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작년 4분기 거래 감소에도 강남 3구 아파트는 가격 상승" 2025-01-23 13:55:35
가격 및 거래가 상승할만한 요인이 있지만 외생 변수가 여전하고, 아직 금리 수준도 높은 데다 7월에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도 실시될 예정이어서 당분간 주택시장의 숨 고르기가 계속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luc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얼죽신'…올해도 부동산 시장 트렌드 이끈다 2025-01-23 08:27:19
기조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최신 평면 설계, 시스템, 커뮤니티 시설 등 실거주에 최적화된 상품성을 갖추면서 탄탄한 주거 수요를 형성해서다. 23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연령별 매매가격지수'를 분석한 결과 1월 기준 5년 이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월보다 1.6% 올라 가장 높은...
"당첨만 되면 수억원이…" 강남 '로또 청약'의 이면 [더 머니이스트-김효선의 부동산이지!] 2025-01-23 06:30:03
비즈니스 모델과 성장 돌파구를 찾고, 가격 중심의 불황형 소비에도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주택 산업의 분위기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어두운 경제 전망과 고물가,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실패 가능성을 최소화하려는 소비 심리가 강합니다. 이러한 소비 심리 위축은 수급 불균형을 가져오고,...
서울 강북 무순위 청약 '인기' 2025-01-22 18:06:13
제한이 없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분양가 상승 추세와 면적, 시세 등을 따져 봤을 때 강남권이 아니더라도 관심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달 정부가 유주택자의 무순위 청약 참여를 제한하는 등 청약 제도 개편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제기된다. 준공까지 2~3년 남은...
남양주 진접2에 1만가구…미니신도시 탈바꿈 2025-01-22 18:05:57
공공주택지구’는 토지 조성 작업이 한창이었다. 이곳은 3기 신도시 중 규모가 가장 큰 남양주 왕숙지구와 붙어 있다. 택지지구가 이마트(진접점)를 기점으로 남서쪽으로 쭉 뻗은 진접2지구는 진접읍을 비롯해 내각리, 연평리 등 129만여㎡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지하철 9호선 연장선과 4호선(진접선) 풍양역 등이 개통하면...
[더 라이프이스트-김용남의 부동산 자산관리] 2025년 도쿄 아파트 시장 전망 2025-01-22 17:01:57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시장 안정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공급은 늘어나지만 여전히 부족 2025년 도쿄의 신규 아파트 공급량은 약 26,000가구로, 2024년 대비 1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는 2024년의 역대 최저 수준(약 23,000가구)에서의 반등에 불과합니다. 게다가 개발업체들이 미분양 리스크를...
관망세 접어든 '을사년 주택시장'…격언에서 배우는 투자 전략 2025-01-22 16:13:03
속에 을사년 새해를 맞았다. 새해 전망과 변화하는 제도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했던 과거 부동산 시장과 달리 올해는 대내외적으로 커지는 불안감에 대한 이야기가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주택시장의 수급상 가격 상승에 무게가 실리고 있지만 정치·제도적 불안 같은 외부적 요인이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다....
살아나지 않는 소비심리…"현재 경기 너무 나쁘다" 2025-01-22 08:48:48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1로, 지난해 12월(103)보다 2포인트 하락해 장기 평균(107)을 6포인트 밑돌았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 전환과 매매 감소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 지수는 지난해 9월 119로 2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넉 달 연속으로 내렸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시중은행 가산금리 인하 등의...
1월 소비심리 소폭 반등…"정치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 2025-01-22 06:00:06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1로, 지난해 12월(103)보다 2p 하락해 장기 평균(107)을 6p 밑돌았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 전환과 매매 감소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 지수는 지난해 9월 119로 2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넉 달 연속으로 내렸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시중은행 가산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1월 소비심리 회복했지만...여전히 비관적 2025-01-22 06:00:01
한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소비지출전망(103p)은 전월 대비 1p 상승하는데 그쳤다. 소비지출을 구성하는 내구재, 외식비, 여행비 등 대부분의 항목들은 전월과 동일했고, 교육비(+2p)와 교통·통신비(+1p)만 소폭 상승했다. 황 팀장은 "교육비와 교통·통신비의 경우, 물가상승을 고려해 지출이 늘어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