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웹 망원경 적외선 카메라에 포착된 목성 극지 오로라 2022-08-23 11:20:33
이미지가 만들어진다. STScI에서 전문가들이 직접 이미지 처리해 공식 이미지로 발표하기도 하지만, 시민과학자가 참여해 이미지를 만들때도 있다. 이번 목성 이미지도 10년 전 허블 우주망원경 이미지 처리를 시작으로 꾸준히 활동해온 주디 슈미트라는 미국인 시민 과학자가 참여해 드 파터르 박사팀과 함께 만든 것으로...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 표면 일부 날아가는 대폭발 겪어 2022-08-12 11:35:50
선임 천체물리학자 안드레아 듀프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비롯한 다수의 망원경 관측 자료를 분석해 얻은 이런 결론을 정식 출간 전 논문을 수록하는 온라인 저널 '아카이브' (arXiv.org)에 공개했다. 이 논문은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수록이 확정된 상태다. 연구팀은 SME...
[전영범의 별 헤는 밤] 외계행성~블랙홀…화려한 '천문축제' 2022-08-10 17:12:42
우주망원경, 테스(TESS) 우주망원경, 허블우주망원경, 가이아우주망원경,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기타 작은 망원경을 이용한 다양한 탐사 망원경 등 모두 열거하기가 어렵다. 더불어 곧 완성될 루빈천문대의 LSST나 미래의 플라토(PLATO) 우주망원경 등이 데이터를 더 많이 쏟아낼 것이다. 이번 총회의 주제는 ‘모두를 위한...
'더 선명해진 수레바퀴'…웹 망원경 포착 고리 은하 이미지 공개 2022-08-03 11:28:33
별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블 우주망원경을 비롯한 다른 대형 망원경도 수레바퀴 은하를 관측했으나 두꺼운 먼지에 가려 내부 구조는 밝혀내지 못했다. 웹 망원경의 근적외선카메라(NIRCam) 이미지는 가시광 관측 때보다 외곽 고리 등에서 더 많은 별을 드러냈으며, 중적외선장비(MIRI)는 은하의 뼈대 격인 나선형...
국제천문연맹 총회 부산서 개막…"국제협력 결실" 2022-08-02 14:21:08
명왕성을 행성 목록에서 분리해 왜소행성으로 지정했고, 2018년에는 '허블의 법칙' 명칭을 '허블-르메트르 법칙'으로 개정하는 결의안을 발표했다. 다만 이번 총회에서는 결의안이 발표되지 않는다. 데브라 멜로이 엘머그린(Debra Meloy Elmegreen) IAU 회장은 "(코로나19로 총회가 1년 미뤄지는 동안)...
소설가 박상영 "코로나는 누가 진짜 소수자인지 드러냈다" 2022-07-27 15:46:18
렌즈를 바꿔서 좀더 넓은 렌즈, 허블망원경으로 세상을 직시하는 소설을 쓰고 싶다”고 했다. 그는 다른 소설을 쓸 때보다 취재에 더 공을 들였다고 했다. 현실의 감염병 얘기를 다뤘기 때문이다. 대학 교수를 찾아 자문을 받았고 ‘사이언스’ ‘네이처’와 같은 과학 잡지나 미국 질병관리청 문서 등을 찾아 읽었다. 박...
부산서 국내 첫 국제천문연맹 총회…웹망원경·블랙홀 강연 열려 2022-07-24 12:00:06
허블의 법칙' 명칭을 '허블-르메트르 법칙'으로 개정했다. 이번 IAU 총회는 한국천문학회와 한국천문연구원이 주관하고, 과기정통부, 부산광역시, 한국관광공사, 부산관광공사 등이 후원한다. 당초 이번 총회는 지난해 열릴 예정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올해 열리게 됐다....
[논&설] 우주망원경을 통한 시간 여행 2022-07-14 10:10:53
궤도에 띄운 허블 우주망원경까지 망원경의 역사는 그 시대 과학 기술의 총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12일 허블을 뛰어넘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우주 사진과 분광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지난 30년간 예산 13조 원, 인력 2만 명이 투입된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우주 관측장비인 웹...
웹 망원경, 1천150광년 밖 행성 대기 물 존재 어떻게 파악했나 2022-07-13 15:38:19
망원경 이전 우주망원경의 대표 주자 격인 허블도 지난 20년간 여러 외계행성의 대기를 분석하고 2013년에는 대기 중 물의 존재를 확인하기도 했지만 웹 망원경의 즉각적이고 상세한 결과에는 미치지 못했다. 웹 망원경의 분광 결과는 지구 이외에 생명체 서식 가능한 행성을 찾는데 있어 거대한 도약으로 평가되고 있다....
제2 지구일까? 115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에서 물을 보았다 2022-07-13 12:34:31
약 150만㎞ 떨어진 곳에서 관측한다. 기존 허블 망원경은 지구 밖 600㎞ 궤도를 돌며 가시광선 영역을 관측했다. NASA는 웹 망원경으로 지구에서 115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WASP-96 b)에서 수증기 형태의 물을 확인했다. 웹 망원경은 WASP-96 b와 이 행성의 대기가 별 앞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현상을 발견했고, 이 행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