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하~ 이놈의 띄어쓰기를 어쩔껴 2023-03-29 18:27:54
지경까지 왔을까. 알다시피 훈민정음은 원래 띄어쓰기가 없었다. 당시 주류 언어인 한문이 띄어쓰기를 하지 않은 영향이 크다. 그런데도 크게 불편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1446년 9월 정음 반포 이후 430년 이상 띄어쓰기 한 움직임이 없었다. 맞춤법 규정이 부른 혼란서양인들은 달랐다. 새로 가르치고 배우기가 어려웠다....
[데스크 칼럼] 국어원은 띄어쓰기 혁신에 나서라 2023-03-29 17:33:32
이 지경까지 왔을까. 알다시피 훈민정음은 원래 띄어쓰기가 없었다. 당시 주류 언어인 한문이 띄어쓰기를 하지 않은 영향이 크다. 그런데도 크게 불편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1446년 9월 정음 반포 이후 430년 이상 띄어쓰기한 움직임이 없었다. 맞춤법 규정이 부른 혼란서양인들은 달랐다. 영국인 존 로스가 1877년 한국어...
한글로 쓴 가장 오래된 '나신걸 한글편지' 보물 됐다 2023-03-09 18:30:00
이 편지는 훈민정음이 백성의 삶에 얼마나 깊숙이 파고들었는지 보여준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사용하는 어휘, 나신걸의 생몰연대로 볼 때 편지는 1490년대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1446년 훈민정음이 반포된 지 45년이 지난 시점에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지역과 하급관리에게까지 한글이 보급됐던 것”이라고...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57회' 납세자의 날, '56주년'이기도 하죠 2023-02-27 10:00:15
행사 1주년을 맞았다고 한다. 세종대왕이 1446년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해 제정한 한글날을 2023년에 ‘제577주년(돌)’이라고 셈하는 것도 같은 이치다. ‘회’와 ‘주년’의 차이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특정 기념일을 따질 때 자칫 크게 실수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2013년 ‘무역의 날’ 행사에서 그런 일이...
대구 문화유산 NFT로 나온다 2023-02-06 18:38:15
NFT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파일과 구매자 정보를 안정성이 보장된 분산저장기술인 블록체인으로 기록·저장해 원본임을 입증한 디지털파일과 그 관련 기술을 뜻한다. 대표적인 활용 사례로는 올 연말 대구에 개관하는 간송미술관의 훈민정음해례본 NFT, 신윤복 혜원전신첩 NFT 등이다. 또 방송 콘텐츠 NFT와 K팝 아티스트...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만 나이' 등장…칠순잔치는 언제 하나요? 2023-02-06 10:00:14
한 해가 되는 날을 뜻한다. 돌은 원래 어린아이가 태어난 날로부터 꼭 한 해가 되는 날을 가리키는 말이다. 지금은 의미 용법이 넓어져 ‘특정한 날이 해마다 돌아올 때 그 횟수를 세는 단위’로도 쓰인다. 가령 ‘세종대왕이 1446년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한글날은 올해 제577돌을 맞는다’처럼 말한다. 이를...
[신년 에세이] 다시 날자, 겨울나무도 언 땅에 뿌리 박고 꽃 장만 한창이니! 2023-01-01 17:52:42
문화에 익숙한 유생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훈민정음을 창제 반포하기 한 해 전인 1445년 손수 용비어천가를 지었다고, 이병기는 ‘세종대왕의 국문학’(1954. 10. 9. 삼남일보)에 발표했다. 세종실록에는 정인지, 권제, 박팽년 등이 짓고 세종은 용감(龍龕)만 했다고 적혀있으나 육대조의 사적을 칭송하는 글을 손수 지었다...
세종, 훈민정음 해례본·의례본 전시 2022-12-05 18:24:19
오는 12~23일 시청 1층 로비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의례본(국보 제70호) 금분사경 작품 전시회를 연다. 시민들은 전시회에서 금가루로 해례본·의례본을 필사해 만든 금분사경(金粉寫經) 작품 2점을 관람할 수 있다. 해례본 편찬 의미와 과정, 세종대왕의 한글 보급정책 등 한글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도 함께 접할 수...
"투자·소비 큰손 된 MZ세대…금융계 메타버스 확장은 필수" [ABCD포럼] 2022-10-27 17:48:08
지원서, 훈민정음 해례본, 청자상감운학문매병 등이 엄청난 가격에 팔리기도 했다. '구독 경제' 역시 일상 속에 속속 자리잡았다. 장 리더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소액으로 저축이나 재테크를 하는 '티끌테크'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며 "급격한 대외환경 변화 속에 메타버스 기반 마켓 플레이스 플랫폼...
대통령실, 새 CI 공개…용산 청사·봉황·무궁화 형상화 2022-10-23 15:54:58
정부 상징체'다. 한글 창제기 글꼴(훈민정음해례본)을 현대 서체(돋움체) 스타일로 도안했다. 정부기관 상징물과의 통일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대통령실은 CI의 크기(사이즈), 색상(컬러) 등 사용에 관한 제반 규정을 정하고 안내하는 최종 매뉴얼 작업을 거쳐, 다음달부터 본격 사용할 예정이다. 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