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다시 트럼프에 기대는 베네수野…'한지붕 두대통령' 재현? 2025-01-18 01:30:10
책임져야 한다는 압박 속에 2022년 12월 불명예 퇴진했다. 다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과거와 똑같은 접근법으로 마두로 견제에 나설지에 대해선 선뜻 예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 싱크탱크인 미주대화(Inter-American Dialogue)의 마이클 시프터 선임연구원(전 대표)은 지난해 영국 BBC방송 스페인어판(BBC 문...
英스타머 "트럼프와 무역협정 원해"…머스크 공세엔 "잡음" 2025-01-18 00:45:18
희망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 스타머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의 최측근으로 떠오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노동당 정부를 겨냥해 끊임없이 공세를 펴는 것에는 "결국엔 중요한 것에 집중해야 한다. 잡음은 무시하라"고 일축했다. 머스크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 영국 조기 총선을 공개 거론해 왔으며, 측...
환율 1450원대까지 하락...추가 원화 강세 가능성은? 2025-01-17 15:55:38
- 원달러 환율이 장막판 소폭 상승했으나 1,450원대까지 내려옴. - 국민연금의 환해재 물량 출회와 미국 물가지표 발표로 인한 달러화 안정이 요인으로 작용함. - 원화 추가 강세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까지 달러 강세 기조가 뒷받침되고 있어 추세적 요인으로 보기는 어려움. - 미국 국채금리가 소폭 진정되었으나, 트럼프...
"트럼프 취임식에 유럽 극우 대거 초청…주류 중도파는 소외" 2025-01-17 03:28:39
"트럼프 취임식에 유럽 극우 대거 초청…주류 중도파는 소외" 외국 정상으로는 '親트럼프' 멜로니·오르반 초청 EU수장·마크롱·스타머 초청 못 받아 (런던=연합뉴스) 김지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에 중도파 주류 지도자들을 제치고 우익 포퓰리즘 정치인이 대거 초청받았다고...
트럼프 취임직전 우크라 달려간 유럽…英 "지원 늦추면 안돼" 2025-01-17 01:38:54
트럼프 취임직전 우크라 달려간 유럽…英 "지원 늦추면 안돼" 프·독·영·伊 등 잇단 통화·회동…"평화협상 전 우크라 입지 강화" 전후 안보보장 논의…젤렌스키 "영·프·폴란드와 평화유지군 논의" (런던=연합뉴스) 김지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두고 유럽 주요국 지도자들이 잇달아...
[이코노워치] 한국경제만 옥죄는 통화정책의 한계 2025-01-16 16:11:20
이탈했다. 전 세계 각국은 내주 출범할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 이익 우선주의에 대응해 자국 경제의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우리는 손발이 묶인 형국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은 달러 강세와 경기 침체에 대응하고자 작년 말까지 3회 연속 금리인하를 강행했다. 미국과의 무역전쟁 한판 대결을...
[조일훈 칼럼] 한국 조선업의 대항해 시대 2025-01-15 17:41:42
구도에서 벗어나 상호 의존적이고 호혜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발판을 만들 수 있다. 한국은 이제 반도체·배터리에 조선까지 아우르는, 미국 공급망의 핵심 기지이자 대양의 말라카해협 같은 전략적 위상을 확보할 판이다. 트럼프가 이런 동맹국에 어떻게 관세폭탄을 때리고 안보적 배신을 자행할 수 있겠나. 안팎으로...
월마트 점령한 '중국산 TV'…60% 관세땐 韓에 기회 2025-01-14 17:48:47
‘트럼프 2.0 시대’를 맞아 중국이 휩쓸고 있는 중저가 가전·TV 시장의 일부를 한국이 되찾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60% 관세 부과를 공언해서다. 이렇게 되면 중국산 제품의 미국 수출가격이 올라 현지 생산체제를 갖춘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다. 삼성전자와 LG전자도...
"트럼프 취임후 한달은 약세"…이번에도 맞을까 [장 안의 화제] 2025-01-14 16:06:51
공감을 좀 하고요. 그다음에 지금 어쨌든 트럼프에 대한 기본적인 노직은 뭐냐면 자문화 중심주의 그리고 어떤 섹터를 중심적으로 키울 거냐에 대한 부분인데 많이 이야기를 안 했던 부분이 에너지 섹터입니다. 그래서 에너지 섹터 좀 보셔야 될 것 같고 그다음에 앞서 말씀드렸던 테크나 우주항공, 방산, 조선 이런 부분은...
로봇·AI·양자까지 붙었다…체급 달라진 현대차 [장 안의 화제] 2025-01-14 13:04:11
관점에 따라 다른 것 같아요. 제가 바라보는 3대 키워드는 뭐냐면 트럼프, 즉 트럼프 2기 행정부, 그리고 AI, GLP-1. AI. AI가 여기 붙어 있었던 거죠. 그러면서 이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수요를 받을 수 있는 쪽은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규제 완화, 약가 인하, 그리고 PBM 규제 이런 부분이기 때문에 결국 우리나라 CD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