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나노 디스플레이 석학 김종민, 英 케임브리지 첫 韓 명예교수 2023-11-19 06:30:01
3월 옥스퍼드대 전기공학과 정교수 겸 학과장이 됐고 2016년 1월엔 케임브리지대 '전기공학과(1944)' 교수로 옮겼다. 이 직함은 전기공학과에 정교수 자리가 만들어진 1944년을 기념하는 영예로운 타이틀이다. 경북 청도 출신인 김 교수는 철도고, 홍익대 전자공학과를 거쳐서 미국 뉴저지 주립공대에서 석·박사...
유웅환 한국벤처투자 대표, 임기 2년 남기고 사의표명 2023-11-17 18:53:17
대표는 광운대 컴퓨터공학과 학사, KAIST(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이후 인텔 수석 매니저, 삼성전자 상무, 현대자동차 이사, SK텔레콤 부사장 등을 역임했다. 2017년 19대 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캠프에서 일자리위원회와 4차산업혁명 분과 위원장을 지냈다. 2022년 20대 대선에서는...
"국산화 성공, 다음은 세계 1등"…카이트로닉스, 딥테크 팁스 선정 [허란의 VC 투자노트] 2023-11-08 11:21:01
얇은 필름형 센서를 이용해 전자제품, 반도체, 배터리 공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분포와 강약을 측정한다. 카이트로닉스는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90학번으로 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을 지낸 장욱 대표가 2014년 창업한 회사다. 100% 해외 제품에 의존하던 전자감압지를 포함하여 컨트롤러와 소프트웨어까지 모두 자체...
이임평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사업단 단장, “누적 124개 기업 육성, 창업을 통해 서울과 세상에 임팩트를 만들어” 2023-11-05 19:02:34
발전자문위원회(유무인복합체계정책분야) 위원 (현)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 전문위윈회 위원 (현)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무인이동체분과) 위원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측지과학 및 측량 박사(1999~2002) 영국 런던대학교 우주선공학 및 위성통신 석사(1991~1992)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학사(1988~1991)...
핵방사선 시각화·화생방 탐지…新기술 경연 2023-11-02 18:58:02
밖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초고주파 전력증폭기용 질화갈륨(GaN)·탄화규소(SiC) 소재,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초소형 전기추진 초전도 전동기 등 23개 기술에 대한 전시 또는 발표가 이뤄졌다. KIST는 군집드론 이용 화생방 탐지기술, 전차 등 군 기동장비 방탄용 초경량 복합재 등 8개 기술을 선보였다....
칭화대 "엔비디아보다 3000배 빠른 AI칩 개발" 2023-11-02 18:25:49
칭화대 전자공학과 연구진은 지난달 말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저전력 고성능 인공지능(AI)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칭화대 연구진은 새로 개발한 반도체 ACCEL의 연산 속도가 엔비디아가 양산하는 AI 반도체 A100보다 3000배 빠른 4.6페타플롭스(PFlops)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1페타플롭스는...
세종사이버대 전기전자공학과, 공모전 ‘지구를 살리는 에코 에너지 신기술’ 수상작 발표 2023-11-02 17:55:21
신재생에너지 관련 신기술, 생활 속의 전기절약 아이디어, 전자제품의 고효율시스템 설계라는 3개의 주제에 걸쳐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종사이버대 전기전자공학과가 전기발전, 송배전, 변전 등 전력 및 에너지 분야에 특화된 학과라는 것을 홍보하는 좋은 기회가 됐다. 앞으로도 전기공학 관련 일반인들이 ...
中 칭화대 "엔비디아보다 3000배 빠른 AI반도체 개발 성공" 2023-11-02 15:03:24
전자공학과 연구진은 지난달 말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저전력 고성능 인공지능(AI)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칭화대 연구진은 새로 개발한 반도체 ACCEL의 연산속도는 엔비디아가 양산하고 있는 AI 반도체 A100보다 3000배 빠른 4.6페타플롭스(PFlops)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1페타플롭스는...
미용 필러 소재로 신경 손상환자 재활 돕는다 2023-11-02 01:00:04
신미경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부교수는 "재활훈련이 요구되는 심각한 근육 손상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보형물을 구현했다"며 "뇌, 심장 등 다양한 장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단은 이 기술이 임상에서 최소침습 시술로 이어질 수 있게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네이처에 실린...
세종사이버대 전기전자공학과, 공모전 ‘지구를 살리는 에코 에너지 신기술’ 개최 2023-10-13 17:20:24
세종사이버대학교(총장 신구)는 전기전자공학과 공모전 ‘지구를 살리는 에코 에너지 신기술’ 을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지구를 살리는 에코에너지라는 주제로 총 3개 분야에 대한 신기술을 공모하며, 세부 공모 분야는 1. 풍력발전, 스마트그리드, 태양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신기술, 2. 가전기기, 모바일기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