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카카오·동원·하림, '바이오 기업' 눈독 2025-01-10 18:12:28
나온다. 10일 자본시장과 제약·바이오업계 등에 따르면 포스코, 두산, 하림, 동국제강, 동원그룹, 카카오 등이 바이오 사업 진출을 위해 전략적 투자, M&A, 합작법인(JV) 등 다양한 형태의 투자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포스코기술투자를 통해 국내 바이오 기업을 상대로 기업설명회(IR)를 하고, 투자처를 ...
"오너 아니면 재무통 CEO"…대형 건설사, 책임·내실 경영 강화 2025-01-10 17:15:26
김형근 사장을 대표로 선임했다. 모두 내실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10대 건설사 가운데 사업 부문에서 대표를 선임한 곳은 현대건설과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 등이다. 현대건설은 작년 11월 이한우 주택사업본부장을, DL이앤씨는 작년 8월 박상신 주택사업본부장을 대표로 발탁했다....
"오너 아니면 재무통 CEO"…건설사, 책임·내실 경영 강화 2025-01-10 11:00:01
선임한 곳은 현대건설, DL이앤씨뿐, 포스코이앤씨 등이 있다. 현대건설은 작년 11월 이한우 주택사업본부장을, DL이앤씨는 작년 8월 박상신 주택사업본부장을 대표로 발탁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해 12월 정희민 건축사업본부장을 대표로 선임했다. 오세철 삼성물산 건설부문 대표와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는 유임됐다. 박...
시간외거래 신고가 속출...포스코엠텍,파미셀 랠리 2025-01-10 07:37:46
- 시간외 거래에서 포스코엠텍이 9.98% 상승함. 포스코와 1700억 규모의 제철소 제품 포장 외주 작업 계약 체결 때문임. 또한 유일로보틱스와도 로봇 자동화 설계 계약을 체결함. - 52조 신고가 종목 중 파미셀이 10% 가까이 상승함. 화장품 테마주로 코로나19 테마로도 묶이며 최근 화장품 상승세와 전염병 우려 속에서...
코스피 외인 매수세에 2,530선 탈환 시도…SK하이닉스 5%대 상승 2025-01-09 11:10:46
반도체주는 등락이 엇갈리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현대차[005380](1.17%), 기아[000270](3.27%), 현대모비스[012330](2.39%) 등 그룹주가 동반 강세다. 최근 상승세를 이어온 LG에너지솔루션[373220](-3.48%), POSCO홀딩스[005490](-1.14%), 포스코퓨처엠[003670](-1.51%)...
본사 지방인데 R&D센터는 수도권…기업, 고급인력 유치 '고육책' 2025-01-08 17:48:42
그룹도 경기 용인에 첨단기술 R&D센터를 건립하고 있다. 이 R&D센터엔 두산에너빌리티, 두산퓨얼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등 수소 관련 연구 인력을 모을 계획이다. 그룹 이름에 ‘포항’이 포함된 포스코(포항스틸컴퍼니)도 경기 성남 위례지구에 미래기술연구원 분원을 설립하고 있다. R&D센터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2030 고급 인재들 지방근무 꺼리더니…'고육책' 내놓는 기업들 2025-01-08 17:00:49
창원 등 남동 해안 공업지대인 두산 그룹도 경기 용인에 첨단기술 R&D 센터를 건립하고 있다. 내년 완공될 예정이다. 해당 R&D 센터엔 두산에너빌리티, 두산퓨얼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등 수소 관련 연구 인력을 모을 계획이다. 그룹 이름에 ‘포항’이 포함된 포스코(포항스틸컴퍼니)도 경기 성남 위례지구에...
경북도, CES 2025 경북공동관 운영 ...39개 경북 기업 참가 2025-01-08 15:14:45
경상북도관 16개사, 포항시관 10개사 경산시관 7개사, 포스코그룹 내 경북기업 6개사 등 39개 기업이 참가한 경북공동관을 운영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K-TECH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올해 CES에서는 경북도 5개 기업이 혁신상을 받았다. 혁신상 수상기업은 휴머닉스(대표 최정수), 엑스빅(대표 김태연), 플로우스튜디오(...
작년 국내 대기업 시가총액 251조 '증발'…삼성그룹만 167조 2025-01-08 08:27:14
집계됐다. 그룹별로는 삼성 상장 계열사의 시총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삼성그룹 시총은 2023년 말 710조801억원에서 지난해 말 543조3305억원으로 166조7496억원(23.5%) 줄었다. 계열사 별로는 삼성전자 시총이 165조9297억원 감소했고, 삼성SDI(15조5996억원↓), 삼성물산(3조6585억원↓), 삼성SDS(3조2653억원↓) 등도...
삼성전자 시총 165조 증발할 때 홀로 40% 급증한 '이곳' 2025-01-08 06:40:47
삼성그룹 시총은 2023년 말 710조801억원에서 지난해 말 543조3천305억원으로 166조7천496억원(23.5%) 감소했다. 삼성전자 시총만 165조9천297억원 감소했고, 삼성SDI(15조5천996억원↓), 삼성물산(3조6천585억원↓), 삼성SDS(3조2천653억원↓) 등도 크게 줄었다. 시총이 증가한 계열사는 삼성생명(5조1천40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