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타대, 오는 16일 가을학기 입학설명회 2022-04-14 15:42:53
진행되는 이번 온라인 설명회에서는 유타대 학부 및 학사 시스템 소개, 입학 지원 방법, 입학에 필요한 서류 준비 등을 설명한다. 국내 고등학생들은 입학 지원 시 수능 점수 없이 듀오링고, 토플, 토익, 아이엘츠 등 공인 어학성적과 내신 성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수시와 정시, 문과와 이과, 또는 신·편입 유형에...
노화는 왜 진행될까…삼성, 미래기술 연구에 486억 지원 2022-04-05 12:04:17
전자전기공학부 교수는 세계 최초로 1THz급 동작 속도의 극초고주파·초저전력 차세대 반도체 소자(트랜지스터) 개발에 나선다. 현재 구현된 세계 최고속 반도체 전자소자는 738GHz이며, 기존 방식으로는 800GHz가 기술적 한계로 알려져 있는데 김 교수팀이 한계 돌파에 도전하는 것이다. THz급 반도체 전자소자 기술은...
전기차 대중화, 전력시장 개방에 달렸다 2022-04-01 19:12:45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홍익대 전기공학부 전영환 교수 화상으로 연결돼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전력 시장을 한국전력이 독점하고 있는 구조를 바꿔야 한다` 이런 입장이신데 어떤 점 때문에 그렇습니까? <전영환 / 홍익대 교수> 요즘과 같이 전기차 수량이 적을 때는 전기차가 소비하는 전력량이 적기...
"미세전류로 플라크 깨끗이 제거…치주염 78% 줄여" 2022-03-08 17:04:14
의대에 다니다 전공을 바꿔 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했다. 미국 메릴랜드대 박사과정 유학 시절 미세전류가 미생물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논문으로 발표했다. 김 대표의 논문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리서치 등에 게재됐다. 창업을 염두에 두고 한국에 돌아온 그는 삼성전기, 씨젠 생명과학연구소...
삼성맨이 만든 '전자책' 스타트업, 1200억 유치…유니콘 등극 2022-02-28 17:15:58
서비스를 내놓고 관련 시장을 개척했다. 서울대 전기공학부 출신인 배기식 대표(43)가 삼성전자 벤처투자팀에서 독립해 회사를 세웠다. 리디는 전자책 시장 성장 속도가 정체되자 2018년부터는 매주 한 회 단위로 연재되는 에피소드형 웹소설을 유통하는 등 콘텐츠 범주를 넓혔다. 리디는 누적 투자 유치액 2000억원 돌파를...
국내 최초 '미세전류 칫솔' 히트친 프록시헬스케어..의료기기 진출 2022-02-14 17:35:40
진로 방향을 틀었다. 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한 뒤 미 메릴랜드대에서 전기컴퓨터공학부 석·박사 과정을 공부했다. 이후 씨젠에서 장비개발팀장, 삼성전기 LCR(칩 부품) 사업부 연구원 등을 지냈다. 바이오 분야와 전기공학 분야를 골고루 경험한 셈이다. 승승장구하던 그가 인생항로를 바꾼 것은 암에 걸리고 나서였다....
프록시헬스케어 "미세전류로 치석 제거…신개념 칫솔로 美 공략" 2022-02-14 17:17:35
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했다. 미국 유학 시절 박사학위 과정 도중 특수 전자기파로 미생물막을 제거하는 칩을 개발했고 이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리서치’에 등재됐다. 이후 씨젠과 삼성전기 등을 거친 뒤 자신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2019년 프록시헬스케어를 창업했다. 김 대표는 “자체 개발한 원천기술을 보유한...
한국인 접속만 막으면 게임용 NFT는 합법? 아닐 수 있다 [한경 코알라] 2022-02-10 09:59:22
분야 등 핀테크 분야에서도 다양한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블록체인 분야에서 국내 유수 암호화폐 거래소 임직원들의 형사소송, 각종 규제 관련 자문, 해외진출 관련 자문, 거래소 운영종료 및 폐쇄 관련 자문 등을 수행했다. 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했으며 2018년부터 대한변호사협회 IT·블록체인특별위원회 위원을...
너도나도 메타버스…열풍 뒤에 가려진 진실 [박동휘의 컨슈머 리포트] 2022-01-20 08:37:46
김영민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는 “웨타 디지털이 갖고 있는 ‘골룸’ 등 주요 캐릭터에 대한 지적재산권(IP)을 확보하는 등 다목적 포석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메타버스에 사용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유니티의 목표라는 분석이다. 빅테크들은 메타버스를 마치 게임의 세계처럼 만들고 싶어한다. 국내...
더 실감나는 AR·VR, 3차원 홀로그램…'메타버스 빅뱅'이 온다 2022-01-10 17:25:40
전기공학부 교수는 “현실과 가상에서의 경험을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해지는 순간이 본격적인 메타버스의 시작점”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정보기술(IT)업계가 스탠퍼드대 이미징랩에 주목하는 이유는 새로운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콘텐츠 알고리즘과 이를 VR 기기에 구현하도록 해주는 하드웨어 기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