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푸틴 때문에 날아간 마크롱 100석…거세진 '에너지 무기화' [송영찬의 디플로마티크] 2022-06-23 11:21:28
주장했습니다. 지난 21일부터 오는 28일까지 흑해 해저를 통과하는 '터키 스트림' 가스관도 연례 안전점검을 이유로 가동 중단한 상황입니다. 러시아가 휘두르는 '에너지 무기'는 유럽 각국 지도자들에 직격타가 되는 모습입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총선을 앞두고 280억달러(약 36조원) 규모의 저소득층 및...
북극 해저에 큰 지형변화 생겨…'빌딩 단지' 크기 싱크홀 발견 2022-03-15 12:10:14
2010∼2019년 4차례에 걸쳐 캐나다 북부 보퍼트해 인근에서 북극 해저 지형 탐사를 해 최대 깊이 28m, 폭 95m, 길이 225m의 싱크홀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같은 기간 '핑고'(pingo)로 불리는 화산 모양의 얼음 언덕도 형성됐다며 북극 해저 지형의 이런 급격한 변화들은 수중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
중국군 위력시위 속 中업체 대만 EEZ서 모래 채취…대만 '긴장' 2022-02-08 12:21:32
대만탄의 일부 해역 수심이 30m로 깊어지는 등 해저 지형 변화와 생태계 파괴 현상이 나타났다고 매체들은 전했다. 한 군사 전문가는 중국의 불법 모래 채취가 계속되면 수심이 깊어져 중국군 대형 함정도 손쉽게 통과할 수 있는 '군사 통로'가 돼 대만해협의 안보에 위험요소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만탄은...
일본기상청, 해저화산 분화 쓰나미 엉터리 예측 '망신' 2022-01-16 15:41:27
등으로 해저 지형이 바뀌어 발생하는 통상의 쓰나미에선 해수면이 10분에서 1시간 정도의 완만한 주기로 위아래로 출렁이고, 먼 곳에서 닥쳐오는 쓰나미일수록 이 주기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번에 닥친 쓰나미는 수분 정도의 주기로 해수면이 상하로 움직이는 형태여서 화산 분화에 수반되는 해저지형 변동이나...
무인조사선 등 투입해 남극 세종과학기지 주변 해도 완성한다 2021-12-02 11:00:03
해저 지형을 조사해 세종과학기지 주변의 해도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세종과학기지 주변의 해도가 완성되면 조사 장비를 해저나 연안의 적절한 위치에 안전히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상 이동시 위험요인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태성 국립해양조사원장은 "해도가 완성되면...
'조류 확인하고 선박 안전운항하세요'…2022년 조류표 발간 2021-12-01 11:00:03
남해안은 조류가 강하고 해안선과 해저 지형이 복잡해 서로 인접한 지역에서도 조류의 크기와 방향이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선박 항해와 어업 활동 전에 조류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해수부는 강조했다. 이에 따라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매년 우리나라 연근해 해역의 조류를 관측해 조류표를 발간하고 있다. ...
"남중국해 미 핵잠함 선체충돌 사고는 해저산맥 때문인 듯" 2021-10-25 12:29:16
충돌사고의 배경으로 우선 미군의 남중국해 해저지형 조사활동이 제한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 해군측은 애초 1990년대 남중국해 해저의 지형, 지질, 심도, 해수의 염도 및 온도 등에 대한 상세 조사를 마쳤지만 21세기에 들어선 후 중국군과 해상 민병대의 활동이 강화되면서 미군의 해저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르포] 한국이 인니 선물 아라호 직접 타보니…"똑똑한 연구선" 2021-10-15 13:07:15
높고, 관측 속도는 2배 이상 빠르다. 또, 해저지층 탐사 장비와 해양환경 조사 장비도 갖추고 있다. 아라호가 바다로 나가면, 해저지형을 음파로 스캔해서 3차원 데이터로 들어오고, 수온과 수심, 염분, 수소이온농도(pH) 등 해수의 특성이 자동으로 측정된다. 지난해 발리섬 누사두아 지역 앞바다의 산호초 복원을 위한...
중국 매체 "미 해양탐사선 남중국해서 잠수함전 대비 자료수집" 2021-10-12 12:54:14
충돌한 사고에 주목했다. 해당 잠수함이 해저 지형, 고래, 다른 수중 선박과 충돌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만약 해저 지형에 부딪힌 것이라면 미국으로서는 남중국해에 대한 정밀 조사가 필요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 전문가는 "미국 잠수함은 음파탐지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항해하고 매복하기 좋은 장...
중국군 '잠수함 노리나'…대잠헬기 대만 방공식별구역 첫 진입 2021-08-27 11:56:27
ADIZ에 진입하는 이유가 바스 해협의 해저 지형 등 잠수함 작전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유사시 중국군 남부전구 산하 군함과 잠수함이 대만과 필리핀 사이 바스해협을 통과해 대만 동부 및 서태평양에서의 임무 수행과 적 잠수함의 매복 공격을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분석했다. 대만언론은 전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