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어촌 소멸 막자"…전국 31곳에 1조1천800억원 투입 2024-01-09 15:00:00
임포항 │ │├───┼────┼──────┤ ││ │ │ ││ 전남 │ 고흥군 │ 지죽·죽도 │ ││ │ │ ││ │││ │├───┼─────┤ ││ │││ ││진도군│ 눌옥도항 │ ││ ├────┼──────┤ ││ │ │ ││ │ 함평군 │주포항생활권│ ││ │ │ ││ │││...
[인사] bhc그룹 ; 빙그레 ; KB자산운용 등 2023-12-29 18:40:35
배정호▷포항지사 부장 김종현▷안전관리부장 정신산▷보상총괄부장 문병철▷예산총괄부장 최영진 ◈한국조폐공사◎승진▷사업처장 주민규▷신사업처 신사업1부장 이영석▷ICT운영개발처장 심종오▷ICT운영개발처 지급결제운영부장 주진숙▷화폐본부 생산1처 품질관리부장 남필남◎전보▷MINT사업처장 배수현▷신사업처장...
동국제강, 형강 사업 포항으로 일원화…'CS공장'으로 통합 출범 2023-12-28 11:08:42
포항으로 일원화…'CS공장'으로 통합 출범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동국제강그룹의 철강사업법인 동국제강[460860]은 28일 신평공장 일반형강 생산 기능을 포항 봉강공장으로 이전했다고 밝혔다. 동국제강 포항공장은 제강(쇳물)·형강(H형강)·봉강(코일철근) 생산 능력을 갖춘 거점으로, 이번 이전을 통해...
에스알, “창립 10주년 국민과 철도혁신 함께했다” 2023-12-27 11:22:31
높였다. 지난 9월 1일부터 SRT를 경전선(수서~진주), 동해선(수서~포항), 전라선(수서~여수 EXPO) 노선별로 일일 편도 4회, 왕복 2회씩 운행을 시작해 여수, 진주, 포항 등 새롭게 정차하는 14개 역에서 SRT를 이용해 수도권 동남권으로 환승 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됐다. 에스알은 SRT 3개 노선 운행으로 약 383만 명의 지역...
피엠그로우, 재사용 전지 검사기관으로 지정 2023-12-25 18:13:58
기술을 내놨다. 경북 포항에 배터리 안전성 검사센터도 구축했다. 피엠그로우는 운행 중인 전기차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한 온라인 검사 기술을 도입해 배터리 상태를 진단하고 정비·보험·중고차 사업과 연계하는 등 플랫폼 사업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피엠그로우는 부산테크노파크와 ‘전기차 배터리 순환 경제 및...
용인 등 7개 첨단전략특화단지 전력·용수 등 인프라 구축 속도 2023-12-22 10:18:26
지원체계를 도입하기로 했다. 포항, 구미, 새만금 특화단지의 경우 신규 발전소 건설 없이 현재 계획 중인 변전소를 2025∼2031년 조기에 준공해 포항(864MW), 구미(220MW), 새만금(861MW) 등 각 단지 수요에 맞는 전력을 공급하기로 했다. 특화단지에 필요한 용수 공급 계획도 마련됐다. 정부는 기존 광역·지방 상수도...
수도권 직장인, 매일 출퇴근에 83분 쓴다 2023-12-21 12:35:07
사람이 26.0%로 가장 많았다. 퇴근 시간대는 오후 5시 이전이 32.4%로 가장 많았고, 오후 5∼6시(20.8%)가 그 다음이었다. 통근자 연령이 많을수록 7시 이전에 출근하고 5시 이전에 퇴근하는 비중은 커졌다. 30세 미만은 다른 연령에 비해 늦게 출근하고 늦게 퇴근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수도권의 주요 근무 지역은...
수도권 직장인, 출퇴근에 매일 1시간20분 쓴다…20.4㎞ 이동 2023-12-21 12:00:14
사람이 26.0%로 가장 많았다. 퇴근 시간대는 오후 5시 이전이 32.4%로 가장 많았고, 오후 5∼6시(20.8%)가 그다음이었다. 통근자 연령이 많을수록 7시 이전에 출근하고 5시 이전에 퇴근하는 비중은 커졌다. 30세 미만은 다른 연령에 비해 늦게 출근하고 늦게 퇴근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수도권의 주요 근무 지역은 서울...
[단독] 포스코, 500억 지역혁신 벤처펀드 만든다 2023-12-14 14:53:24
도내 이전기업 등이 대상이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그룹 내 벤처 육성 생태계인 '벤처 플랫폼'을 통해 포항, 광양 등 지역 기반 기업을 육성하고 있다. 벤처 플랫폼은 산학연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연구 성과를 벤처 창업으로 연결하는 '벤처밸리'와 자본의 매칭과 투자 지원을 위한 '벤처펀드'로...
밀 품종개발 기간 단축 등 우수사례 100선 소개 2023-11-22 16:39:31
활용한 고부가가치 기술이전(공동연구 : 성균관대학교, 이동엽 교수) △3세대 잡종벼 개발을 위한 웅성불임벼 생산 기술(공동연구 : 경희대학교, 정기홍 교수) △식물 에너지 분배 촉진을 통한 토마토 생산성 향상 기술 제안(공동연구 : 포항공과대학교, 황일두 교수) 등이다. 이정선 중기선임기자 leew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