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성인 10명중 8명, 기억력 개선 식품 ‘기능·체내흡수율’ 중요해 2021-02-26 10:00:01
부각되고 있다. 이에 치매조기진단 및 바이오회사인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이 엔트러스트서베이에 의뢰, 전국 2060 성인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기억력 개선 식품 섭취 시 중요 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결과에 따르면, 성인 10명 중 6명(60.0%)은 기억력 개선 식품의 기능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답했으며, 이어...
스마트 헬스케어·바이오 육성…부산, 첨단 의료산업 중심지로 2021-02-24 17:28:59
유전자 세포치료연구센터(부산대)와 말초신경병증연구센터(동아대) 등도 들어선다. 시는 임플란트 기업들이 부산에 있는 것을 기반 삼아 치의학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나선다. 2억원을 투입해 연말까지 부산치의학산업연구지원센터를 운영한다. 한국치의학연구원 설립도 추진하기 시작했다. 16개 기업의 치의학...
다양한 세포 사멸 경로 찾아내…차세대 항암제 새 길 열어 2021-01-26 15:45:17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사제어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 허용민 교수팀 및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황금숙 박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위암 환자의 전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위암 세포주들을 중간엽형과 상피형으로 분류했을 때 중간엽형 위암세포만 페롭토시스 약물에 의해 죽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중간엽형...
카이스트 정원석 교수, 새로운 '성인 뇌 기억' 방식 제시 2021-01-05 13:00:01
생명과학과 정원석 교수 연구팀이 한국뇌연구원 박형주 박사팀과 공동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고 5일 소개했다. 카이스트와 뇌연구원, 삼성전자에 따르면 연구팀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방식을 제시해 뇌·인지과학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인정받았다. 해당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KAIST·생명연, 3차원 암 게놈 지도 구축…세계 최대 규모 2020-12-28 13:44:11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인경 교수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병욱 박사 연구팀이 세계 최대규모의 인체 3차원 암 게놈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게놈은 한 생물체가 갖는 유전정보의 총합을 뜻하는데, 유전자를 발현하는 전사 지역과 이를 제외한 비 전사 지역으로 나뉜다. 기존 1차원 게놈...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60년…확장성에 주목할 때” 2020-12-23 16:28:47
부사장, 김일한 KB인베스트먼트 이사, 김장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장, 양윤선 메디포스트 대표가 참석했다. 줄기세포는 처음 발견된 이래 약 60년 간 연구돼 왔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판매 승인을 받은 치료제는 4개뿐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줄기세포치료제는 아직 없다. 줄기세포를...
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자상'에 고규영·김범태·장혜식 2020-11-10 12:00:06
= 한국과학기자협회는 '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상' 수상자로 고규영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장, 김범태 한국화학연구원 CEVI(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장, 장혜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를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고 단장은 난치성 질환 연구 성과뿐 아니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한-핀란드 과기공동위 개최…과기정보통신 협력 추진 2020-11-05 15:00:0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핀란드 고용경제부 제6차 한국-핀란드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화상으로 개최, 양국 간 과학기술 현안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회의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핀란드 오울루대학은 6세대(6G) 이동통신 보안 핵심기술을 선점하고 국제 표준화를 조기 달성하기 위한...
단국대학교, 지식정보화 인재 양성 위해 교육혁신…천안캠퍼스 '바이오메디컬 거점'으로 2020-09-16 15:07:52
생명과학기술원과 조직재생공학연구원을 설치해 의·생명과학 분야 사업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조직재생공학연구원은 연구진 50여 명이 손상된 신경과 근육, 뼈, 치아, 혈관 재생을 위한 나노 전달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UCL 이스트만·코리아 덴탈메디슨 혁신센터, 나노바이오 재생의과학 글로벌 연구단(BK21플러스)...
韓 생명과학자 의기투합…"K바이오 힘 보탠다" 2020-09-09 17:22:15
단위에서 유전자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단일세포 RNA 유전자 분석’ 기술 등을 두고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세미나는 SK바이오팜, LG화학, 유한양행 등 국내 기업과 포스텍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소,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이 후원했다. K-바이오X 대표 운영위원인 리시연 박사는 “국내 생명과학 연구 분야 후학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