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우리는 쓰레기를 몰라도 너무 몰라…재활용 쓰레기는 정말 재활용될까 2024-04-26 19:00:01
저널리스트 올리버 프랭클린-월리스가 쓴 는 전 세계 폐기물 처리장을 찾아 이 같은 질문의 답을 파헤친다. 세계 최대급 인도 쓰레기 매립장부터 미국 광산 폐허, 패스트패션의 폐기물로 몸살을 앓는 가나 중고 시장까지 우리가 버린 쓰레기의 발자취를 찾아 나선다. 재활용은 선진국에서조차 쉽지 않은 문제다. 저자에...
무신사트레이딩, 독일 브랜드 '032c' 공식 유통…성수동에 매장 2024-04-19 08:25:27
19일 밝혔다. 032c는 독일 저널리스트 요그 코흐가 2000년 베를린에서 내놓은 매거진에서 출발한 브랜드다. 서울 성수동에 문을 여는 '032c 갤러리 서울'은 이 브랜드가 독일 이외의 지역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글로벌 매장이다. 매장에서는 032c의 의류 컬렉션과 함께 다양한 아티스트의 작품도 감상할 수...
러 반정부인사 부인·엔비디아 CEO 등 '타임 영향력 100인' 선정(종합) 2024-04-18 05:20:21
알린 팔레스타인 비디오 저널리스트 모타즈 아자이자도 아이콘 부문에 꼽혔으며, 이란의 여성인권운동가 나르게스 모하마디는 지도자 부문에 꼽혔다. 타임지는 2004년부터 매년 세상을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가장 두드러지게 변화시킨 개인이나 단체 100인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mina@yna.co.kr (끝) <저작권자(c)...
[오늘의 arte] 예술인 QUIZ : 카메라를 들고 뉴욕 누빈 보모 2024-04-15 18:48:18
한 저널리스트가 ‘미술 작품의 미학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간극이 점점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기사를 신문에 게재한 적이 있다. 다시 말하면 동시대 미술계에서 소수의 자본권력에 의한 인위적 시장 조정이 아주 용이하게 벌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 부산시립미술관장 서진석의 ‘아트 앤 더...
옷장 속 ‘침묵의 봄’…당신이 입는 옷은 안전한가 2024-04-05 06:00:47
설립되는 계기가 됐다. 저널리스트이자 지속가능한 패션 전문가인 저자가 쓴 는 옷장 속 ‘침묵의 봄’에 대한 이야기다. ‘24시간 우리 몸을 감싸는 옷은 과연 안전한가’라는 의문을 던지고 패션 브랜드와 화학 회사가 말하지 않는 진실을 추적한다. 옷 한 벌에 때로는 50가지 이상의 화학물질이 들어가며, 그중에는 암과...
케이비엘러먼트, 영국 머저마켓 IPO 일정 인터뷰 진행 2024-04-03 14:17:41
거점을 두고 250명 이상의 저널리스트와 애널리스트의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전달이 되고 있는 투자 및 M&A 전문 매체이다. 세계 각국의 1500개 이상의 투자은행, 금융자문사, 법률회사, 사모펀드, 기업고객이 머저마켓을 이용하고 있다. 이번 케이비엘러먼트 인터뷰 요청은 머저마켓 정책상 스타트업의 경우 시리즈 C...
기생충·오징어게임이 '한국적이라서 성공했다'고? [서평] 2024-04-02 09:23:37
아니란 얘기다. ‘혼종’. 문화 전문 저널리스트인 문소영 기자는 최근 펴낸 에서 최근 한국 대중 문화의 성공 비결이자 특징을 이 단어 하나로 요약한다. 여기서 혼종이라는 단어는 부정적 의미보다는 긍정에 가깝다. 한국처럼 자국과 외국, 전통과 현대 등 여러 가지가 정신없이 뒤섞인 ‘혼종적 환경’에서는 무엇이든...
[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자본주의는 원래 냉혹하고 결함도 있는 시스템" 2024-03-29 18:55:48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다. 청년 세대가 세운 대안 언론 노바라미디어에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 현재는 계간 트리뷴에서 활동 중이며 과 에 이어 이번 에 이르기까지 현대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을 고발하는 책을 잇달아 펴냈다. 이번 책에서 저자는 “자본주의에 대해 당신이 아는 모든 것은 잘못됐다”며 “자유시장은...
[한경에세이] 예술은 돈이 아니다! 2024-03-29 18:42:29
한 저널리스트가 ‘미술작품의 미학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간극이 점점 벌어지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쓴 적이 있었다. 미술계에서 소수의 자본 권력에 의한 인위적 시장 조정이 아주 쉽게 벌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자본은 예술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근본적 동인 중 하나다. 작가의 창작 역량을 자본으로...
[한경에세이] 대중이 먼저 알아보는 현대미술 2024-03-22 18:33:27
비평가, 큐레이터, 갤러리스트, 컬렉터, 저널리스트 등 전문가들이 소통, 공감, 합의해 예술작품의 가치를 결정해 왔다. 그들의 전문성은 곧 엄청난 권위이자 권력이었다. 이제까지 현대미술계에는 전문가인 예술인과 비전문가인 대중 사이 미적 감성의 간극이 엄연히 존재했다. 필자는 21세기, 디지털 기술 혁명과 민주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