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야생 진드기 주의' 울산서 올 여섯 번째 SFTS 환자 발생 2018-10-25 16:20:13
4∼11월에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주로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과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는 감염병이다. 이달까지 전국에서 241명이 SFTS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혜경 남구보건소장은 "SFTS는 예방 백신이나 표적 치료제가 없어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야외 활동 시 긴 옷과...
경기도 진드기전염병 10∼11월 집중…"야외활동 주의" 2018-09-30 07:03:00
진드기가 각각 옮긴다. 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10∼11월에 단풍구경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데다 특히 쓰쓰가무시병 증의 경우 유충이 매개하는데 알에서 깨어나 활발한 활동을 하는 기간이라 10∼11월에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 급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현재 백신이...
진드기·벌·독버섯…무탈 한가위 위해 "조심하세요" 2018-09-23 09:32:02
긴 바지를 입고, 몸에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며, 야외 작업복은 별도 보관하다가 분리 세탁할 것을 당부했다. 또 풀숲에서 용변 보기를 삼가고 풀밭 등에 앉거나 눕지 말며, 들녘 작업 등이 끝난 뒤 고열·오한·두통이 있으면 서둘러 병원에서 진료받을 것을 주문했다. ◇ 가을철 공격성 강해지는 '벌과 뱀' 진드기...
성묘·여행 증가하는 추석 연휴, 주의해야 할 감염병은? 2018-09-22 10:00:22
점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진드기와 설치류 매개 질환 환자는 추석 전후(9월~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므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쓰쓰가무시병 등,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의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올해 도내에서는 12명이 SFTS에 걸려 6명이 사망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논밭 작업이나 야외...
"운전자는 멀미약 먹지 마세요"…'졸음·방향상실' 부작용 2018-09-21 09:00:06
◇ 진드기기피제 발진땐 물로 충분히 씻어내야 야외활동 시 진드기 접근을 막거나 쫓는 효과가 있는 진드기기피제는 의약외품으로 구분된다. 진드기기피제에는 디에틸톨루아미드, 이카리딘,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성분이 들어있는데, 성분별로 사용 연령에 제한이 있으므로 어린이에게 사용할 때에는...
"7세 미만, 녹내장 환자는 붙이는 멀미약 안돼요" 2018-09-21 09:00:00
진드기 기피제 사용 후 세척 중요 성묘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 접근을 막거나 쫓는 효과(기피효과)가 있는 ‘진드기기피제’는 구매할 때 제품 용기나 포장에 ‘의약외품’이라는 표시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진드기기피제는 ‘디에틸톨루아미드’, ‘이카리딘’,...
전북도, 채집 진드기에서 SFTS 바이러스 검출…주의 당부 2018-09-20 14:23:16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전북도 보건당국은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주 연령층이 50대 이상의 농·임업 종사자 비율이 높다"며 "추석을 맞아 벌초나 성묘 때 작업복과 긴 옷, 장갑, 장화를 착용하는 등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도 사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ichong@yna.co.kr (끝) <저작권자(c)...
벌초·성묘철 야생진드기 주의보…예방수칙 안내서 배포 2018-09-16 12:00:36
진드기가 매개하는 질병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바이러스 감염병인 SFTS는 고열을 일으키고 혈소판을 감소시킨다. 지난해 SFTS 바이러스에 의한 사망자 수는 54명으로, 올해는 8월까지 잠정적으로 28명에 이른다. 3대 예방수칙은 '가리고 뿌리기', '지키고 피하기',...
환절기 감기?… 기침 3주 이상 땐 천식·역류성 질환도 의심하세요 2018-09-14 18:11:50
이들 진드기에 물려도 별다른 치료 없이 호전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패혈성 쇼크, 호흡부전, 신부전 등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위험이 있다. 따라서 진드기에 물린 뒤 열이 난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쓰쓰가무시병은 항생제로 치료한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증상에 맞춘 대증치료를 한다.이들 질환을...
벌초·추수·나들이…"가을철, 감염병 조심하세요" 2018-09-04 16:04:12
바지를 입고, 몸에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며, 야외 작업복은 별도 보관하다가 분리 세탁할 것을 당부했다. 또 풀숲에서 용변 보기를 삼가고 풀밭 등에 앉거나 눕지 말며, 들녘 작업 등이 끝난 뒤 고열·오한·두통이 있으면 서둘러 병원에서 진료받을 것을 주문했다. 도 감염병관리과 관계자는 "가을철이 되면 야생 진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