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화승엔터프라이즈, 예상보다 가파른 수익성 개선…목표가↑"-대신 2025-02-17 07:58:21
이어질 전망이다. 화승엔터프라이즈의 주요 고객사인 아디다스의 실적을 따라서다. 아디다스는 작년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고 대신증권은 전했다. 유 연구원은 “올해 화승엔터프라이즈는 고환율 상황과 가동률 추가 상승에 따른 효율 개선이 지속될 것”이라며 “진입장벽 높은 신발 주문자상표부착...
오늘장 주요 이벤트..."트럼프 취임후 첫 한미 통상협의" 2025-02-17 07:40:04
시간외에서 4.43% 하락했습니다. 오늘의 주요 일정으로는 우선 박종원 산업부 통상차관보가 오늘부터 21일까지 미국을 찾아 관세 협상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미 상무부, 미 무역대표부 등 관계자들을 만날 예정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양국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철강과 자동차, 반도체 등 품목별 ...
[팩트체크] 중국산 '딥시크 포비아' 왜 생겼나? 2025-02-17 07:20:00
연결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했고, 주요 기업들도 업무 용도로 사용하지 말라고 직원들에게 권고하고 있다. 호주, 일본, 대만 등도 비슷한 상황이다.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현재로선 딥시크를 통한 정보 유출은 그럴만한 정황이 있다는 정도로 구체적인 유출 사례가 밝혀진 적은 없다. ...
韓 기업 '러브콜' 잇따르는 헝가리…똑똑하게 투자하려면 [지평의 Global Legal Insight] 2025-02-17 07:00:08
분야의 법률 이슈를 다루며, 주요 판결 분석도 제공합니다. 동유럽과 서유럽을 잇는 교두보인 헝가리는 유럽 밸류체인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헝가리는 전략적으로 이차전지 산업을 육성해 왔고 이는 한국 기업에도 좋은 투자 기회를 제공했다. 그 결과 현재 한국은 헝가리에서 최대의 외국인직접투자(FDI) 국가...
한·말레이 FTA 7차 협상…상품·서비스·투자 등 11개 분야 2025-02-17 06:53:49
산업부 자유무역협정교섭관과 수마디 발라크리쉬난 투자통상산업부(MITI) 협상전략국장이 각각 맡는다. 양국은 작년 3월 FTA 협상 재개 선언을 한 뒤 협정문 전반에 걸쳐 속도감 있는 논의를 진행해왔다. 이번 7차 협상에선 상품, 서비스, 투자, 원산지, 경제협력 등 총 11개 분야별 협상을 진행한다. 본격적인 시장 접근...
[이슈레이더] 우리에게 '황금 투구'는 없지만 2025-02-17 06:41:01
하나 더 보겠습니다. 우리 산업통상자원부 차관보가 오늘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로 향합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관세 폭탄’ 카드를 잇따라 내놓은 가운데, 우리 정부도 본격적인 협상을 위한 움직임을 시작한 겁니다. 모든 상품에 10%를 더 붙이는 부가세에 대해, “관세보다 더 징벌적인...
"올해도 HBM이 효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인력 확보 사활 2025-02-17 06:15:01
힘입어 D램 산업의 핵심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다"며 "특히 HBM3E(5세대)는 2025년에도 타이트(부족)한 공급이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SK하이닉스는 HBM 생산거점으로 짓고 있는 충북 청주 M15X 팹(공장) 가동에 앞서 지난해 말부터 이천캠퍼스에서 근무하는 일부 D램 전공정 관련 팀장·파트장급 인원을 차출해...
한·말레이 FTA 7차 협상…"높은 수준 타결 주력" 2025-02-17 06:00:02
자유무역협정교섭관과 수마디 발라크리쉬난 투자통상산업부(MITI) 협상전략국장이 각각 맡는다. 양국은 작년 3월 FTA 협상 재개 선언을 하고 나서 협정문 전반에 걸쳐 속도감 있는 논의를 진행해왔다. 양측은 제7차 공식 협상에서 상품, 서비스, 투자, 원산지, 경제협력 등 총 11개 분야별 협상을 진행한다. 본격적인 시장...
NYT "트럼프 상호관세, 美 기업도 불확실성…비용상승 부담" 2025-02-17 04:26:39
있다. 전자산업 무역협회인 IPC의 존 미첼 회장은 지난 13일 성명에서 "새로운 관세는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공급망을 교란하며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을 촉진함으로써 미국의 전자산업 기반을 더욱 약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상대국들의 관세를 낮추도록 강제하기 위한 협상 전술일...
'재계 맏형' 최태원, 20대 그룹 이끌고 트럼프 정부 만난다…민간 경제외교 돌입 2025-02-16 23:13:48
내각 주요 인사 등 150여명이 자리한다. 사절단은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 확대를 위한 전략적 협력 필요성을 설명하고 각 기업과 주요 투자 주(州) 관계자들과 개별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오는 20일에는 백악관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고위 관계자들을 만나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할 경제·산업 정책 등을 논의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