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국판 스팀' 시동 건 엔씨…소니 등 파트너사 게임 제공 2024-09-10 17:37:07
EA앱(EA), 스토브(스마일게이트) 등이 시장을 나눠 갖고 있다. EA앱은 ‘에이펙스 레전드’ ‘배틀필드’ 등 독점 콘텐츠가 무기다. 스토브는 인디 게임이라는 차별점을 내세웠다. 에픽게임즈스토어는 자사 게임 엔진인 언리얼 엔진의 사용료를 면제해 주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파트너 개발사를 대상으로 게임 배포와...
클레이튼·핀시아 합작 ‘카이아’(KAIA) “연내 라인 메신저와 가상자산 결합 서비스 출시한다” [KSL 2024] 2024-09-02 22:21:04
구글클라우드 등 글로벌 대기업들과 RWA 토큰화 사업을 구축하고 있는 갈락티카, 그랩 줍, 타다-엠블, 크레더 등이 참여해 인사이트를 공유할 예정이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강민승 블루밍비트 기자 minriver@bloomingbit.io
유컴패니온, 한양대 QR 출입·카카오 알림톡 시스템 구축 2024-08-22 15:39:07
유컴패니온은 SK, 신한은행, 스마일게이트, EBS, 웅진씽크빅 등의 교육플랫폼도 구축한 경험이 있다. 한수진 유컴패니온 회장은 “클라우드 기반의 교육 플랫폼을 구축해 디지털 교육 서비스를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하겠다”며 “사용자 중심 시스템을 구축해 교육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ETF로 접근하는 AI 투자…국내외 수익률 톱 펀드는 2024-08-01 09:48:19
체결했고, 헬스케어 산업에도 눈을 돌려 의료용 클라우드와 AI 음성인식을 보유한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을 인수하는 등 다양한 AI 관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AI 분야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반도체 설계 기업으로 주로 AI, 머신러닝에 특화된 반도체 설계(팹리스) 기업에 투자해 왔다. 2019년 고성능 네트워크 장비 설계...
삼성전자 2분기 반도체로 6.5조원 벌었다…TSMC 매출도 추월(종합) 2024-07-31 09:57:47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와 일반 기업체의 AI 서버 투자가 확대됨에 따라 고성능·고용량 D램과 낸드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범용 D램 매출 비중은 2023년 4분기 39%에서 올해 1분기 52%, 4분기 66%로 연말로 갈수록 확대될 것으로 보여 하반기 실적 개선 폭은 확대될 전망"이라며 "현재...
게임 만드는 SW에 빠진 車·통신 업계 2024-07-29 15:41:43
KT가 게임엔진 업체와 협업하는 배경엔 클라우드사업을 키우려는 전략이 깔려 있다. KT 관계자는 “언리얼엔진 도입으로 섬세한 그래픽 표현이 가능해졌다”며 “여기에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하면 고객사가 고사양 그래픽처리장치(GPU) 없이도 스트리밍 방식으로 3차원(3D)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MS發 먹통에…보안株 간만에 '숨통' 2024-07-22 17:30:45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날 급등한 SGA솔루션즈는 서버와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이 주력이다. 1분기 보안 솔루션 관련 매출 비중은 30%(약 26억원)다. 작년 5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모니터랩도 주목받고 있다. 웹 서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하드웨어형 보안 솔루션인 웹방화벽(AIWAF), 보안 웹 게이트웨이(AIS...
美 MS 클라우드 먹통에 전 세계 마비…국내 보안株 들썩 2024-07-22 16:35:45
이날 급등한 SGA솔루션즈는 서버와 클라우드 보안솔루션이 주력이다. 지난 1분기 보안 솔루션 관련 매출 비중이 30%(약 26억원)에 이른다. 이 회사는 또 블록체인 솔루션 루트체인(RootChain) 플랫폼을 보유 중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가상자산 산업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어 '트럼프 트레이드'...
이종호 장관 "GPU·D램 수명 끝나간다…지능형 반도체가 AI시대 새 길" 2024-07-16 17:50:35
이상 게이트 길이로 따질 수 없어요. 핀펫으로는 TSMC가 3나노까지 갔죠. GAA부터는 핀펫 대비 성능이 얼마나 개선됐는지를 비례적 등가 개념으로 표시합니다. 2나노, 1나노, 0.5나노 등 이름이 붙어도 실제 물리적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K클라우드에 공을 많이 들였습니다. “AI를 실질적으로 서비스할 수...
'생각하는 건물'…스마트 빌딩에서 미래 찾는다 [뉴스+현장] 2024-07-11 08:30:00
제거하고, 클라우드로 로봇과 함께 게이트, 엘리베이터 등 빌딩 인프라를 연동하면서 세계 최초의 로봇 전용 엘리베이터도 설치하는 등 로봇친화 빌딩을 구현하는데 힘썼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미글로벌은 올 하반기 중 데이터센터의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영상취재 양진성, 영상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