 북한산 전경에 매료돼 곧바로 계약했는데, 이사 후 다니러 오신 장모님은 “아이고, 서울 한복판에 어떻게 이런...
베를린 한복판에 작은 백두대간…남북 야생화 예술정원 생긴다 2019-03-31 08:30:00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인왕제색도'에서 영감을 받았다. 두 작가는 지난 6개월 동안 베를린보타닉가든, 국립백두대간수목원과 함께 베를린의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 남북의 대표적 초목을 선별했다. 한 작가는 산업화, 도시화 과정에서 왜곡된 자연의 이미지를 주제로 베를린과 서울을 오가며 작품활동을 해왔다....
골목마다 숨은 '보석'…예술인들이 가꾼 문래·성북로 함께 걸어요 2019-02-24 15:07:27
백사 이항복의 집터가 있다.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와 추사 김정희의 명필이 탄생한 마을이기도 하다. 근대와 현대에는 이중섭, 윤동주, 이상, 박노수 같은 예술가들이 거주했던 곳이다.종로구 누상동 9번지에는 민족시인 윤동주 하숙집터가 있다. 1941년 당시 연희전문학교(지금의 연세대) 4학년에 재학 중이던 윤동주는...
전통미·미래적 느낌 살린 새 여권…우리 문화재 한눈에 2018-12-21 15:01:00
화순 대곡리 청동기부터 정선의 인왕제색도까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주민등록번호 삭제·월 표기 한글/영문 병기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대한민국 여권이 녹색에서 남색으로 바뀐다. 겉표지에 커다란 태극문양을 점으로 패턴화해 돋을새김하고, 속지에는 한장 한장 선사시대 유물부터 조선시대 예술까지 우리나라를...
'억새 피는 계절'…빌딩 숲 사이, 흙냄새 가득한 숨겨진 숲 어때요? 2018-11-04 15:41:21
<인왕제색도>는 효자동에서 인왕산의 동쪽을 바라보며 그린 작품이다.인왕산 골짜기에 흐르는 수성동계곡은 정선의 <장동팔경첩>에 ‘수성동’ 그림으로 등장한다. 물소리가 끊이지 않는 수성동계곡에는 세종의 셋째아들 안평대군이 ‘비해당(匪懈堂)’이라는 별장을 짓고 살면서 아름다운 경관에...
한국 현대미술 변천사 '한눈에' 2017-10-24 18:19:47
연 국내 작가 합동 전시회를 뜻한다. 정선의 ‘인왕제색도’ 등 전통수묵화부터 전통미술과 서양미술의 혼성을 거쳐 다양한 변주를 시도하기까지 근대화 시기 한국 예술의 변천사를 일목요연하게 걸었다.민경갑 화백(84)의 ‘생잔’은 화선지와 먹이라는 한국적 미술 소재를 사용했다. 그러나 그림의...
[천자 칼럼] 도심 숲길 2017-10-01 16:06:20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배경이 된 곳으로 그림처럼 아름답다. 완만하게 오르내리는 숲속 길이 정겹게 굽이지고, 정자와 바위 사이로는 물길이 맑게 흐른다. 사직단 입구에서 수성동 계곡을 거쳐 윤동주 시인의 언덕과 윤동주 문학관까지 3.2㎞ 거리에 1시간30분이면 충분하다.북쪽으로 방향을 틀면 세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