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싸우지 말고 협력하자”..SKT, 클라우드 업체들과 GPU 대여 사업 맞손 2025-01-11 10:00:05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업계는 이번 협력이 국내 GPU 인프라 경쟁력을 강화하고, 고성능 GPU 접근이 어려웠던 국내 AI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에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2023 인공지능 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인공지능 기업 중 53.2%가 AI 인프라...
스마트팩토리로 '창원 기적' 쓴 LG…포항 '벤처 밸리' 키운 포스코 2025-01-09 17:41:51
기업들은 포스텍 안에 있는 포스코 연구소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등 상용 기술 연구기관의 인프라를 사용하고 이들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도 할 수 있다. 세계 최초로 각막 재생 바이오잉크(인공장기 소재)를 개발한 바이오브릭스와 첨단 소재인 나노셀룰로오스 양산에 성공해 2024년 CES 혁신상을 받은 에이엔폴리 등...
발트해·대만해협서 잇단 해저케이블 훼손 왜?…회색지대 전술 의심 2025-01-08 16:04:02
"해저 연결망은 중국의 공격을 방어할 주요 인프라의 핵심 취약 지점이라고 반복적으로 거론돼 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난 2023년 대만이 실효지배하는 마쭈 열도와 본섬을 잇는 케이블이 절단되면서 거주민들의 인터넷 연결이 몇 주간 단절됐던 사례를 언급했다. NYT는 케이블 절단과 같은 '괴롭히기'가...
작년 국내 대기업 시가총액 251조 '증발'…삼성그룹만 167조 2025-01-08 08:27:14
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해 지정된 대기업집단 88곳 중 상장 계열사가 있는 79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상 기업의 시총 합계액은 2023년 말 1902조3093억원에서 지난해 말 1651조6772억원으로 250조6321억원(13.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룹별로는 삼성 상장 계열사의 시총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삼성전자 시총 165조 증발할 때 홀로 40% 급증한 '이곳' 2025-01-08 06:40:47
251조원 줄었다. 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4년 지정된 대기업집단 88곳 중 상장 계열사가 있는 79곳을 대상으로 시총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 시총 합계액이 2023년 말 1천902조3천93억원에서 2024년 말 1천651조6천772억원으로 250조6천321억원(13.2%) 감소했다. 삼성의 상장 계열사 시총 감소액이 가장...
작년 대기업집단 시총 251조원 증발…삼성 167조원 감소 2025-01-08 06:01:00
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4년 지정된 대기업집단 88곳 중 상장 계열사가 있는 79곳을 대상으로 시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 대상 기업의 시총 합계액은 2023년 말 1천902조3천93억원에서 2024년 말 1천651조6천772억원으로 250조6천321억원(13.2%) 감소했다. 그룹별로는 삼성 상장 계열사의 시총...
경북도, 미국 웨이크포레스트 재생의학연구소와 첨단재생의료 협력 2025-01-07 14:45:26
모색하고, 바이오의약품 산업육성 경험과 인프라를 발판으로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조직공학 치료 등 첨단재생의료 분야로 확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WFIRM은 혁신적인 치료 기술개발로 희귀성, 난치성 환자들에게 희망이 큰 연구소로 이번 협약으로 경상북도의 바이오산업이 한 단계 ...
'매출 100억' 식자재 유통사 매물로 2025-01-07 10:30:43
평가를 받고 있다. 최대 강점은 물류 인프라다. 수도권 일대에 신속 배송이 가능한 자체 물류창고를 보유해 재고 관리가 효율적이고 납품 서비스도 빠르다. 매각을 주관한 M&A 브릿지코드의 김대업 파트너는 "기존 유통망을 활용한 사업 확장이 용이하고 악성·불용 재고가 거의 없어 운용 부담이 크지 않은 회사"라며...
"강남·여의도 한번에"…고양창릉 3.8만가구 2025-01-06 17:08:24
나타냈다. 박지민 월용청약연구소 대표는 “서울 출퇴근이 가능한 직주근접 단지고 1기 신도시 재건축 이주 수요도 받을 수 있다”며 “인기 주택형은 세 자릿수 경쟁률도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상 신도시의 첫 공급 단지라고 하면 ‘허허벌판 속 아파트’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 세 단지는 길(덕양로) 건너...
한-아세안센터, 제12차 아세안 연계성 포럼 개최…"15년간 아세안 연계성 프로젝트 고찰" 2025-01-06 09:27:28
전략(△지속가능한 인프라, △디지털 혁신, △원활한 교류망, △효과적인 규제, △인적 이동)과 시행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본 포럼은 아세안 연계성 마스터플랜 2025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지난 15년간의 연계성 프로젝트를 돌아보며, 앞으로의 한-아세안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이틀간 진행되는 이번 포럼에서 첫째 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