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전자 주식 멀리하더니…결국 5억 넘게 사들인 이유 2024-11-11 16:53:50
삼성전자에서 'M&A 키맨'으로 통한다. 고려대 전자공학과를 나와 KAIST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은 1986년 삼성전자에 입사했다. 2004년 부장으로 근무하던 때 삼성전자와 일본 소니의 합작사인 에스엘시디(S-LCD)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핵심 실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당시 에스엘시디 이사로 합류했던 이재용 회...
황무지를 기술강국으로…'K-반도체 아버지' 강기동 박사 2024-11-10 07:20:03
전자 반도체의 전신이기도 한 이곳은 한국 반도체의 아버지로 불리는 강기동 박사(90)가 세운 곳이다. 황무지 같았던 대한민국에 반도체 산업의 싹을 틔우고, 현재 우리나라 수출 1위 품목이라는 쾌거 달성의 배경에는 강 박사의 반도체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있었다.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1958년 미국 유학길에...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속 우리의 전략은…연합뉴스 미래경제포럼 2024-11-08 09:00:02
주제의 3세션에서는 신창환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교수와 이문태 LG AI연구원 어드밴스드 ML랩장이 연사로 나선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SK하이닉스 사외이사를 역임한 신 교수는 반도체 기술과 산업 전략 부문의 전문가로서 우리나라 첨단테크의 산업적 청사진을 제시할 예정이다. AI 선행 기술과 기계 학습 부문의...
건양대, 글로컬대학 30 및 SW 중심대학 선정…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이끈다 2024-11-07 17:47:42
LG전자 연구소, 한글과컴퓨터, 비트컴퓨터, 터보소프트, 엠로(2023년 삼성SDS 인수), 뷰노(인공지능) 등의 기업들이 있으며, 정부기관과 외국기업으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전자부품연구원, 식품의약품안전처와 SMK Corporation, GCS 등이 있다. 대학원 진학도 활발하여 건양대를 비롯해 연세대, 중앙대, 한양대,...
[위기와 기회] ① 불확실성 커진 반도체…보조금 축소·대중제재 강화 촉각 2024-11-07 14:00:07
분석했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트럼프의 미국 내 반도체 투자 확대 압박과 보조금 축소 가능성은 국내 기업에 위협요인이지만, 강력한 대중 수출·투자 통제로 중국의 첨단 반도체 성장이 지체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반사이익은 기회요인"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고성능 인공지능(AI) 전용 메모리칩...
SK플래닛 대표 유재욱…또 40대 CEO 등장 2024-11-04 17:39:18
OK캐쉬백과 전자지갑 ‘시럽’ 사업 등을 벌이는 SK플래닛이 40대 투자분석 전문가를 최고경영자(CEO)로 발탁했다. SK이노베이션이 최근 SK아이이테크놀로지 사령탑에 40대 이상민 사장(49)을 앉히는 등 SK그룹에 세대 교체 바람이 불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4일 업계에 따르면 SK플래닛은 지난 1일 유재욱 SK㈜...
광장, 우주안보 세미나 개최…세종 국내 첫 'IT&SW 전문팀' 발족 [로앤비즈 브리핑] 2024-11-04 10:19:42
대응할 방침이다. 세종 IT&SW 전문팀에는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특허법원 판사 및 서울고등법원 지적재산권 전문재판부 고법판사를 역임한 윤주탁 변호사(연수원 33기)를 비롯해 김윤희 변호사(연수원 32기), 권이선 변호사(연수원 38기), 주석호 변호사(변시 3회), 최광희 고문(전 KISA 사이버침해대응본부장),...
24시간 불켜진 TSMC vs 근로시간 발묶인 韓…커지는 R&D격차 2024-11-03 17:54:47
반도체공학과 학과장은 한숨부터 내쉬었다. 화이트칼라 이그젬션은 반도체업계가 세제 혜택이나 현금 지원보다 중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하며 반드시 도입해달라고 요청한 터다. 반도체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 빠지면서 반도체특별법이 ‘앙꼬 없는 찐빵’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축적의 시간이 경쟁력”3일 대만...
취업난에 달라진 '최상위 학과'…의대 빼면 AI·반도체학과 강세 2024-11-03 17:45:10
관련 학과가 각각 5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컴퓨터 학과가 4개, 전자·전기·화학·화학공학과가 3개씩이었다. 2021학년도만 해도 AI 학과는 단 1개만이 상위권 학과에 진입했는데 2022학년도 2개, 2023학년도엔 4개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반도체 학과 역시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2개에서 2023학년도에는 5개...
[한남대학교 창업중심대학 스타트업 CEO] 혁신적인 의료기기 및 데이터 플랫폼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그레비티’ 2024-10-30 22:59:02
박기돈 이사, 국립한밭대 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CTO로 참석할 예정인 구치완 교수가 함께하고 있다. 구 교수는 심전도 측정 센서를 같은 대학 정연호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했고 MEMS 전극 센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최 대표는 “심전도(ECG) 데이터를 더 정교하게 분석하고 이를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