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연합이매진] '충북의 알프스'에 자리한 '왕의 온천' 2018-12-08 08:01:06
가장 오래된 온천지구다. 세종, 현종, 숙종, 영조, 정조 등이 이곳에 온궁을 짓고 온천욕을 즐겼다고 한다. 용출 수온은 49도이며 알칼리성 단순천이다. 온천 시설로 등록된 곳은 약 40곳이다. 온궁 터에는 온양관광호텔이 들어서 있고, 인근 일반 대중탕에서도 온천욕을 즐길 수 있다. ▲ 예산 리솜스파캐슬덕산 = 무색,...
[주말 N 여행] 호남권: 녹차족욕·별관찰…호젓한 전남마을서 겨울낭만을 2018-12-07 11:00:18
등이 마련돼 있다. 전라도라는 명칭은 고려 현종 9년(1018)에 호남지역 대표적인 곡창지대였던 전주와 나주의 첫 글자를 따서 지어졌다. 전북과 전남, 광주 등은 전라도 탄생 1천년을 맞아 다양한 협력사업과 문화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토요일에는 눈…주말 내내 추위 주말 동안 구름이 많고 토요일인 8일에는 눈이...
작은도서관 변신 정릉 재실…주말 개방 2018-11-23 09:34:37
마시지 말라며 버들잎을 띄워 건넨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빗물방은 현종 10년(1669) 신덕왕후가 복위된 날에 정릉 일대에 큰비가 내렸다는 기록에서 나왔다. 신덕왕후는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뒤 신덕고황후로 추존됐다. 버들잎방과 빗물방은 예약 시 소모임 장소로 쓸 수 있다. 문의 ☎ 02-914-5133 psh59@yna.co.kr...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11세기 중창설은 오류" 2018-11-18 11:03:37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고쳐 지었으나,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재건해 조선 광해군(재위 1608∼1623) 때 새로 단청한 것이다." 2013년부터 4년 3개월간 부석사 성보박물관에서 일한 김태형 송광사 성보박물관 학예사는 신간 '다시 읽는...
조선왕릉 숭릉 정자각 흰개미 피해…보호 조치 2018-11-16 15:59:55
피해가 있는지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숭릉은 조선 제18대 임금인 현종(재위 1659∼1674)과 그의 비인 명성왕후가 묻힌 능이다. 정자각은 제향을 지내는 정(丁)자 모양 건물로, 숭릉 정자각은 1674년 창건 이후 규모와 지붕 형식이 크게 변하지 않아 보물로 지정됐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고려왕릉 4기로 구분…강화도 시기 봉분 유독 작아" 2018-11-15 19:09:51
설명했다. 그는 제1대 태조(재위 918∼943)부터 제8대 현종(재위 1009∼1031)까지를 1기로 규정한 뒤 "대부분의 능 지름이 10m로, 재위 왕이나 추존 왕도 크기가 같다"며 "태조 현릉(顯陵)만 12.8m로 예외적으로 크고, 병풍석과 난간석 사이에 얇은 돌인 박석을 깔았다"고 밝혔다. 봉분 크기로 분류한 고려왕릉 2기는...
"해인사 보물이 왔습니다"…국립중앙박물관서 영접 행사 2018-11-10 19:56:55
태조, 현종, 문종, 원종과 충신 16명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약식 고유제와 고려가무악 연주, 사제 간인 희랑대사와 왕건 만남을 기념하며 '국태민안'(國泰民安)을 한자로 쓰는 서예 퍼포먼스도 펼쳐졌다. 내달 4일 개막하는 특별전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에는 청자와 불화를 비롯해 국내외 주요 고려...
해인사 고려목판·희랑대사상, 산문 나와 서울로 떠나다 2018-11-09 15:32:00
개최한다. 숭의전(崇義殿)은 고려 태조, 현종, 문종, 원종과 충신 16명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이어 오후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정문부터 열린마당까지 취타대와 전통 의장대 안내를 받으며 대장경판과 희랑대사좌상을 옮기는 영접 의식을 진행한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경주읍성 일부·향일문 복원…2030년까지 정비 마무리 2018-11-08 17:26:48
8대 현종 3년(1012년)에 흙으로 만들어진 뒤 고려 32대 우왕 4년(1378년)에 돌로 다시 만들어졌다. 읍성은 고려시대에 동경유수관, 조선시대에 경주부아가 안에 있어 지방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 성은 임진왜란 때 불타고 허물어져 조선 인조 10년(1632)에 재건됐고 영조 21년(1745년)에 남문루 중건과 개축을 통해...
조선왕조실록에서 광해군일기만 활자본이 없는 까닭은 2018-11-08 17:25:58
것을 능사로 삼았다"로 바뀌었다. 저자는 현종실록, 숙종실록, 경종실록도 수정이 가해졌음을 상세히 설명한 뒤 "실록을 수정했다고 해도 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대부분의 사실은 같고 일부 관점과 해석에서 차이가 난다"고 말한다. 이어 "역사가 사회에서 가져야 할 기능과 역할,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