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환경단체 "일본, 고래잡이 중단하라…한해 300여마리 포획" 2019-06-19 11:49:09
곧 해양생태계 보호와도 직결된다. 상업 포경 재개가 한반도 해양생태계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상업 포경 재개는 고래 보호를 위해 지구촌이 함께 힘을 모으자는 결정을 정면으로 위반한 것"이라며 "일본 정부는 돈벌이 목적의 고래 사냥을 중단하라"고 역설했다. yes@yna.co.kr (끝)...
[#꿀잼여행] 영남권: 바다 가르며 춤추는 고래떼…장생포에 가면 볼 수 있다 2019-06-07 11:00:04
축제가 동시에 개최된다. 우리나라 포경산업의 중심지였던 장생포에서 다양한 고래 관련 프로그램을 즐기며 아이들은 고래의 푸른 꿈을, 어른들은 낭만과 향수를 만끽할 수 있다. 같은 기간 울산 중구에서 열리는 길이 70m에 달하는 조선시대 울산 큰 줄다리기 축제도 놓치기 아까운 볼거리다. ◇ 포경산업 중심지에서...
하얀 벽에 파란 지붕…포항판 '그리스 산토리니' 2019-06-04 18:09:32
빛과삶연구소, 포항시자원봉사센터 등이 공동 참여한다.70여 가구가 사는 다무포 고래마을은 자연경관이 뛰어나고 미역, 전복, 조개, 문어 등 해산물이 풍부한 곳으로 유명하다. 1970년대 포경이 금지되기 전에는 고래잡이 배가 많이 드나들었다. 지금도 4~5월 고래 산란기가 되면 마을에서 가까운 바다에서 고래를...
포항 다무포마을 한국의 산토리니로 만든다 2019-06-02 17:56:12
해산물이 풍부한 곳이다. 다무포는 포경이 금지되기 전에는 고래잡이배가 많이 드나든 곳이다. 지금도 4∼5월 고래 산란기가 되면 마을에서 가까운 바다에서 고래를 많이 볼 수 있다고 한다. 김현구 시 도시재생과장은 "이번 하얀마을 만들기를 통해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다무포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sds123@yna.co.kr...
검푸른 바다는 기억한다…홍어? 아니 고래의 섬 2019-05-26 15:06:10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포경 근거지라면 동해의 장생포를 떠올린다. 하지만 고래는 동서남해 한국의 바다 모든 곳에 살았고 지금도 살고 있다. 과거에는 장생포뿐만 아니라 서귀포, 대청도, 어청도, 흑산도 등 서남해의 여러 섬도 고래잡이의 전진 기지였다. 홍어의 섬 흑산도에 홍어공원은 없지만 고래공원이 있는...
'그물에 걸리는 밍크고래' 막을 수 없나…묘책 없어 아쉬움 2019-05-16 11:34:19
조사한다. 고래고기 수요가 적지 않아 불법 포경도 종종 적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불법 포획 흔적이 없으면 고래 유통 거래서를 발급해준다. 밍크고래는 수협 위판에서 수천만원에 거래가 돼 어민들 사이에서는 '바다의 로또'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동해안과 서남해안 등 우리나라 연안에서 그물에 걸린...
[서해 최북단 섬들을 가다] 억겹의 세월 버텨온 대청도 2019-05-11 08:01:05
일본 포경선단이 자리 잡기도 했다. 포경선은 멀리 중국 해안까지 나가 고래를 잡았다고 한다. ◇ 자연산 해산물이 있는 먹거리 천국 대청도는 백령도보다 먹을 것이 훨씬 풍부하다. 백령도는 엄밀히 말해 지형이 평지에 가까워 농사가 발달했다. 즉 바다 위에 떠 있는 농업지대인 셈이다. 이에 비해 대청도 인근에는 각종...
돈 물고 있는 개·울산 큰애기 '화제'…관광캐릭터로 지역알린다 2019-05-04 07:33:11
특허 출원 신청했다. 이 캐릭터는 울산 장생포에 포경 산업이 활발하던 시절 '지나가던 개도 만원을 물고 다닐 정도로 부유했다'고 전해지는 말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실제로 장생포 고래문화마을에 조성된 옛 마을 입구에는 돈을 물고 있는 개의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남구는 당시 장생포에 경주개(동경이)가 많...
울산남구, '장생포 돈 물고 있는 개' 캐릭터 특허출원 신청 2019-04-18 17:22:13
캐릭터는 장생포에 포경 산업이 활발하던 시절, '지나가던 개도 만 원을 물고 다닐 정도로 부유했다'고 전해지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개발됐다. 실제로 장생포 고래문화마을의 옛 마을 입구에는 돈을 물고 있는 개의 조형물이 설치돼 있으며, 남구는 이 조형물을 캐릭터화했다고 설명했다. 남구는 출원 신청으로 이...
서울대공원 돌고래 '태지', 수중공연 없이 제주도서 여생 보낸다 2019-04-16 11:15:01
따르면 세계포경위원회 과학전문위원인 나오미 로즈는 "한국 해양 조건상 바다쉼터 조성은 어렵고, 방류 또한 나이와 10년 이상의 수족관 생활을 고려할 때 태지에게 부적합하다"는 의견을 냈다. 태지는 2008년 9월 서울대공원에 반입될 당시 6세 이상으로 추정됐다. 큰돌고래의 수명은 25∼30년 정도다. jk@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