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 태양활동 예측…우주 이상전파 '사전 대비' 2013-12-01 22:16:04
항로를 우회한다. 센터는 자체적으로 우주 전파환경 관측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예측 모델과 예보 서비스를 개발하는 연구개발 업무도 담당한다. ◆전파 방해 없는 제주도에 자리 잡아 제주공항에서 자동차로 약 40분 거리인 제주시 한림읍의 우주전파센터에는 전자공학 물리학 등을 전공한 25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옥시크린에서 나로호까지…대덕특구 대표기술들> 2013-11-28 06:01:34
우주발사체나로호(KSLV-Ⅰ)가 우주를 향해 발사됐다. 이번 발사 성공으로 우리는 자력으로 개발한 로켓을 자국 발사대에서 쏘아올려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 이른바 '스페이스(우주) 클럽' 11번째 가입국이 됐다. 2002년 8월 100㎏급 나로과학위성(STSAT-2C)을 우리 힘으로 지구 저궤도에 올려놓고 정상...
아이손 혜성, 29일 태양 스친다…다음달 1일 관측 가능할까? 2013-11-27 17:16:45
망원경, 한국우주전파관측망 등 여러 관측 시설을 동원할 예정이다. 또 과학기술위성 3호에 탑재된 다목적적외선영상시스템을 이용해 아이손 연구를 수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손 혜성 통과 소식에 네티즌들은 “아이손 혜성 진짜 보고싶은데 아쉽다” “아이손 혜성 기다려도 보기 힘들겠지?” “아이손 혜성 결국 못...
'아이손' 혜성 29일 새벽 태양과 가장 가까워져 2013-11-27 10:38:01
망원경, 소백산천문대 0.6m 망원경과 레몬산천문대 1m 망원경, 한국우주전파관측망 등 지상관측시설과 최근 발사에 성공한 과학기술위성 3호에 탑재된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을 이용해 아이손을 관측·촬영할 계획이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게임별곡 32] 스티브 잡스가 개발한 '벽돌깨기' 2013-11-25 00:10:55
우주선 ''베이우스(vaus)'인 것이다(그런데 우주선이 막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그래..). '알카노이드' 게임은 특이하게 플랫폼에 따라 그 스테이지 수가 다르다. 콘솔 게임기인 패미컴 버전은 36스테이지까지 있지만, 업소(오락실)용 기판은 스테이지 수가 달랐다. 많았던가? 적었던가? 업소마다 세팅의 차이...
[완소TV] `상속자들` 크리스탈-강민혁, 풋풋하고 사랑스러운 커플 2013-11-22 08:03:19
재결합 파티를 개최하는 모습이 전파를 탔습니다. 앞서 이보나와 윤찬영 커플은 강예솔(전수진)의 거짓말과 유라헬(김지원)의 지나친 장난(?) 때문에 다툰 바 있습니다. 이날 교내 아나운서를 맡고 있는 이보나는 방송을 앞두고 윤찬영과 친구인 차은상(박신혜)에게 "너 찬영이한테 내가 반성하고 있다고 얘기했어? 너...
과학위성 3호 대전 지상국과도 교신 성공(종합) 2013-11-21 22:59:39
첫 적외선 우주관측 위성인 과학기술위성3호(STSAT-3)가 KAIST(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다. 인공위성연구센터는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쏘아 올려진 과학기술위성 3호가발사 6시간 뒤 우리나라 인근 상공을 지나 21일 오후 10시10분(현지 시각 오후 7시10분) 교신을 시도해...
반도체 이용한 고효율 전력증폭기 개발< ETRI> 2013-11-19 09:15:07
개발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존에는 전파를 증폭시키기 위해 진공관(마그네트론) 방식을 사용해왔지만, 진공관 방식은 부피가 크고 부품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질화갈륨을 이용해 고출력 전력증폭기(SSPA)를 개발, 전력 밀도는 최대 10배 증가하고 출력소자 수명은 기존보다 16배 긴...
"미숙아 별의 탄생과정 밝혀"<천문硏> 2013-11-06 14:29:48
이 박사팀은 2009년 NASA의 스피처 적외선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아기갈색왜성을관측, 'L328-IRS'으로 명명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KVN(한국우주전파관측망)을 통해 아기갈색왜성이 일반 별처럼가스 수축을 일으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존 이론은 갈색왜성이 일반 별과 달리 가스 수축을 하지...
유럽우주청 소속 위성, 10~12일 지구추락 `예의주시` 2013-11-05 23:20:00
위성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작다. 사람이 우주잔해물에 맞아 다칠 확률은 1조분의 1로 계산되고 있다. GOCE 위성이 한반도 인근에 낙하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정확한 낙하 시간과 장소는 추락 1∼2시간 전에야 분석이 가능하다. 미래부는 만일의 상태에 대비해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으로 상황실을...