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신생아 특례대출·출산가구 특공…내년부터 달라지는 부동산제도 2023-12-13 11:04:44
직계존속으로부터 혼인신고일 전후로 각 2년 내 증여받는 경우가 해당된다. ▲ 전월세 계약 때 공인중개사 인적정보 기재 의무화(1월 도입 목표) = 전월세 계약 신고 때 계약을 중개한 공인중개사의 이름, 사무실 주소, 전화번호 등의 인적 정보 기재가 의무화된다. 공인중개사가 허위 정보를 신고한다면 과태료 100만원이...
신생아 특례 대출·1기 신도시 특별법…내년 바뀌는 부동산 제도 2023-12-13 10:48:36
등 직계존속으로부터 혼인신고일을 기점으로 전후 각 2년 이내 총 4년간 재산을 증여 받는 경우 기본 공제 5000만원(10년간)에 1억원을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다. 정부는 결혼식을 올리고 1~2년 뒤 혼인신고를 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을 감안해 증여세를 공제받을 수 있는 기간을 총 4년으로 넓게 설정했다. 주택청약저축...
고가 2주택자 임대보증금 2026년부터 과세 2023-12-10 17:57:36
직계존속의 일반 증여재산공제 5000만원(미성년자 2000만원)과 별개로 2024년 증여부터 혼인 증여재산 공제와 출산 증여재산 공제를 모두 적용받으면 통합 공제한도 1억원을 적용받을 수 있다. 혼인 증여재산 공제 혜택은 혼인신고일 이전과 이후 2년씩 총 4년간, 출산 증여재산 공제는 자녀 출생일로부터 2년간 적용된다....
'무임승차' 건보 피부양자, 축소 검토…형제·자매 빠지나 2023-12-06 18:04:58
피부양자 범위를 배우자와 미성년 직계비속, 일부 직계존속으로 단계적으로 축소할 것을 정부에 제안했다. 성인 자녀와 형제·자매 등은 점진적으로 피부양자 대상에서 빼자는 것이다. 내년부터 구조적으로 적자 상태에 빠져 2028년 적립금이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는 건보 재정을 안정화하기 위해선 피부양자를 줄이는...
장인·장모에 형제·자매까지 '공짜'…건보 수술대 오르나 2023-12-06 15:48:10
인정 범위는 직장가입자의 배우자, 직계존·비속 및 그 배우자, 형제·자매까지로 상당히 넓다. 한 사람이 직장에 다니면 배우자, 부모, 자녀 뿐 아니라 조부모와 외조부모, 형제·자매에 장인·장모 또는 시부모까지 피부양자로 이름을 올릴 수 있다. 복지부가 이달 중 향후 5년 간의 건보 개편 방안을 담은 ‘제2차...
건강보험 피부양자 대폭 축소?…'합리적 손질'한다 2023-12-06 06:13:17
범위를 보면, 직장가입자의 배우자(사실혼 포함), 직계존속(배우자의 직계존속 포함), 직계비속(배우자의 직계비속 포함) 및 그 배우자, 형제·자매 등으로 폭넓다. 즉, 연 소득 2천만원 이하 등 일정 소득과 재산 조건, 부양요건을 충족하면 본인을 기준으로 아버지, 어머니, 친할아버지, 친할머니,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내년 양육·혼인 세금 공제 늘어난다…자녀 2명이면 35만원 공제 2023-12-03 06:11:11
이내에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은 추가로 1억원이 공제된다. 혼인신고일 전후 4년간 최대 1억5천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는 것이다. 부부 합산으로는 3억원까지 비과세가 가능한 셈이다. 출산하는 경우에도 자녀출생일 후 2년 이내에 증여받은 재산을 추가로 1억원 공제받을 수 있다. 다만 혼인·출산 공제를 모두...
국민연금 가입자 사망때 일시금받는 친척 축소 2023-12-01 06:56:57
있던 4촌 이내의 방계혈족 중에서 최우선 순위자에게 지급된다. 복지부는 이처럼 반환일시금과 사망일시금으로 나뉘어 있는 등 복잡한 일시금 제도를 정비해 단일화하고, 나아가 일시금 지급 대상도 배우자와 직계존속(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직계비속(친자녀, 손주, 증손주)으로...
신혼 3억, 미혼 출산 가구 1.5억 증여 공제…세법개정안 상임위 통과 2023-11-30 15:04:05
거주자가 자녀의 출생일부터 2년 이내에 직계존속으로 증여받는 경우 1억원까지 공제해준다. 다만 혼인과 출산 공제를 모두 적용받는 경우 추가공제한도는 1억원으로 설정했다. 기존 5000만원을 더하면 1억5000만원까지 되는 셈이다. 아울러 아이를 낳지 않는 비혼 부부, 미혼모까지 결혼을 하지 않아도 출산 공제를 선택해...
결혼자금 최대 3억, 증여세 면제 무산 위기 2023-11-21 18:04:32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경우 기본공제 5000만원(10년간)에 더해 1억원을 추가 공제하기로 했다. 신랑, 신부 모두 과거 10년간 증여받은 재산이 없다면 결혼자금으로 양가에서 1억5000만원씩 총 3억원을 세금 없이 증여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신혼부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